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지역 저축은행 중 자산 규모 2위인 세종저축은행의 BIS비율(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비율)이 불과 몇달 새 5% 이상 폭락했다.

이 같은 사실은 지난달 실시된 금융감독원의 검사 결과에서 드러났다.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11%대의 BIS비율을 기록하며 우량저축은행으로 꼽혔던 세종저축은행의 BIS비율 폭락이 타 저축은행에서도 나타날 경우 또 다시 예금자들을 불안감에 휩싸이게 할 소지가 다분하다는 분석이다.

29일 금융감독원 대전지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11.43%로 공시됐던 세종저축은행의 BIS비율은 지난 2월 금감원 검사에서 5.32%포인트 낮아진 6.11%로 수정됐다.

금감원은 이번 검사에서 세종저축은행이 고정이하여신으로 분류해야 할 자본을 자기자본으로 반영하는 등 최근 강화된 금감원의 저축은행 감독 규정을 위배한 것으로 지적, BIS비율이 낮아지게 됐다고 설명했다.

실제 세종저축은행은 타행에 신용관리 대상자(신용불량자)로 등록된 대출자들과 폐업한 개인사업자를 고정이하 여신으로 분류해야 함에도 이를 정상여신으로 등록해 자산에 포함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여기에 예금자의 근저당을 설정한 물건지에 대해 채무 미상환(연체) 등의 이유로 매각시켜야 했던 매물을 즉각 매각하지 않고 매매값 상승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려 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최근까지 지점과 홈페이지에 11.43%로 공시됐던 세종저축은행의 BIS비율을 6.11%로 수정해 공시할 것을 통보했다.

이와 관련, 금감원 측은 이번 결과는 기존 저축은행들이 규정 해석을 모호하게 해 기준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차질이 생긴 것으로 보고, 고의성은 없었던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세종저축은행 측에서 보면 이자가 정상적으로 들어오다 보니 타행 신용관리 대상자나 폐업 개인사업자를 관리하는 데 소홀했던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불법 행위라고 볼 수 없는 사안으로 고의성은 없었던 것으로 결론지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현재 결과는 확정된 결과가 아니지만 ‘금감원 검사 종료 후 최대 7일 이내에 경영공시를 해야 한다’는 조항이 최근 추가돼 우선 공시한 것으로 정확한 결과는 6개월 후에 나온다”고 덧붙였다.

이번 결과에 세종저축은행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세종저축은행 측은 이번 검사에서 문제가 된 3개 항목이 자기 대손충당금으로 적립돼야 했으나 이익금으로 적립돼 BIS비율이 상승한 결과가 나온 것이라고 해명했다.

세종저축은행 관계자는 “이번 검사로 모든 부실을 정리했지만 여전히 법규상 요구되는 비율인 5%는 충족시킨 상황이므로 예금자들은 안심해도 된다”며 “오는 6월 공시되는 올 상반기 결산 시 BIS비율은 충분히 안정적으로 복구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금융권 관계자들은 이번 세종저축은행의 BIS비율 수정공시가 타 저축은행에서도 나타날 경우 예금자들의 불안감이 또다시 증폭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향후 금감원 검사 결과 세종저축은행과 같은 내용이 타 저축은행에서도 똑같이 발생할 경우 저축은행에 대한 예금자의 신뢰도가 낮아질 소지가 있다”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연초부터 4%대를 넘어서는 물가불안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유가는 물론 생필품 가격 상승세가 꺾이지 않으면서 ‘물가대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불거진 구제역과 조류독감 파동으로 돼지고기와 소고기, 닭고기 가격이 상승했고 중동발 악재 등으로 인한 유가 고공행진까지 이어지면서 서민가계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개인서비스 요금과 생필품 가격까지 동반상승하면서 서민경제가 불안정을 더욱 키우고 있다.

최근 대전주부교실이 집계한 물가조사에서 54개 생필품 무려 31개 품목, 21개 개인서비스 요금 중 18개 품목이 전달보다 가격이 오른 점은 이 같은 불안을 뒷받침하고 있다.

지난달 삼겹살 가격은 무려 14.3% 올랐고 치약 32.5%, 섬유유연제 31.3% 등 서민경제와 밀접한 품목들의 가격은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또 최근에는 삼양사 등 국내 설탕 제조업체들이 평균 소매가격을 9.9% 인상하면서 물가인상을 부채질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난해 10월부터 연일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유가 역시 ℓ당 휘발유 평균가 1967원으로 2000원대 진입을 코앞에 두고 있다.

