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법 형사3단독 김상일 판사는 29일 국내산 젖소고기를 호주산으로 둔갑시켜 시중에 판매한 축산물 유통업자 정 모(54) 씨를 사기 및 축산물가공처리법 위반 혐의로 징역 8월을 선고하고 법정구속했다.

김 판사는 판결문에서 “식육 종류 및 원산지를 표시, 판매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젖소고기를 ‘호주산’으로 표시, 판매해 선량한 소비자를 속였다”며 “젖소고기가 호주산 고기보다 싸다는 점을 이용해 부당이득을 취하는 등 죄질이 나쁘다”고 양형이유에 대해 설명했다. 정 씨는 대전 대덕구 오정동 모 식육판매점을 운영하며 지난 7월 2일 서구 탄방동 한 회사에 젖소 갈비 76.6㎏을 판매하는 과정에서 원산지가 '호주산'으로 표시된 라벨을 상자 또는 비닐봉지 겉면에 부착해 식육의 원산지를 허위로 표시한 혐의다.

정 씨는 이 같은 수법으로 모두 16회에 걸쳐 1260여만 원 상당을 챙긴 혐의다. 이성우 기자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전교육 사상 첫 여성 직속기관장이 탄생했다.

대전시교육청은 내년 1월 1일자로 대전학생해양수련원장에 이봉희(58) 교육연수원 총무부장을 전보하는 등 지방공무원 179명에 대한 정기인사를 30일 단행했다.

이봉희 신임 대전학생해양수련원장은 지난 3월 사상 첫 여성서기관으로 승진한데 이어 일반직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직속기관장에 보임되는 영광을 안았다. 시교육청은 또 교육파견됐던 강경섭·위영복 4급 서기관을 각각 대전교육연수원 총무부장과 대전교육과학연구원 총무부장에 전보하고, 임철 대전시청 교육협력관은 4급 서기관으로 승진, 대전교육정보원 총무부장으로 발령했다.

이번 인사 규모는 승진 26명, 전보 105명, 교육파견 2명, 공로연수 1명, 신규임용 19명, 퇴직 19명, 타 시도 전출입 7명등 총 179명이다. 시교육청은 이번 인사에 대해 지난 12·17교육감 선거 후 그간 추진한 교육정책과 사업의 마무리와 다음 단계 도약을 위한 안정적인 조직 분위기 조성과 지방공무원 사기 진작 차원에서 승진 위주의 인사에 역점을 두고 소폭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서이석 기자 ab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100년의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한국농촌공사가 29일 한국농어촌공사로 사명을 변경하고 새롭게 출발했다. 농촌공사는 29일 공사 명칭 변경을 골자로 하는 ‘한국농촌공사 및 농지관리기금관리법’ 개정안이 이날 공포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공사 업무 분야에 어촌을 추가해 농어촌 균형발전을 위한 종합개발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됐다.

농촌공사는 30일 경기 의왕시 본사에서 현판 제막식을 갖고 15개 지역본부사업단과 93개 지사에서 사명변경 선포식을 동시에 개최할 예정이다. 홍문표 사장은 “국가균형발전의 토대는 도시와 농촌, 어촌이 함께 개발돼야 하는 데 그동안 어촌은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다”며 “앞으로 한국농어촌공사는 어촌에 대한 지역개발사업을 일원화해 농어촌 분야의 다양한 사업 추진의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임호범 기자 comst99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전시가 내년도 예산을 앞당겨 배정한 결과 연내 1363억 원이 조기 집행된다고 29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지난 21일자로 2009년도 예산 2조 2365억 원의 34.6%인 7749억 원을 배정해 계약을 추진, 모두 37건의 계약이 완료됐다.

완료된 사업으로는 대덕테크노밸리 진입로 개설공사, 유등천 좌안도로 건설공사, 동물원 진입도로 확장공사, 대전종합유통단지 북부진입로 건설공사 등으로 내년도 공사비만 1363억 원에 달한다.

시는 예산 조기 집행을 위해 기술직공무원으로 구성된 조기집행 '설계지원단'을 구성 운영하고 있으며, 신규사업의 행정절차를 대폭 단축하기 위해 내년도 상반기 발주사업은 모두 긴급입찰을 실시할 계획이다. 또 내년 6월까지 수의계약 대상도 확대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지방비 매칭 국고보조사업의 경우 기존 국비와 지방비를 모두 확보해야 발주가 가능했으나, 국비가 확보된 경우 우선 발주토록 하고 향후 지방비가 확보되면 추가계약을 실시토록 했다.

