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비롯한 각 분야 전문가와 공무원 20명으로 구성된 충북도 오송메디컬시티 검증위원회는 7일 "민간기업 BMC가 제안한 프로젝트는 도전적인 아이디어 차원에서 긍정적이지만 실현가능성은 부족하다"고 밝혔다.
검증위는 이날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그동안 3차례에 걸쳐 평가된 내용과 담당 실무자, 미국 파견 공무원 등의 보고서를 종합한 결과 현실성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들은 "BMC의 프로젝트는 사업구상만 있었지 타당성을 검증할만한 재정계획이 없어 구체적인 평가가 어려울뿐만 아니라 SPC 설립도 참여기업들간 사업운영권과 지분율에 관한 의견차이로 설립작업이 답보상태"라며 "도를 대신해 출자하려던 충북개발공사도 이미 민선4기에 사업계획서 없이는 SPC 참여가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설명했다.
검증위는 "MOU를 체결한 미국의 전문병원과 학교는 직접적인 재정적 투자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병원·학교 설립 및 운영에 소요되는 막대한 자금을 투자할 수 있는 국내외 투자자의 확보가 미지수"라고 분석했다.
검증위는 대형프로젝트임에도 불구하고 민선4기 충북도가 사업추진 결정과정에서 구체적인 내용과 절차에 대한 타당성조차 평가하지 않고 무리하게 추진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BMC의 사업제안을 받고 담당부서와 도가 내부의 면밀한 검토과정 없이 무리하게 사업을 추진한 것은 지방선거와 경제자유구역 지정이라는 상황적 여건에 대처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도가 주도적으로 사업을 추진하지 못해 오히려 민간인이 사업을 주도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말했다.
검증위는 오송 생명과학 프로젝트 추진방향에 대해 "현재 진행 중인 오송생명과학단지와 오송제2생명과학단지, 첨단의료복합단지, KTX오송역세권 개발 등은 상호연계성을 갖고 국내외 컨설팅 전문기업을 통한 사업예비타당성 검토와 전략수립 용역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국내 진출에 관심을 갖고 있는 기존 미국 4개 MOU 체결기관은 물론 앞으로 국내진출을 고려하는 관련기관들의 발굴과 이러한 프로젝트에 자금을 투자할 수 있는 해외투자자를 유치할 수 있는 전략수립이 요구된다"고 제안했다.
검증위는 "국내의 부동산경기와 개발사업의 면밀한 분석·예측 결과에 따라 적합한 수준의 단계적 추진 방안 마련이 요구되고 민선5기 민간투자자 유치를 위한 전략적 활동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맞춰 충북도는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와 생명과학단지, 오송제2단지, 오송KTX역세권을 아우르는 명칭을 '오송 바이오밸리'로 결정했다.
도의 바이오밸리 종합계획에 따라 민선 4기의 오송 메디컬그린시티 사업은 MOU 체결 상태의 일부 아이템을 제외하고 자동 폐기됐다.
하성진 기자 seongjin98@cctoday.co.kr
검증위는 이날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그동안 3차례에 걸쳐 평가된 내용과 담당 실무자, 미국 파견 공무원 등의 보고서를 종합한 결과 현실성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들은 "BMC의 프로젝트는 사업구상만 있었지 타당성을 검증할만한 재정계획이 없어 구체적인 평가가 어려울뿐만 아니라 SPC 설립도 참여기업들간 사업운영권과 지분율에 관한 의견차이로 설립작업이 답보상태"라며 "도를 대신해 출자하려던 충북개발공사도 이미 민선4기에 사업계획서 없이는 SPC 참여가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설명했다.
검증위는 "MOU를 체결한 미국의 전문병원과 학교는 직접적인 재정적 투자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병원·학교 설립 및 운영에 소요되는 막대한 자금을 투자할 수 있는 국내외 투자자의 확보가 미지수"라고 분석했다.
검증위는 대형프로젝트임에도 불구하고 민선4기 충북도가 사업추진 결정과정에서 구체적인 내용과 절차에 대한 타당성조차 평가하지 않고 무리하게 추진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BMC의 사업제안을 받고 담당부서와 도가 내부의 면밀한 검토과정 없이 무리하게 사업을 추진한 것은 지방선거와 경제자유구역 지정이라는 상황적 여건에 대처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도가 주도적으로 사업을 추진하지 못해 오히려 민간인이 사업을 주도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말했다.
검증위는 오송 생명과학 프로젝트 추진방향에 대해 "현재 진행 중인 오송생명과학단지와 오송제2생명과학단지, 첨단의료복합단지, KTX오송역세권 개발 등은 상호연계성을 갖고 국내외 컨설팅 전문기업을 통한 사업예비타당성 검토와 전략수립 용역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국내 진출에 관심을 갖고 있는 기존 미국 4개 MOU 체결기관은 물론 앞으로 국내진출을 고려하는 관련기관들의 발굴과 이러한 프로젝트에 자금을 투자할 수 있는 해외투자자를 유치할 수 있는 전략수립이 요구된다"고 제안했다.
검증위는 "국내의 부동산경기와 개발사업의 면밀한 분석·예측 결과에 따라 적합한 수준의 단계적 추진 방안 마련이 요구되고 민선5기 민간투자자 유치를 위한 전략적 활동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맞춰 충북도는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와 생명과학단지, 오송제2단지, 오송KTX역세권을 아우르는 명칭을 '오송 바이오밸리'로 결정했다.
도의 바이오밸리 종합계획에 따라 민선 4기의 오송 메디컬그린시티 사업은 MOU 체결 상태의 일부 아이템을 제외하고 자동 폐기됐다.
하성진 기자 seongjin98@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