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가입 절차가 형식에 치우쳐 막상 필요한 상품 정보를 얻는데 오히려 부작용을 낳고 있다는 지적이다.
가입 서류에 자필 서명 및 기재란이 20여 곳에 달하고, 가입 확인을 위해 걸려온 전화도 속사포같은 상담원의 질문에 “예”라는 대답을 건성으로 하게 된다는 것.
게다가 가입 후 받는 보험상품 약관은 너무 두껍고 글씨도 작아 다 읽기전에 지쳐버린다는 것이 보험 소비자들의 주장이다.
대다수 소비자들은 이것들이 향후 보험금 지급 과정에서 불이익이 발생해도 보험사는 책임이 없다는 증거로 작용, 결국 보험사의 ‘면피’를 위한 작업이 아니냐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최근 가족들의 건강보험 가입을 위해 네 식구의 가입 서류를 작성한 최모(44·대전시 대덕구) 씨는 꼬박 30분간 100여 곳이 넘는 곳에 서명을 한 뒤 가입확인 전화까지 받는 동안 상품에 대한 문의 한 번 제대로 할 수 없었다.
최 씨는 “집을 살 때도 서너번만 하면 되는 자필서명이 보험 가입할때는 1인당 20곳이 넘어 설계사의 설명을 제대로 들을 수가 없다”며 “서류작성 이후 녹취된다며 가입과정을 확인하는 보험사의 전화는 상담원의 말도 빠르고 질문이 형식적이라 수동적으로 대답하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결국 이게 다 나중에 보험금 지급으로 분쟁이 나면 보험사 책임은 없다는 데 동의하는 것 아니냐”고 덧붙였다.
보험사측은 이것이 불완전 판매를 막기 위해 어쩔 수 없는 과정이라고 설명한다.
고객이 직접 서명을 함으로써 보험 상품에 더욱 관심을 갖게 되고, 주의사항 자필 기재를 통해 혹시 발생할 수 있는 민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것.
그러나 소비자들은 가입절차의 간소화, 약관의 슬림화를 요구하고 있다.
보험 가입자 이모(31) 씨는 “가입 과정을 보면 사고발생시 보장을 해주려는 것인지 안해주려고 꼼수를 쓰는 것인지 헷갈릴 때가 많다”며 “가입할 때 억지로 서명을 시키는 대신 어떤 경우에 보험금 지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지 사례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약관도 얇고 가볍게 만들어 정말 읽어볼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가입 서류에 자필 서명 및 기재란이 20여 곳에 달하고, 가입 확인을 위해 걸려온 전화도 속사포같은 상담원의 질문에 “예”라는 대답을 건성으로 하게 된다는 것.
게다가 가입 후 받는 보험상품 약관은 너무 두껍고 글씨도 작아 다 읽기전에 지쳐버린다는 것이 보험 소비자들의 주장이다.
대다수 소비자들은 이것들이 향후 보험금 지급 과정에서 불이익이 발생해도 보험사는 책임이 없다는 증거로 작용, 결국 보험사의 ‘면피’를 위한 작업이 아니냐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최근 가족들의 건강보험 가입을 위해 네 식구의 가입 서류를 작성한 최모(44·대전시 대덕구) 씨는 꼬박 30분간 100여 곳이 넘는 곳에 서명을 한 뒤 가입확인 전화까지 받는 동안 상품에 대한 문의 한 번 제대로 할 수 없었다.
최 씨는 “집을 살 때도 서너번만 하면 되는 자필서명이 보험 가입할때는 1인당 20곳이 넘어 설계사의 설명을 제대로 들을 수가 없다”며 “서류작성 이후 녹취된다며 가입과정을 확인하는 보험사의 전화는 상담원의 말도 빠르고 질문이 형식적이라 수동적으로 대답하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결국 이게 다 나중에 보험금 지급으로 분쟁이 나면 보험사 책임은 없다는 데 동의하는 것 아니냐”고 덧붙였다.
보험사측은 이것이 불완전 판매를 막기 위해 어쩔 수 없는 과정이라고 설명한다.
고객이 직접 서명을 함으로써 보험 상품에 더욱 관심을 갖게 되고, 주의사항 자필 기재를 통해 혹시 발생할 수 있는 민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것.
그러나 소비자들은 가입절차의 간소화, 약관의 슬림화를 요구하고 있다.
보험 가입자 이모(31) 씨는 “가입 과정을 보면 사고발생시 보장을 해주려는 것인지 안해주려고 꼼수를 쓰는 것인지 헷갈릴 때가 많다”며 “가입할 때 억지로 서명을 시키는 대신 어떤 경우에 보험금 지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지 사례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약관도 얇고 가볍게 만들어 정말 읽어볼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