시는 선금급은 착공과 동시에 70%까지 확대하고, 기성대가는 30일 간격으로 지급해 업계의 자금난에도 숨통이 트이게 할 계획이다.

한남희 기자 nhhan@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무자년(戊子年) 한 해가 이틀 남은 가운데 송년회 문화가 바뀌고 있다.

술 위주의 송년회에서 자원봉사, 불우이웃돕기 등 이웃과 함께하는 송년회로 탈바꿈하는 등 새로운 송년문화의 장을 펼치고 있기 때문이다.

매년 연말이 되면 각 음식점은 송년회를 하는 각 단체 직원들의 회식자리로 북적거렸지만 올해는 흥청망청 술로 보내는 송년회가 아닌 경비를 줄여 불우이웃돕기에 나서는 따뜻한 송년모임이 늘어나고 있다.

각 기관과 단체, 모임 등은 먹고 마시는 일회성 회식자리보다는 가까운 보육원이나 복지원을 찾아 함께 구슬땀을 흘리며 자원봉사를 하는가 하면 독거노인 가구를 방문, 위문품을 전달하는 등 이웃사랑을 실천하고 있다.

대전지방경찰청의 경우 이달에만 20여 건 이상의 봉사활동을 펼쳤다. 연말을 음주가무로 보낼 것이 아니라 불황으로 더욱 힘든 생활을 하고 있는 소외된 이웃과 함께하는 것이 뜻 깊다는 직원들의 의견이 반영된 것이다.

대전청은 지난 12일 대전 동구 가양동 늘사랑아기집 봉사활동을 시작으로 동구 이사동 대전나사렛집 봉사활동, 독거노인 90가구에 위문품 전달, 행복공동체 자원봉사 등을 펼쳤다.

충남지방경찰청도 공식적인 송년회 자리를 갖기보다 각 과 혹은 일선서 별로 불우이웃돕기에 발 벗고 나섰다. 지난 11일 논산 장애인시설 자원봉사를 시작으로 독거노인 1181명에 대해 방범진단 및 봉사활동을 펼쳤고 소년소녀가장, 다문화가정 등에 장학금을 전달했다.

대전지법도 마찬가지다. 법원도 각 과별로 소외된 이웃 봉사활동을 나가는 등 먹고 즐기는 송년회를 탈피했다.

이 같은 추세는 각 기관과 단체뿐만이 아니다. 각 가정에서도 비싼 호텔이나 레스토랑에서 외식을 하기보다 집에서 저렴하게 즐기는 대신 남은 경비를 불우이웃돕기에 기부하는 따뜻한 사랑나누기가 주류를 이뤘다.

정 모(35) 씨는 "지난해까지만 해도 가족들과 함께 외식을 했는데 올해는 그 비용으로 불우이웃돕기에 성금했다"며 "주위의 많은 사람들도 외식보다는 가족과 함께 보육원 등에 봉사활동을 나가는 일이 많아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성우 기자

scorpius75@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 2009년 기축년 소띠의 해를 맞아 29일 유성구청 앞마당에서 소 입방식이 열려 어린이들이 송아지 한 쌍을 신기한 듯 바라보고 있다. 김상용 기자 ksy21@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전시가 내년이면 지방자치제 실시(1949년)에 따라 대전부에서 대전시로 개칭된 지 60주년을 맞는다. 또 일반시에서 직할시로 승격(1989년)된 지 20년이 되는 뜻 깊은 해이기도 하다.

대전은 급격한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지난 60년간 인구는 12만 6704명에서 2007년 말 현재 148만 7836명으로 12배 늘어났다.

또 면적은 지금 대덕구(68.44㎢)의 절반가량인 35.7㎢에서 539.78㎢로 무려 15배나 확대됐다.

면적과 인구는 꾸준히 늘은 반면 세대당 인구 수는 한 때 6.4명(1962년)에 달하던 것이 핵가족화와 정부 가족계획정책에 따라 2007년 말 현재 절반도 안 되는 2.8명에 불과하다. 부부를 제외하면 한 집에 한 자녀도 살고 있지 않은 셈이다.

   

△오늘 대전에서는 36명의 아기 울음소리 들려2

오늘 대전에서는 36명이 태어나지만 16명이 사망하고 있다. 25쌍이 결혼하는 반면 10쌍은 서로 다른 길을 택한다. 차량은 하루 41대씩 늘고 있고, 쓰레기는 하루 1349톤씩 수거된다. 물은 1인당 하루 362ℓ를 쓰고, 유류와 전력은 150만 시민이 1만 4094배럴과 1만 8894MWH를 각각 소비하고 있다. 가스사용량도 1일 131만 6540㎥에 달한다. 공공도서관은 하루 1만 2394명이 이용하고 있고, 우편물은 67만 5000통이 오간다.

