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지역 성장동력 마련을 위한 청주국제공항 항공복합산업단지 개발 정책의 적기 추진 필요성이 제기됐다.
한국항공대학교 연구팀은 8일 충북도청 종합상황실에서 열린 ‘청주국제공항 항공복합산업단지 개발 타당성 검토’ 용역 최종보고서에서 청주국제공항을 동북아 항공산업 거점으로 조성하고 항공복합산업단지를 지역 성장동력으로 활용하기 위한 정부 정책의 적기 추진을 강조했다.
연구팀은 청주국제공항이 연계교통망, MRO클로스터, IBT중심 첨단산업단지, 광역물류거점시설 등 항공복합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우수한 여건을 갖춘 것으로 분석했다.
여기에 항공산업시장, 항공MRO클로스터 시장, IBT시장, 동북아항공운송·항공물류시장, 동북아 통합시장 전망이 양호해 항공복합단지 조성사업 전망을 밝게 해주고 있다.
또 연구팀은 “오송, 오창, 청주첨단산업단지 생산품은 항공물류를 기반으로 수출입되는 글로벌 총공급망관리를 하는 고부가상품들로 인근 청주국제공항을 물류지원거점기능 수행을 위한 항공복합산업단지로 조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항공기정비센터(MRO), 항공기 부품 유통·물류시설과 연계한 항공부품제조 거점 등 항공관련 산업단지 조성을 통한 청주국제공항의 항공관련 첨단산업 거점화 육성 방안도 제시됐다.
이밖에 청주국제공항을 도가 추진중인 경제자유구역 공항중심형 개발방안이 마련돼 눈길을 끌었다. 이 개발방안을 통해 항공부품, 제조 등 관련산업의 접적·활성화와 오송, 오창, 충주 등 산업단지 지원 항공물류와 복합물류 거점화를 이룰 수 있다.
이와함께 세종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오송·오창첨단산업단지 등 배후산업경제기반 확충과 입주업체의 비즈니스 창출 지원, 산업지원시설, 쇼핑·레저 중심 기능을 갖춘 항공복합산업단지 개발 방안이 마련됐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청주국제공항을 주변산업단지와 연계를 통한 공항중심형 경제자유구역으로 조기 지정해야 한다”며 정부 정책의 적기 추진을 재강조했다.
경제자유구역 조기 지정 외에도 외국투자기업 유치, 국제화 지원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배려, 세제·유치 인센티브 등 입주촉진 지원, 핵심시설 확보지원, 기타 지원방안 등이 제시됐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한국항공대학교 연구팀은 8일 충북도청 종합상황실에서 열린 ‘청주국제공항 항공복합산업단지 개발 타당성 검토’ 용역 최종보고서에서 청주국제공항을 동북아 항공산업 거점으로 조성하고 항공복합산업단지를 지역 성장동력으로 활용하기 위한 정부 정책의 적기 추진을 강조했다.
연구팀은 청주국제공항이 연계교통망, MRO클로스터, IBT중심 첨단산업단지, 광역물류거점시설 등 항공복합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우수한 여건을 갖춘 것으로 분석했다.
여기에 항공산업시장, 항공MRO클로스터 시장, IBT시장, 동북아항공운송·항공물류시장, 동북아 통합시장 전망이 양호해 항공복합단지 조성사업 전망을 밝게 해주고 있다.
또 연구팀은 “오송, 오창, 청주첨단산업단지 생산품은 항공물류를 기반으로 수출입되는 글로벌 총공급망관리를 하는 고부가상품들로 인근 청주국제공항을 물류지원거점기능 수행을 위한 항공복합산업단지로 조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항공기정비센터(MRO), 항공기 부품 유통·물류시설과 연계한 항공부품제조 거점 등 항공관련 산업단지 조성을 통한 청주국제공항의 항공관련 첨단산업 거점화 육성 방안도 제시됐다.
이밖에 청주국제공항을 도가 추진중인 경제자유구역 공항중심형 개발방안이 마련돼 눈길을 끌었다. 이 개발방안을 통해 항공부품, 제조 등 관련산업의 접적·활성화와 오송, 오창, 충주 등 산업단지 지원 항공물류와 복합물류 거점화를 이룰 수 있다.
이와함께 세종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오송·오창첨단산업단지 등 배후산업경제기반 확충과 입주업체의 비즈니스 창출 지원, 산업지원시설, 쇼핑·레저 중심 기능을 갖춘 항공복합산업단지 개발 방안이 마련됐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청주국제공항을 주변산업단지와 연계를 통한 공항중심형 경제자유구역으로 조기 지정해야 한다”며 정부 정책의 적기 추진을 재강조했다.
경제자유구역 조기 지정 외에도 외국투자기업 유치, 국제화 지원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배려, 세제·유치 인센티브 등 입주촉진 지원, 핵심시설 확보지원, 기타 지원방안 등이 제시됐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