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오를만한 일이 없다고 생각했는지 매물을 내놓는 사람은 많은데 보러온다는 사람은 없네요.”

대전에서 상대적으로 집값이 싼 외곽지역에 아파트 매물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들 지역은 더 이상의 부동산 호재를 기대할 것이 없다는 이유로 낮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거래가 실종된 상황이다.

실제 1300여세대 규모의 대덕구의 A아파트의 경우 29일 기준 공인중개소에 걸린 매물이 약 20여세대에 달했다.

이 매물들은 최근 1개월 내에 나온 것들로 이사 성수기를 앞두고도 더 이상 집값이 오르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에 한시라도 빨리 처분하려는 심산에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지난해 성수기 실거래가보다 낮은 가격에 매물이 나오고 있음에도 거래가 제대로 성립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 아파트 인근의 한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공급면적 105㎡의 경우 지난 2008년 8000만 원 후반대에 거래되던 것이 현재 1억 4500만 원선에서 거래되고 있지만 현재 가격은 지난해 초반 가격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것”이라며 “더 많은 호재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입주했던 세대들이 기대 만큼 집값이 오르지 않자 빨리 팔고 떠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매매 가격도 지난해보다 최소 1000만 원 이상 저렴한 1억 2500만~1억 5000만 원까지 다양하게 나오고 있어 빠른 거래가 예상됐지만 막상 문의도 많지 않다”고 덧붙였다.

700여세대 규모의 동구의 B아파트도 상황은 비슷했다.

지하철 역과 버스정류장 등 편리한 교통 요건을 갖춘 공급면적 89㎡ 아파트가 1억 3000만 원대에 나오고 있지만 이렇다 할 거래는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

이 아파트 인근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전철역 등 부동산 호재에 있어 이제 갖출 것을 다 갖춰 더이상 인상요인이 없다는 생각들이 많은 것 같다”며 “원도심 아파트 치고는 거래가 종종 이뤄지지만 2~3년 전 만큼 활발하지는 않고, 지난해보다도 오히려 계약자 찾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부동산업계는 쏟아지는 값싼 매물에도 거래가 없을 경우 집값 추가 하락 등의 역효과가 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충남도내 소나무가 고사위기에 내몰렸다. 일단 감염되면 100% 말라 죽는 일명 ‘소나무 에이즈’인 재선충병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에 도와 보령시는 29일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청라면 일원의 현지를 답사, 고사목 규모와 피해지역 등을 살피며 추가 확산방지를 위한 모든 행정적 지원을 집중키로 했다.

소나무재선충방제대책본부장인 이시우 보령시장은 청라면 고사목 산림지역을 점검하며 이동제한초소 운영현황과 고사목 반출 방지 대책을 지시하는 등 현장을 지휘했다.

무엇보다 제때 방제를 못할 경우 재선충이 기하급수적으로 주위 소나무를 잠식하기 때문에 재선충 조기 확산 방지를 이뤄내겠다는 의지다.

그러나 재선충 감염 확산에 대한 우려는 크다. 재선충의 감염 경로는 솔수염하늘소의 이동과 감염된 소나무의 이동 등으로 한번 발생하면 확산 방지에 어려움이 있다.

재선충은 솔수염하늘소에 기생하는 병해충으로 솔수염하늘소가 소나무의 잎을 갉아 먹을 때 나무에 침입, 빠르게 증식해 수분과 양분의 이동통로를 막아 말라 죽게 한다.

재선충이 감염된 소나무가 벌목 등으로 타 지역에 옮겨질 경우, 그 지역의 소나무에도 급속히 확산된다. 게다가 치료약이 없어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는 100% 고사하고 만다.

실제 국내에서는 지난 1988년 부산 금정산에서 처음 발생했으며 이후 전국 67개 시·군·구로 확산되는 등 피해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재선충으로 인한 전국 산림피해 면적은 2000년 1677㏊에서 2006년에는 7871㏊로 급증했으며 감염목 수도 2000년 2만 8000본에서 2005년 56만 6000본으로 늘어났다.

피해가 눈덩이처럼 늘어나자 정부는 결국 2005년 ‘소나무재선충병 방제특별법’을 제정, 방제대책본부를 구성하는 등 재선충 예방에 총력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도 관계자는 “고사목 전체를 제거하고 반출 억제에 총력을 기울여 확산을 방지하겠다”며 “재선충 방재를 위해 지속적인 점검과 관리가 요구되는 만큼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보령=송인용 기자 songiy@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전·충남지역에서 영업 중인 8개 저축은행 중 상당수가 지난해 하반기 경영실적이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부 저축은행의 경우 6개월 새 당기순이익이 흑자에서 적자로 돌아섰거나 BIS비율이 법규상 요구되는 비율인 5%를 밑돌아 부실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들 저축은행은 29일 지난해 말 BIS비율(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비율)과 당기순이익 등의 실적을 반영한 가결산 경영공시(2011년 7월~2011년 12월)를 일제히 공개하면서 업체별 희비가 교차됐다.

이날 대전·충남지역에서 영업 중인 저축은행들의 경영공시에 따르면 8개 저축은행은 0.21%~15.33%까지의 BIS비율을 기록했다. 당기순이익의 경우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한 저축은행들이 눈에 띄는 반면 일부 저축은행은 여전히 적자의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실제 오투저축은행의 경우 2011년 말 당기순이익은 -16억 원으로, 지난 2010년 같은기간 -21억 원보다 적자 폭이 줄었다. 또 이 은행의 BIS비율은 지난해(5.04%)보다 오른 6.80%를 나타냈다.

아산저축은행의 BIS비율은 15.33%로, 전년(14.54%)보다 올랐으며, 당기순이익은 9억 원으로 나타났다. 서일저축은행의 BIS비율은 11.12%로 전년 10.44%보다 소폭 향상됐지만 당기순이익이 -7억 원으로 나타나면서 지난해 9억 원보다 16억 원 감소했다.

세종저축은행은 전년(6.11%)보다 소폭 오른 7.23%의 BIS비율을, 당기순이익은 -7억 원으로 전년(-12억 원)보다 적자 폭이 줄었다.

한주저축은행의 당기순이익은 150억 원, BIS비율은 5%대를 기록했고, 한성저축은행의 당기순이익은 15억 원으로 전년(1억 원)의 이익금보다 늘었으며, BIS비율 또한 13.03%로 지난 2010년(10.86%)보다 증가했다.

토마토2저축은행의 당기순이익은 -546억 원으로 큰 적자를 기록했고, BIS비율 역시 법규상 요구되는 비율보다 크게 빠진 0.21%를 나타내며 전년(8.89%)보다 크게 줄었다. 미래저축은행의 당기순이익은 1054억 원, 5.67%의 BIS비율을 보였다.

이번 공시와 관련해 일각에서는 금융당국의 저축은행에 대한 구조조정의 범위가 더욱 넓어지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는 대형 저축은행들의 경영개선이 힘겨워 보이는 가운데 금융당국의 부실저축은행 구조조정 범위가 커질 수도 있다는 의견이 들려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호창 기자 hclee@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