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기조가 만연하면서 대전·충남지역 산부인과 2곳 중 1곳은 분만실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산부인과 건강보험 수가인상 등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낙연 의원(사진)이 보건복지부로터 제출받은 '요양기관 종별 분만실 설치기관 현황' 분석결과에 따르면 지난 6월말 현재 전국의 요양기관 중 3668개소에 산부인과 진료과목이 설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중 분만실을 운영하고 있는 곳은 전체의 27%인 1007곳에 불과했다.
이는 지난해와 비교해 28%가 감소한 수치로 저출산 추세 등으로 산부인과의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대전에서는 전체 81곳의 산부인과 중 절반 수준인 44곳 만이 분만실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동구가 3곳으로 가장 적었고, 중구가 7곳, 유성구·대덕구 각각 9곳, 서구가 16곳으로 가장 많았다.
충남은 102곳 중 44곳이 분만실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금산과 당진, 서천, 청양 등은 지역 내 단 1곳의 분만실만 운영돼 태아와 산모 보호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낙연 의원은 "태아와 산모 보호에 취약한 사각지대가 존재한다는 것은 사회적으로도 큰 문제"라며 "산부인과 분만수가 인상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이에 따라 산부인과 건강보험 수가인상 등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낙연 의원(사진)이 보건복지부로터 제출받은 '요양기관 종별 분만실 설치기관 현황' 분석결과에 따르면 지난 6월말 현재 전국의 요양기관 중 3668개소에 산부인과 진료과목이 설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중 분만실을 운영하고 있는 곳은 전체의 27%인 1007곳에 불과했다.
이는 지난해와 비교해 28%가 감소한 수치로 저출산 추세 등으로 산부인과의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대전에서는 전체 81곳의 산부인과 중 절반 수준인 44곳 만이 분만실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동구가 3곳으로 가장 적었고, 중구가 7곳, 유성구·대덕구 각각 9곳, 서구가 16곳으로 가장 많았다.
충남은 102곳 중 44곳이 분만실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금산과 당진, 서천, 청양 등은 지역 내 단 1곳의 분만실만 운영돼 태아와 산모 보호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낙연 의원은 "태아와 산모 보호에 취약한 사각지대가 존재한다는 것은 사회적으로도 큰 문제"라며 "산부인과 분만수가 인상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