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이 극성을 부리는 7~8월엔 열사병과 일사병으로 숨지는 사례가 늘어난다. 2006년부터 4년간 열사병 및 일사병에 관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심사 자료를 토대로 월평균 환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체 환자의 78%가 7~8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40세 이상이 전체의 75.1%에 달한다. 생활리듬이 깨지기 쉬운 요즘 같은 때 고통을 겪는 계층은 만성질환자는 말할 것도 없고 노약자, 특히 홀로 사는 노인들이다. 이들에 대한 사전예방·사후관리 시스템이 치밀하게 작동돼야 함은 물론이다.
재해 차원에서 범국가적으로 폭염에 대처하는 것은 당연하다. 중앙부처나 기상청은 물론 각 지자체도 각 분야별로 폭염 종합대책을 마련해서 소정의 매뉴얼대로 움직이고 있다. 2008년부터 폭염 특보제를 도입, 기상변화에 대한 사회의 대응력을 높인 것도 그래서였다. 기상여건에 따라 미리 신속하게 대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앞으로도 보강돼야 할 분야다.
폭염으로 인한 피해는 인명뿐만 아니라 농수축산물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다. 살인적인 더위는 가뜩이나 어려운 경제사정과 맞물려 짜증을 불러일으키는 심리적 요인으로도 꼽힌다. 그런 가운데서도 냉방 전기수요 또한 늘어나면서 전력 사용량도 연일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울 것이다. 그러나 무더위로 인한 피해는 매년 반복적인데다 그 규모도 확대되면서 유형도 복잡해지는 양상을 띤다.
이럴수록 주변 노약자에 대해 먼저 배려하는 시민정신이 요구된다. 응급의료시스템의 점검도 필수적이다.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가동 중인 '폭염 태스크포스'의 활동, '무더위 쉼터', '폭염 도우미'에만 맡겨둘 일이 아니다. 노약자들을 위한 폭염대비 행동요령, 폭염 시 작업 중단 등의 요령 홍보도 필요하다. 인적·물적 손실 최소화를 위한 각 주체의 노력이 무엇보다 긴요하다. 외부 위협에 대한 우리 사회 전체의 집단 대응력은 그 사회의 경쟁력을 가늠할 수 있는 단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