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희정 충남지사가 세종시 건설사업에 대전과 충북지역 건설업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협력할 의사를 밝혀 도내 건설업체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충남도가 지난 4월 도내 1000여 개 건설업체들의 의견을 종합해 대전과 충북지역 업체들이 세종시 건설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공식 입장을 내비쳤으나 안 지사가 충청권 상생협력을 강조하고 나서며 당초 결정을 번복했기 때문이다.

만일 도가 도내 건설업체를 이해시킬 수 있는 명분을 확보하지 못한 채 당초 입장을 번복하고 세종시 건설사업에 대전·충북 건설업체의 참여를 고려할 경우 극심한 갈등이 야기될 수 있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도에 따르면 안희정 충남지사는 21일 간부회의를 통해 세종시 건설사업에 대전과 충북도 함께 참여하는 방향으로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안 지사는 “세종시 건설사업에 대전과 충북지역 건설업체가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는 의견을 도가 정부에 보낸 것 같다”며 “그런데 충청경제포럼에서 시·도지사들과 함께 세종시에 충청권 전체가 같이 참여할 기회를 갖자고 이야기를 나눴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나도 이 방향으로 협조하기로 했다”며 “적절히 의견을 조정해 달라”고 당부했다.

세종시 원안 사수가 대전·충남·충북 등 충청권 3개 시·도의 협력을 통해 이뤄낸 결실인 만큼 세종시 건설 사업에도 충청권이 공조가 이어져야 한다는 취지로 해석되고 있다.

그러나 대전·충북지역 건설업체의 참여를 허용할 경우 도내 건설업체들의 강한 반발이 예상된다.

도 관계자는 “타 시·도의 세종시 건설업체 참여 제한과 관련 도내 668개의 일반 건설업체와 330여 개의 전문건설업체로부터 의견을 수렴해 결정을 내렸다”며 “이 결정을 쉽게 번복할 경우 지역 업체들과 진통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난감한 입장을 비쳤다.

이 관계자는 이어 “또한 한 번 결정한 사항을 이랬다 저랬다 하기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며 “그러나 지사가 입장을 밝힌 만큼 공조를 위한 방법을 검토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도는 지난 4월 세종시 건설사업과 관련, ‘국가를당사자로하는계약에관한법률’에 의거 95억 원 이하의 중·소형급 공사에 있어 타 시·도 건설업체의 참여를 제한하도록 국토해양부에 의견을 전달했다.

그 결과 대전과 충북의 건설업체가 세종시 건설사업에 제외되자 충북도는 충청권 공조에 대한 불신을 강하게 제기하며 충남을 강하게 비난하고 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출하가격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계란 소비자가격이 상승세를 타자 양계농가의 근심이 깊어지고 있다.

이들 양계농가는 높아진 사료값으로 생산비가 상승하고 있는 데다 들격날쭉한 출하가격으로 농가수취가격마저 일정치 않은 상황에 소비자가격 상승에 대한 원망이 농가에 쏠리고 있다며 안타까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21일 농수산물유통공사 등에 따르면 대전지역 계란(특란 중품 10개) 소매가격은 1650~2480원에 거래되고 있다.

반면 이번주 기준 계란 도매가격(대란 10개)은 전주보다 60원 낮아진 1550원에 거래되고 있다.

농협 공시와 양계농민들 역시 현재 출하가격이 개당 128원에서 122원으로 6원 낮아지는 등 지난 4월 이후 출하가격이 약보합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소비자가격과 출하가격이 반대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과 관련 농가들의 입장은 엇갈리고 있다.

일부 농가들은 계란값이 차츰 안정되는 상황에서 비롯된 것으로 조만간 출하가격이 소비자가격에 반영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또 다른 측은 유통과정이 일정치 않다보니 농민들은 손해를 감수할 수 밖에 없다는 것.

지역의 양계농민 A 씨는 “아직 출하가격이 소비자가격에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라며 “출하가격이 떨어지면서 소비자가격도 점차 떨어질 것이라는 말이 돌고 있어 점차 계란 가격이 안정화를 찾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반면 다른 양계농민 B 씨는 “계란의 경우 유통과정에서 일정한 가격이 형성되질 않아 지역마다 가격이 모두 다르다”며 “상황이 이렇다보니 양계농민들은 손해를 감수하면서도 우선 출하를 할 수 밖에 없다”고 맞섰다. 그러나 이들 양계농가는 최근 사료값 증가로 생산비가 증가했다는 점에는 한목소리로 동의했다.

생산비의 70%를 차지하는 사료비가 올들어 40%가 올랐기 때문에 생산비가 단순계산으로도 최소 28% 증가했다는 것이다.

한 양계농민은 “지난해 계란 생산비가 100~105원 했지만 소비자가격은 70원에 불과했고, 올들어서는 사료값 상승으로 인해 생산비가 120~130원으로 상승했다”며 “아직도 양계농민들은 ‘본전사업’도 못하고 있는데 소비자가격만 놓고 지난해보다 100% 상승했다고 하는 것은 업계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