△60년간 인구 12배, 면적은 15배

1940년 6만 97여 명이던 인구는 1949년 법률 제32호(1949.7.4 공포)로 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라 대전부가 대전시로 개칭되면서 12만 6700여 명으로 2배가량 늘어났다. 이후 1975년 50만을 넘어선 인구는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면서 법률 제4049호(1988.12.31 공포)로 대덕군 전역 편입과 함께 대전직할시가 된 1989년 100만 명 시대를 열었다. 2007년 말 현재 대전시 인구는 동구 24만 6911명, 중구 26만 6773명, 서구 50만 5186명, 유성구 25만 3818명, 대덕구 21만 5148명 등 총 148만 7836명이다.

   

직할시 승격 당시 12%를 넘던 인구증가율은 이후 3~4%대에서 1~2%대로 떨어지더니 2003년부터는 1%대 이하를 밑돌고 있다. 2007년 인구증가율은 0.8%로 전년대비 1만 2000여 명 증가에 그쳤다. 65세 이상 고령자와 외국인은 통계를 시작한 1993년 각각 5만 2955명과 2148명에 불과했지만, 2007년 말 현재 각각 11만 4209명과 1만 2177명으로 단 시간 내에 큰 증가 추이를 보였다. 대전시의 면적은 1949년 35.7㎢에서 2007년 말 현재 539.78㎢로 무려 15배나 커졌다. 행정동은 81개동(법정동 178개)으로 2627개통에 1만 3674반으로 구성돼 있다. 전국(남한) 면적에 대한 구성비로 볼때 대전은 16개 시도 중 광주(0.5%)에 이은 0.54%로 14위며 경북이 19.02%로 가장 넓다. 5개 구 중 가장 면적인 넘은 구는 유성구로 전체 면적의 33%에 달라는 177.24㎢다. 가장 작은 구는 중구로 11%규모인 62㎢다.

△예산 50년 만에 415배, 조세징수 1만 3563배 증가

지난 1958년 9600만 원에 불과했던 대전시 예산은 2007년 예산은 일반 회계 2조 7786억 원과 특별회계 1조 2014억 원을 합해 3조 9800억 원으로 늘었다. 화폐 가치 개념을 떠나면 무려 414.6배나 늘어난 것이다. 조세 징수액은 58년 국세 2억 3200만 원과 지방세 2600만 원을 합해 2억 5800만 원에서 2007년 국세 2조 4769억 원과 지방세 1조 222억 원 등 총 3조 4991으로 1만 3563배 증가했다. 대전시 공유재산은 2007년 말 현재 토지 4조 9213억 2400만 원, 건물 6199억 4576억 원, 주식 4874억 4636만 원 등 총 6조 287억 1638만 원으로 조사됐다.

   

△지역내총생산 38년 만에 873.5배

지역내총생산(GRDP)은 1968년 214억 원이던 것이 38년이 지난 2006년 18조 5497억여 원으로 무려 873.5배나 증가했다. 1인당 생산수준은 68년 6만 1000원에서 2006년 970만 7000원으로 159배 높아졌다.

경제활동인구는 67년 15세 이상 인구 20만 2000명 중 10만 명이었으나 2007년 119만 5000명 중 70만 9000명으로 7배 늘었다. 한남희 기자 nhhan@cctoday.co.kr

