![]() |
||
▲ 정운찬 국무총리가 7일 서울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 의원들의 질의를 들으며 잠시 생각에 잠겨 있다. 연합뉴스 | ||
예결특위에 참석한 정운찬 총리는 답변을 통해 ‘세종시와 혁신도시는 별개’라는 입장을 나타내 ‘행정도시 수정추진-혁신도시 원안추진’이란 이중적 입장을 보였다.
다만 정 총리는 행정도시 수정론과 관련, ‘국민의 뜻에 따르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해 여론에 따라 수정론을 백지화 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국회 예결위 주영진 수석전문위원은 이날 예산안 검토보고를 통해 “행정도시 내년도 예산은 올해보다 20.4% 증가한 6950억 원이 계상돼 있는 데 여기에는 중앙행정 기관 건립, 시청사 건립 등이 포함돼 있다”면서 “중앙행정 기관 건립 예산 사용이 올해 33%에 그치는 등 일부 사업이 저조한 집행을 보이고 있다. 내년 사업에 적절한 조정이 필요하다”고 예산안 삭감을 제안했다.
주 전문위원은 이어 “2012년까지 총 16조 1000억 원이 들어가는 혁신도시 사업은 10개 혁신도시에 공공기관이 이전하도록 돼 있다”고 설명한 뒤 “내년도에 1조 1000억 원이 계상돼 있지만 일부 이전 기관의 경우 이전 승인을 받지 못하는 등 지지부진해 내년 사업 예산에서 상당폭의 조정이 필요하다”고 삭감을 제안했다.
이날 예결위 종합질의에선 행정도시 수정 문제가 다시 도마 위에 오른 가운데 민주당 간사인 이시종 의원(충주)은 총리실이 운영 중인 세종시 민관합동위원회가 불법기구라며 정운찬 총리에게 즉각적인 해체를 촉구했다. 같은당 강운태 의원(광주 남구)은 행정도시 수정 추진, 혁신도시 추진여부 등에 대해 질의했다.
답변에 나선 정 총리는 ‘세종시 수정 문제를 국민의 뜻에 따른다는 원칙에 변함이 없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이어 ‘세종시 대안발표 시점 연기’에 대해 “원래 12월 말까지 하려고 했는 데 국회 일각에서 늦춰달라고 제안했다”면서 “12월 말이나 내년 1월 초나 큰 차이가 없다”고 언급했다.
정 총리는 ‘혁신도시로 이전해 갈 공기업들이 부지를 잘 사지 않고 있는 데 30여 개 기관에 금년 내 땅을 사도록 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세종시와 혁신도시는 별개 문제’라면서 행정도시 이전과 혁신도시와의 관련성을 부인했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