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에서 안전사고가 급증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유치원 3곳당 연간 1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사고 발생도 해마다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자유선진당 이상민 의원이 교육과학기술부로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유치원에서 모두 3280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했다.
이는 전년도(2743건)와 비교해 19.6%가 증가한 것으로 유치원 2.5곳 당 1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한 셈이다. 지역별로는 경기에서 652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해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이어 부산에서 472건, 서울에서 420건이 발생했다.
대전은 103건이 발생했고 충남은 90건, 충북은 77건이 발생했다.
전년대비 안전사고 증가율 비교에서는 충남이 69.8%를 기록해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울산이 48%로 2위, 대전이 45.1%로 3위를 기록했다. 안전사고 발생 원인으로는 학생부주의가 3116건으로 전체의 95%를 차지했다.
교사과실이 12건, 시설하자가 4건, 학생다툼이 1건 등이다.
사고발생 시간대는 교과수업이 1127건(34.4%), 휴식시간이 1105건(33.7%), 과외활동이 304건(9.3%) 등으로 조사됐다.
이 의원은 "초중고교의 경우 안전사고 통계체제가 비교적 잘 갖춰져 있지만 유치원의 경우 자체적으로 신고하지 않을 경우 통계작성이 어려운 실정"이라며 "안전사고의 사각지대인 유치원 내 각종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예방대책이 시급하게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유치원 3곳당 연간 1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사고 발생도 해마다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자유선진당 이상민 의원이 교육과학기술부로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유치원에서 모두 3280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했다.
이는 전년도(2743건)와 비교해 19.6%가 증가한 것으로 유치원 2.5곳 당 1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한 셈이다. 지역별로는 경기에서 652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해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이어 부산에서 472건, 서울에서 420건이 발생했다.
대전은 103건이 발생했고 충남은 90건, 충북은 77건이 발생했다.
전년대비 안전사고 증가율 비교에서는 충남이 69.8%를 기록해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울산이 48%로 2위, 대전이 45.1%로 3위를 기록했다. 안전사고 발생 원인으로는 학생부주의가 3116건으로 전체의 95%를 차지했다.
교사과실이 12건, 시설하자가 4건, 학생다툼이 1건 등이다.
사고발생 시간대는 교과수업이 1127건(34.4%), 휴식시간이 1105건(33.7%), 과외활동이 304건(9.3%) 등으로 조사됐다.
이 의원은 "초중고교의 경우 안전사고 통계체제가 비교적 잘 갖춰져 있지만 유치원의 경우 자체적으로 신고하지 않을 경우 통계작성이 어려운 실정"이라며 "안전사고의 사각지대인 유치원 내 각종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예방대책이 시급하게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