■ 표로 보는 대전시 변천사

구석기시대-조선시대
구석기
시대
둔산동 일대
신석기
시대
둔산동 일대
청동기
시대
괴정동, 탄방동, 둔산동 부근
마한시대 신흔국(후한서 동이전, 위치: 유성구 계산동대정동 부근)
백제시대 우술군(우술군. 노사지현. 소비포현) 황등야군(진현현)
신라시대 비풍군(유성현, 적오현), 황산군(진잠현)
고려시대 공주목, 회덕군, 유성현, 진잠현, 덕진현, 충순현
(1176. 2 ∼1177.  7 명학소의 민란때)
조선시대 태종13년(1413): 공주목(회덕현, 진잠현)
현종12년(1600):  호구-2,490(7면), 인구-남 5,278 여 5,017
고종32년(1895):  회덕군, 진잠군
1900년대 -1930년대
1905.
 1.  1
경부선 대전역 개통
1914.
  3. 1
회덕군, 진잠군 일부 통합 대전군 대전면(현 인동, 중동,원동, 정동, 삼성동)으로 됨.
면적:5.71㎢, 군청이전(읍내동→원동), 호남선 철도 개통
1917.
10.  1
대전면이 지정면으로 되고, 외남면의 대전리 수침리 대흥리 목척리 발암리 무사리 일부 외천리 일부 소제리 일부 편입
1931.
 4.  1
처음으로 대전도시계획사업 실시. 대전면이 대전읍으로 승격(인구:2만 3284명)
1932.
10.  1
충청남도 도청이전(공주→대전). 외남면 방축리 대사리 부사리, 유천면 용두평리(하평) 편입
1935.
10.  1
대전읍이 대전부로 승격. 대전군 폐지되고 대덕군 신설(면적:11.36㎞, 인구:39,061명)
1940년대-1960년대
1940.
11. 1
외남면의 산소리 용방리 탁곤리 가양리 홍도리, 산내면의 석교리, 유천면의 평리 일부(상평), 유천리, 과례리 및 당대리 편입(면적:35.71㎢, 인구:69,712명)
1949.  8.15 법률 제32호(1949.7.4 공포)로 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라 대전부를 대전시로 개칭
(면적:35.71㎞,  인구:126,704명, 가구:22,338)
1963.
 1.  1
법률 제1175호(1962.11.21 공포) 대덕군의 유천면 전역과 회덕면의 대화, 오정, 용전리, 산내면의 옥계 삼정 가오 효동리를 편입(면적:88.21㎞, 인구:289,511명, 35개 행정동, 54개 법정동)
1970년대-1980년대
1970.
 7. 1
대동, 성남, 삼성, 선화, 문창, 용두, 대흥동 분동(45개 행정동, 54개 법정동)
1970.
 9.17
경부고속도로 완전개통(서울∼부산)
1970,
12.30
호남고속도로 개통(대전∼전주)
1971.
 7.  1
시조례 제461호(1971.6.2 공포)로 4개 출장소 설치(동부:11개동, 중부:14개동, 북부:9개동, 서부:11개동)
1977.
 9. 1
대통령령 제8667호(1977.8.27 공포)로 출장소제를 폐지하고 동구청, 중구청 설치
1983.
  2.15
대통령령 제11027호(1983.1.10 공포)로 대덕군 유성읍과 회덕면 전역, 구즉면의 원촌문지전민용산리 일부, 탄동면의 신성 가정 도룡 장동 내동 화암 덕진 하기리,  기성면의 관저 도안 가수원리, 진잠면의 내동교촌대정용계학하리를 편입 행정 구역확대
1983.
10. 1
중구 유성출장소 설치(온천1동, 온천2동, 문지동, 신성동  관할)
1984.
 9. 1
시조례 제1404호(1984.9.1 공포)로 유성출장소를 시직할출장소로 승격
1987.
 1. 1
대통령령 제12007호(1986.12.23 공포)로 대덕구 진잠면 계산리 일원을 대전시 중구에, 중구 삼천동 일부를 동구 오정동에, 동구 오정동 일부를 중구 중촌동에 편입
1988.
 1. 1
대통령령 제12367호(1987.12.31 공포)로 서구청 신설(3구 1출장소 63개동)
1989.
  1. 1
법률 제4049호(1988.12.31 공포)로 대덕군 전역 편입과 함께 대전직할시가 됨(진잠면 남선리 제외).(면적:540㎞, 인구:1,051,795명,  5개구-동구 중구 서구 유성구 대덕구, 75개 행정동, 176개 법정동)
1990년대-현재
1990.
 1. 1
대덕구 조례 제207호(1989.12.7 공포)로  회덕2동을 회덕2동과 중리동으로 분동(75개동→76개동)
1991.
 7. 8
대전직할시의회 개원
1995.
 1. 1
법률 제4789호(1994.12.20 공포) 지방자치법의  개정으로 대전광역시로 명칭 변경
1999.
 8. 6
대통령령 제16503호(1999.8.6 공포)로 동구  용전동 일부를 대덕구 중리동으로 편입
1999.
12.31
시조례 제2917호(1999.12.31 공포)로 대전광역시 시청의 위치를 중구 대흥동 499의1번지에서 서구 둔산동 1420번지로 변경
2002.
 4. 1
중구 조례 제581호(2002.2.22 공포)로 중구청의  위치를 중구 대흥동 125번지에서 중구 대흥동 499번지 1번지로 변경
2002.
 8. 8
서구 조례 제656호(2002.8.8 공포)로 서구청의  위치를 서구 갈마동 343의 28번지에서 서구 둔산동 1300번지로 변경
2003.
 1.28
유성구 조례 제594호(2003.1.28 공포)로  온천2동과 노은동으로 분동
2007.
 2. 5
유성구 조례 제738호(2007.1.5 공포)로 노은동이  노은1,2동으로 분동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취업시장이 경기한파로 꽁꽁 얼어붙어 각 대학들이 졸업생들의 취업지원에 사력을 다하고 있다.

