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안희정 충남지사에게 공문을 보내 4대강 사업에 제동을 거는 관련, 대행 사업을 포기할 것인지 아니면 계속할 것인지를 직접 확인하고 사업권 회수여부를 결정키로 했다.
국토해양부 4대강살리기추진본부 김희국 부본부장은 1일 “일부 공구에서는 해당 광역단체장의 반대로 4대강 사업이 지지부진한 상태”라며 “해당 광역단체장들이 언론 등을 통해 사업을 보류하거나 중단하겠다고 밝히면서도 정식으로 공문 등을 통해 입장을 보내온 적은 없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이번 주 대전국토관리청장 명의로 안희정 충남지사에게 직접 공문을 보내 4대강 사업 추진여부에 대해 공식적인 답변을 요구할 방침이다.
4대강 추진본부에 따르면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등 4대강의 170개 공사구간 가운데 각 지방국토관리청이 지자체와 대행 계약을 맺고 공사를 위임한 공구는 54곳(31.8%)이다.
4개 공구의 공사를 대행하는 충남은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사업을 재검토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토부는 안 지사가 사업추진 여부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받아본 후 사업권을 회수해 해당 지방국토관리청이 직접 공사를 시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김 부본부장은 “지자체가 4대강 사업을 못하겠다고 밝히면 보 설치나 준설, 둑 보강 등 치수 분야 공사는 국가가 직접 하고, 지자체가 여건에 따라 시행하는 습지·공원 조성 등의 생태하천 사업 여부는 지자체가 알아서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7월 말 현재 4대강 사업의 평균 공정률은 22.4%(한강 24.3%, 낙동강 22.1%, 금강 26.5%, 영산강 17.3%)로 당초 계획을 11% 초과하고 있다. 핵심 공정인 보 건설은 43.8%, 준설은 25.7%(5억 2000만㎥ 중 1억 3000만㎥)가 진행된 상황이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
국토해양부 4대강살리기추진본부 김희국 부본부장은 1일 “일부 공구에서는 해당 광역단체장의 반대로 4대강 사업이 지지부진한 상태”라며 “해당 광역단체장들이 언론 등을 통해 사업을 보류하거나 중단하겠다고 밝히면서도 정식으로 공문 등을 통해 입장을 보내온 적은 없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이번 주 대전국토관리청장 명의로 안희정 충남지사에게 직접 공문을 보내 4대강 사업 추진여부에 대해 공식적인 답변을 요구할 방침이다.
4대강 추진본부에 따르면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등 4대강의 170개 공사구간 가운데 각 지방국토관리청이 지자체와 대행 계약을 맺고 공사를 위임한 공구는 54곳(31.8%)이다.
4개 공구의 공사를 대행하는 충남은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사업을 재검토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토부는 안 지사가 사업추진 여부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받아본 후 사업권을 회수해 해당 지방국토관리청이 직접 공사를 시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김 부본부장은 “지자체가 4대강 사업을 못하겠다고 밝히면 보 설치나 준설, 둑 보강 등 치수 분야 공사는 국가가 직접 하고, 지자체가 여건에 따라 시행하는 습지·공원 조성 등의 생태하천 사업 여부는 지자체가 알아서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7월 말 현재 4대강 사업의 평균 공정률은 22.4%(한강 24.3%, 낙동강 22.1%, 금강 26.5%, 영산강 17.3%)로 당초 계획을 11% 초과하고 있다. 핵심 공정인 보 건설은 43.8%, 준설은 25.7%(5억 2000만㎥ 중 1억 3000만㎥)가 진행된 상황이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