특히 최근 북아프리카와 중동 정세 불안이 이어지면서 유가가 ℓ당 휘발유 가격이 2300원대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올해 1분기 물가가 당초 예상을 넘어선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각종 생필품과 개인서비스 요금이 추가 인상 조짐을 보이고 있어 서민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타이어업계는 원자재가 인상 등 생산비 상승분을 반영해 내달 1일부터 타이어 가격을 10~15% 인상할 예정이고 유가에 민감한 자동차 엔진오일, 자동차 부품 등도 소비자가 인상이 전망되고 있다.

또 목욕요금과 이·미용요금, 세차요금 등 서비스 요금도 유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인상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게다가 올해초 인상예정이었던 공공요금의 경우 정부 기조 등에 따라 인상이 유보됐지만 하반기에는 인상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대전시 등은 구체적 인상 수준을 결정하진 않았지만 오는 7월 중 소비자정책위원회 의결을 거쳐 버스요금과 지하철요금, 상하수도 요금 등을 인상할 계획이다.

이 경우 연초 4%대를 기록했던 소비자물가는 4월부터 5%에 진입해 6·7월 최고점을 찍을 것으로 전망되면서 서민가계 부담이 커지고 있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내달 대전지역 아파트용지 분양시장에 큰 장이 열린다.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도안신도시 15블록과 노은3지구 3개 블록 등 총 4개 필지에 대해 4월 공급을 예정하고 있어 건설사들의 관심을 증폭시키고 있다.

29일 LH에 따르면 도안신도시 15블록과 노은3지구 3개 블록을 4월 추첨분양 형식으로 공급을 계획하고 있으며, 조만간 공고를 낼 예정이다.

LH도안사업단에서 공급하는 도안신도시 15블록은 6만 6182㎡ 면적에 1053세대를 전용면적 60~85㎡으로 공급할 수 있는 주택용지로 현재 종전 토지가격인 939억 7800여만 원에 공급할 지, 토지가격 재산정을 할 지 내주 중 최종 결정해 공고를 낼 것으로 보인다.

도안신도시 15블록은 도안생태호수공원 조성 프리미엄과 신세계 복합유통단지 호재 등이 작용하면서 이미 건설사들의 전화문의가 빗발치고 있다.

LH대덕노은사업단에서 공급하는 노은3지구 공동주택용지도 사실상 4월로 매각추진을 확정한 상태다.

이번에 공급하는 노은3지구 공동주택용지는 총 3개 필지로 B-4블록, C-1블록, C-2블록이 건설사들의 선택을 기다리고 있다.

B-4블록은 총 2만 4863㎡면적에 전용면적 60~85㎡, 452세대를 지을 수 있는 주택용지로 공급예정가격은 323억 원이다.

C-1블록은 총 3만 3241㎡면적에 전용면적 60~85㎡와 85㎡ 초과를 각각 300세대, 236세대로 공급되며, 공급예정가격은 438억 원이다.

이번에 노은3지구에 공급되는 주택용지 가운데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C-2블록은 총 4만 7108㎡에 전용면적 60~85㎡와 85㎡ 초과로 나눠 각각 320세대, 250세대를 지을 수 있으며, 공급예정가격은 514억 원이다.

노은3지구 공급예정가격은 현재 미확정된 상태로 토지가격 재산정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며, 조만간 토지가격 확정을 통한 공고를 낼 전망이다.

노은3지구 공동주택용지는 전용면적 85㎡ 초과 중대형 평형대 아파트들도 지을 수 있는 토지도 포함돼 세종시발 부동산 훈풍에 건설사들의 관심이 어디까지일 지 알아볼 수 있는 가늠자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도안신도시 2블록, 17-2블록 주택용지 공급에 건설사들이 큰 관심을 나타내면서 그 열기를 도안과 노은3지구에서도 이어갈 수 있을 지 건설 업계와 지역 부동산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면적  전용면적·세대  가격
도안신도시 15블록  6만 6182㎡  60~85㎡ 1053세대  내주결정
노은3지구 B-4블록  2만 4863㎡  60~85㎡ 452세대  323억 원
노은3지구 C-1블록  3만 3241㎡  60~85㎡ 300세대
 85㎡ 초과 236세대
 438억 원
노은3지구 C-2블록  4만 7108㎡  60~85㎡ 320세대
 85㎡ 초과 250세대
 514억 원

<4월 LH 아파트용지분양 계획>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