일부 대학에서는 해외 취업시장으로의 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산학협력을 통해 맞춤형 인재를 양성, 기업체에 연결시키는 등 취업난 돌파를 위해 총력전에 나서고 있다.

28일 대전지역 대학들에 따르면 경기침체로 졸업생들이 극심한 취업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일부 대학 관계자들은 기업체들의 신규채용이 드물어 취업시장이 극도로 위축돼 "학생들의 취업률 현황을 파악하기조차 겁이 날 정도"라고 밝힐 정도다.

대전의 모 대학 관계자는 "신규채용은 말할 것도 없고 중소업체에 취직했지만 그 기업체가 도산돼 다시 취업시장 문을 두드리고 있는 졸업생들도 있다"며 취업시장의 체감한파를 전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각 대학들은 졸업생들의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 전담부서에서 별도 프로그램을 마련해 지원에 나서는 한편, 효율적인 취업을 위해 다각도의 대안을 마련, 시행하고 있다.

배재대는 정보전자소재공학과 등이 일본 IT업체들과 결연을 맺어 해당업체에서 요구하는 기술인력을 양성하는 방식으로 졸업생들의 해외취업을 유도하고 있다.

일본 IT업체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인건비에 현장에 즉시 투입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춰 국내 대학 졸업자들을 선호한다.

배재대 정보전자소재공학과 졸업 예정자 10여 명은 학교 측의 노력에 힘입어 최근 일본 IT업체 취업에 성공했다.

기업체와 대학 간 산학협력 관계를 이용한 졸업생들의 취업유도도 대학 측이 적극 활용하고 있다. 대학에서 개발한 기술을 이전받은 기업체에서 관련기술을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인력이 필요해 해당대학 및 학과 출신 졸업자들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이다.

좁은 취업문 대신 창업에 눈을 돌린 졸업생들을 위해 체계적인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경우도 있다.

대전대는 졸업생들의 소자본 창업이나 1인 창업 등을 효율적으로 지원키 위해 ‘창업아카데미’ 등을 개설, 운영할 예정이다.

배재대 건설환경·철도공학과 이범희 교수는 “기업체들은 같은 조건이면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즉시 전력용’ 인재들을 선호하고 있다”며 “대학들도 단순한 자격증 취득지원보다는 취업시장에서 우위에 설 수 있도록 효율적인 지원안을 마련,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전 시내버스가 30일부터 전면 개편된 노선으로 운행한다.

이번에 개편된 노선안에 따르면 정류소 4~5개를 무정차하는 2개 급행노선이 새롭게 도입됐고,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도시철도 간 무료 환승횟수도 늘어나 현재 60분 이내 1회를 80분 이내 3회로 확대됐다.

시내버스 노선이 대대적으로 개편됨에 따라 당분간 혼란이 예상되지만, 웹페이지를 이용한 경로안내 시스템을 통해 새로운 노선을 가장 알기 쉽게 찾을 수 있다.

△출발·도착지만 입력하면 척척=지난달 26일부터 대전시 홈페이지와 네이버, 야후, 엠파스, 오디세이 등 주요 포털사이트(검색어 '대전시 노선개편')를 통해 서비스되고 있는 이 시스템은 한 달여 만에 접속건 수가 30여만 건에 이른다.

이 시스템은 유성구 노은 2지구 반석역에서 프로야구 경기를 보기 위해 한밭야구장에 가기 위해 노선을 검색할 경우 출발지와 도착지 검색창에 각각 ‘반석역’과 ‘한밭야구장’으로 설정하고 경로검색을 버튼을 누르면 된다.

이럴 경우 안내 시스템은 각각 1회씩 환승하는 3가지 방법을 제시하는데, 2가지는 101번을 타고 충남대 앞에서 108번이나 313번·620번, 다른 1가지는 116번을 타고 충남대 앞에서 108번을 타는 방법이다. 총 이동거리는 물론 탑승 및 환승, 하차장소가 그림으로 나타난다.

