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1일 “국가 백년대계를 놓고 치열하게 논쟁하고 있지만, 이 또한 지혜롭게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굳게 믿는다”고 말해 자신이 ‘국가백년 대계로 강조한’ 세종시 수정안 입법에 대해 강한 자신감을 나타냈다. ▶관련기사 3면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천안 독립기념관에서 열린 제91회 3·1절 기념사를 통해 “우리는 숱한 대립과 분열을 오히려 긍정적인 에너지로 승화시켜 국민통합과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아왔다”면서 “비온 뒤에 땅이 굳는 것처럼 오히려 한 마음 한 뜻으로 국운 상승을 위해 매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대립과 갈등으로 국민이 분열돼서는 선진화의 길을 갈 수 없다. 사회의 혜택을 가장 많이 받은 사람이 사회에 더 많이 기여해야 한다”면서 “내일은 더 나아질 수 있다는 희망이 있어야 오늘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다양한 생각을 존중하되, 작은 차이를 넘어 조화를 이뤄야 한다”면서 “이것이 3·1 운동의 대승적 화합 정신을 계승 승화하는 길이다. 91년 전의 그날처럼 국민이 하나가 되어 힘을 모으면 이루지 못할 일이 없다”고 강조해 세종시 수정안을 둘러싼 공방의 마무리를 시사했다.
이 대통령은 “남북의 미래를 밝게 열어나가기 위해서는 북한이 남한을 단지 경제협력의 대상으로만 여기는 생각을 바꿔야 한다”면서 “남북간의 여러 현안을 진지한 대화로 풀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천안 독립기념관에서 열린 제91회 3·1절 기념사를 통해 “우리는 숱한 대립과 분열을 오히려 긍정적인 에너지로 승화시켜 국민통합과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아왔다”면서 “비온 뒤에 땅이 굳는 것처럼 오히려 한 마음 한 뜻으로 국운 상승을 위해 매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대립과 갈등으로 국민이 분열돼서는 선진화의 길을 갈 수 없다. 사회의 혜택을 가장 많이 받은 사람이 사회에 더 많이 기여해야 한다”면서 “내일은 더 나아질 수 있다는 희망이 있어야 오늘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다양한 생각을 존중하되, 작은 차이를 넘어 조화를 이뤄야 한다”면서 “이것이 3·1 운동의 대승적 화합 정신을 계승 승화하는 길이다. 91년 전의 그날처럼 국민이 하나가 되어 힘을 모으면 이루지 못할 일이 없다”고 강조해 세종시 수정안을 둘러싼 공방의 마무리를 시사했다.
이 대통령은 “남북의 미래를 밝게 열어나가기 위해서는 북한이 남한을 단지 경제협력의 대상으로만 여기는 생각을 바꿔야 한다”면서 “남북간의 여러 현안을 진지한 대화로 풀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