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원 선거’ 홍보에 비상이 걸렸다.
오는 6월 2일 전국에서 동시에 실시되는 광역단체장, 교육감,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 선거에 대해서는 유권자들이 대부분 인식하고 있으나 교육의원 선거는 생소하게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그도 그럴 것이 광역단체장, 교육감,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은 그동안 주민 직선에 의해 선출됐으나 교육의원은 선거는 이번이 처음이어서 유권자들로서는 생소할 수밖에 없다.
특히 유권자들은 학교운영위원 등 선거인단에 의해 간접선거로 선출되던 기존 시·도교육청 교육위원과 이번에 처음 주민 직선으로 선출하는 교육의원의 차이에 대해서도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또 우리 지역에서는 교육의원을 몇 명 선출하는 지, 교육의원이 어떤 역할을 담당하는지 모를 뿐만 아니라 교육의원이 이번 선거에서만 선출되고 다음 선거부터는 없어지는 사실조차 인식하지 못한다.
언론을 통해 이미 알려진 내용이지만 그만큼 유권자들로부터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교육의원 선거방식 등이 규정된 지방교육자치법 개정안이 공포됐는 데도 출마 예정자들의 움직임이 눈에 띄게 가시화되지 않고 있다.
일부는 출마여부를 아직까지 저울질하고 있다.
지난 26일 관련법 개정안이 공포된 후 교육의원 선거 예비후보 등록은 충남에서만 2명이 했고 대전에서는 단 1명도 없다.
당장 2일부터 출마예정자들이 예비후보 등록과 함께 선거사무실 개소, 출정식 등 본격적인 선거활동을 시작하겠지만 유권자들에게 ‘교육의원’에 대해 설명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결국 교육의원 선거 예비후보들은 일반 유권자들보다는 학교 운영위원, 자모회, 교원단체 등 교육계를 대상으로 선거활동을 해야 하는 태생적 한계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이는 교육의원 선거가 ‘교육계 집안잔치’에 그칠 공산이 크다는 것을 암시해주고 있다.
선거관리위원회에서도 지방선거에 대한 지도 및 계도는 열심히 하고 있지만 교육감 및 교육의원 선거에 대한 홍보는 별도로 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올 지방선거에서 교육의원 선거가 가장 낮은 투표율을 기록할 우마려마저 낳고 있다.
대전지역 한 교육의원 출마예정자는 “예비후보 등록 전에 주변에 많은 유권자들을 접촉했는 데 대부분 교육의원의 역할은 물론 이번 지방선거에서 주민들이 직접 선출하는지조차 모르고 있다”며 “그만큼 관심이 없다는 것이어서 교육의원의 역할을 알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충청권에서의 교육의원은 대전 4명, 충남 5명, 충북 4명 등 모두 13명을 선출한다. 지위와 권한은 광역의원과 같고 광역의회 상임위원회에서 교육분야에 대해 전문적인 활동을 한다. 임기는 4년이다.
유효상 기자
오는 6월 2일 전국에서 동시에 실시되는 광역단체장, 교육감,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 선거에 대해서는 유권자들이 대부분 인식하고 있으나 교육의원 선거는 생소하게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그도 그럴 것이 광역단체장, 교육감,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은 그동안 주민 직선에 의해 선출됐으나 교육의원은 선거는 이번이 처음이어서 유권자들로서는 생소할 수밖에 없다.
특히 유권자들은 학교운영위원 등 선거인단에 의해 간접선거로 선출되던 기존 시·도교육청 교육위원과 이번에 처음 주민 직선으로 선출하는 교육의원의 차이에 대해서도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또 우리 지역에서는 교육의원을 몇 명 선출하는 지, 교육의원이 어떤 역할을 담당하는지 모를 뿐만 아니라 교육의원이 이번 선거에서만 선출되고 다음 선거부터는 없어지는 사실조차 인식하지 못한다.
언론을 통해 이미 알려진 내용이지만 그만큼 유권자들로부터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교육의원 선거방식 등이 규정된 지방교육자치법 개정안이 공포됐는 데도 출마 예정자들의 움직임이 눈에 띄게 가시화되지 않고 있다.
일부는 출마여부를 아직까지 저울질하고 있다.
지난 26일 관련법 개정안이 공포된 후 교육의원 선거 예비후보 등록은 충남에서만 2명이 했고 대전에서는 단 1명도 없다.
당장 2일부터 출마예정자들이 예비후보 등록과 함께 선거사무실 개소, 출정식 등 본격적인 선거활동을 시작하겠지만 유권자들에게 ‘교육의원’에 대해 설명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결국 교육의원 선거 예비후보들은 일반 유권자들보다는 학교 운영위원, 자모회, 교원단체 등 교육계를 대상으로 선거활동을 해야 하는 태생적 한계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이는 교육의원 선거가 ‘교육계 집안잔치’에 그칠 공산이 크다는 것을 암시해주고 있다.
선거관리위원회에서도 지방선거에 대한 지도 및 계도는 열심히 하고 있지만 교육감 및 교육의원 선거에 대한 홍보는 별도로 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올 지방선거에서 교육의원 선거가 가장 낮은 투표율을 기록할 우마려마저 낳고 있다.
대전지역 한 교육의원 출마예정자는 “예비후보 등록 전에 주변에 많은 유권자들을 접촉했는 데 대부분 교육의원의 역할은 물론 이번 지방선거에서 주민들이 직접 선출하는지조차 모르고 있다”며 “그만큼 관심이 없다는 것이어서 교육의원의 역할을 알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충청권에서의 교육의원은 대전 4명, 충남 5명, 충북 4명 등 모두 13명을 선출한다. 지위와 권한은 광역의원과 같고 광역의회 상임위원회에서 교육분야에 대해 전문적인 활동을 한다. 임기는 4년이다.
유효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