버스경로 검색 외에도 ‘노선번호 검색창’을 이용하면 버스별 배차시간과 주요 경유지를 알려주고 지도에 이동경로를 표시해준다. 또 정류장 이름을 모를 땐 ‘정류장찾기’ 기능을 이용, 직접 정류장을 찾은 뒤 해당 정류장을 클릭하면 그곳을 지나는 모든 버스를 알려준다.

△내년 4월까지 두 차례 보완=시는 웹을 이용하기 어려운 시민들을 위해 대전시 콜센터(120)와 대전시 대중교통과 안내전화(042-600-3902~4)를 통해서도 노선을 설명하고, 각 처에 66만 부의 노선안내 책자를 별도로 제작해 배포했다.

시는 30일부터 개편안 운영을 통해 실제 생활현장에서의 불편함을 면밀히 조사한 뒤 내년 2월과 4월 두 차례 추가 노선 조정을 마무리 할 계획이다.

앞서 대전시청 직원들이 버스 정류장에 배치돼 오전 7시부터 9시, 오후 5시 30분부터 7시 30분까지 이용객들에게 노선과 환승방법 등을 안내한다. 시행 첫 날인 30일 오전에는 오전 6시 30분부터 11시 30분까지 안내한다.

시 관계자는 "당분간 시민들의 불편이 예상되지만 내년 4월까지 재조정 과정을 거쳐 노선이 안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남희 기자 nhhan@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행정도시 건설현장에서 채취된 골재 대부분이 부지 성토작업에 사용되며 마구잡이 식으로 땅에 매몰돼 자원 낭비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28일 행정도시건설청과 지역 건설업계에 따르면 행정도시 부지조성공사는 지난 2006년 7월 착공 이후 현재 본궤도에 진입한 가운데 현장에서 채취된 골재 상당량이 재활용 선별작업없이 성토작업에 쓰이고 있다. 이에 대해 국책사업인 행정도시 건설사업의 경우 국고로 지원되는 만큼 경제논리로 볼 것이 아니라 자원재활용등 공익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업계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본보 취재 결과, 행정도시 건설현장 내 국도 1호선 및 1-5생활권 1공구 부지조성공사 현장에서 이 같은 작업 행태가 확인됐다.

국도 1호선 현장사무실 관계자는 “채굴과 성토의 비율이 1대 1에 가깝다”며 “선별이나 반출, 재활용에 대해 별다른 지시를 받은 바 없다”고 말했다. 1-5생활권 공사현장 관계자도 “본 공구의 경우 암석 매장량이 많고 상대적으로 토사량이 적어 30㎝ 이하로 파쇄해 암(岩)을 성토용으로 활용하고 있다”며 “운반비와 가공비 등을 감안하면 현장 내에서 활용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고, 강한 암이 아니어서 성토용으로 밖에 활용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지역 건설업체 관계자는 “골재로 쓰일 수 있는 암을 논을 메우는 성토용 재료로 쓴다는 것은 자원관리 측면에서 낭비다”라며 “지역 사업체의 경우 골재 충당을 위해 멀쩡한 석산(石山)을 깨곤 하는데 행정도시 공사현장에서 귀한 골재를 그대로 땅에 묻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비난했다. 그는 “절차상 하자가 없다는 단순한 생각으로 재활용을 번거롭게 여겨 실행에 옮기지 않는 것”이라며 “행정도시 건설사업 관리감독부서가 나서 해결할 충분한 명분이 있는 일이 아니냐”고 반문했다. 행정도시 건설사업의 부지조성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토지공사 측은 골재 재활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검토한 바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토지공사 행정도시건설본부 관계자는 “채굴된 암의 양과 성토작업에 사용된 비율 등은 단정적으로 말하기 어렵다”며 “대부분 성토작업에 사용 중이며 일부가 보조기층 등에 활용된다. 공사비 절감에 역점을 두고 사업을 진행 중이므로 경제성 극대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행정도시건설청은 내년에 22건, 2조 1588억 원 규모의 시설공사물량을 발주키로 하고, 이 가운데 93%(2조 64억 원)를 상반기 발주할 방침이어서 골재 채취작업에 대한 재검토가 이뤄지지 않는 한 향후 진행되는 공사에서도 채취된 골재가 현장 내 성토작업에 사용될 것으로 보여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황의장 기자 tpr111@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