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충북경찰이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참여연대)와의 갈등을 불사하고 이례적으로 '강력 응수'에 나선 배경은 뭘까?
<본보 27일자 5면 보도>충북경찰과 참여연대간 갈등의 발단은 내부통신망에 지휘부 비판글을 올리고 근무소홀 등을 이유로 해임된 장모 경위가 낸 해임처분 무효 확인청구소송에 대해 청주지법이 원고승소 판결하자 참여연대가 지난 24일 발표한 환영성명에서 불거졌다.
참여연대는 성명을 통해 "경찰은 법원판결을 존중하라"고 한 뒤 “연초에 음주운전으로 물의를 일으킨 도경 수사과장은 감봉조치했음에도 순찰에 빠지고 비판글을 올렸다는 이유로 해임당한 장 경위 사태를 비교하며 지역사회에서 많은 비판이 일었던 것도 사실이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음주사고와 관련된 내용에는 직책과 시기의 오류가 있었다.
성명에 적시된 '음주사고'는 지난해 6월 말 발생한 충북경찰청 소속 중견간부의 일로, '연초'와 '도경 수사과장'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자 참여연대는 이 대목을 삭제했다.
성명내용 중 표기상 오류문제는 충북경찰청 홍보담당관실 소속 한 경찰관이 지난 26일 ‘허위사실을 유포한 참여연대는 머리 숙여 사과하고 책임져야 한다’는 제목의 글을 올리면서 불거졌다.
이 글이 뜨자 삽시간에 30개의 댓글이 올라왔다. 댓글자는 충북청 홍보담당관(총경)과 홍보계장(경정)을 비롯한 경찰관들이 대부분이다.
이들은 “충북경찰에 사죄해야 마땅할 것이다”,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참여연대 결국 일 저질렀네요” 등의 댓글은 물론 “경찰은 결코 호락호락한 조직이 아니다”라는 표현까지 서슴지 않았다.
과거 일부 단체들이 경찰을 의도적으로 흠집내려 사실을 왜곡해도 숨죽이고 있거나, 비선라인을 통해 대응을 하던 충북경찰이 전례없이 발끈하고 나선 것이다. 그렇다면 배경이 뭘까?
경찰 등에 따르면 이번 대응은 충북청 홍보실이 자처했다. 홍보실은 장 경위에 대한 경찰의 해임처분이 잘못된 게 아니라 징계수위가 다소 지나치다는 게 법원판결의 핵심이라는 점을 부각하려했다.
홍보실은 이철규 청장의 승낙을 받아 참여연대에 응수했다. 글을 올리고서는 동료들의 '지원사격'을 원했는지 충북경찰청 각 부서에 고지했다.
하지만 홍보실의 이례적인 대응은 '득보다는 실'이 많았다는 게 중론이다. 우선 홍보실이 스스로 음주사고와 관련된 내용을 언급한 탓에 정작 주장하고 싶었던 '장 경위에 대한 징계타당성'은 묻혔다.
'도경 수사과장의 음주운전'이 전혀 사실무근이었다면 '허위사실유포로 인한 경찰의 명예훼손' 주장에 힘이 실렸겠지만 단지 직급과 시기의 오류가 있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누워서 침 뱉은' 격이 됐다.
동료 경관들의 '지원사격'도 형편없었다. 충북경찰의 인원 수가 3000여 명에 가깝지만 댓글은 30여개가 고작이었다. 올라온 댓글마저 홍보실이 '총대를 메면서까지' 주장하고 싶었던 '장 경위의 징계타당성'에 대한 지원은 전무하고, 음주사고의 표기오류에 대해서만 따졌다. 이는 경찰내부에조차 본말이 전도된 홍보실 주장이라는 방증이다.
참여연대에 대한 홍보실의 대응을 놓고 적잖은 경찰관들이 부정적 시각을 보내기도 했다.
한 경찰간부는 "서면을 통한 (음주사고) 내용삭제와 착오로 인한 사과요청을 하는 품격있는 대응을 했어야 했다. 이성을 잃고 그저 감정에 치우친 대응이 결과적으로 더 큰 망신만 당했다"고 했고, 다른 경관은 "그간 '역할 부재'라는 내부지탄을 받아온 홍보실이 이번 기회로 지휘부에 존재성을 보여주고자 자처한 '속 보인' 행동인 것 같다"고 전했다.
하성진 기자 seongjin98@cctoday.co.kr
<본보 27일자 5면 보도>충북경찰과 참여연대간 갈등의 발단은 내부통신망에 지휘부 비판글을 올리고 근무소홀 등을 이유로 해임된 장모 경위가 낸 해임처분 무효 확인청구소송에 대해 청주지법이 원고승소 판결하자 참여연대가 지난 24일 발표한 환영성명에서 불거졌다.
참여연대는 성명을 통해 "경찰은 법원판결을 존중하라"고 한 뒤 “연초에 음주운전으로 물의를 일으킨 도경 수사과장은 감봉조치했음에도 순찰에 빠지고 비판글을 올렸다는 이유로 해임당한 장 경위 사태를 비교하며 지역사회에서 많은 비판이 일었던 것도 사실이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음주사고와 관련된 내용에는 직책과 시기의 오류가 있었다.
성명에 적시된 '음주사고'는 지난해 6월 말 발생한 충북경찰청 소속 중견간부의 일로, '연초'와 '도경 수사과장'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자 참여연대는 이 대목을 삭제했다.
성명내용 중 표기상 오류문제는 충북경찰청 홍보담당관실 소속 한 경찰관이 지난 26일 ‘허위사실을 유포한 참여연대는 머리 숙여 사과하고 책임져야 한다’는 제목의 글을 올리면서 불거졌다.
이 글이 뜨자 삽시간에 30개의 댓글이 올라왔다. 댓글자는 충북청 홍보담당관(총경)과 홍보계장(경정)을 비롯한 경찰관들이 대부분이다.
이들은 “충북경찰에 사죄해야 마땅할 것이다”,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참여연대 결국 일 저질렀네요” 등의 댓글은 물론 “경찰은 결코 호락호락한 조직이 아니다”라는 표현까지 서슴지 않았다.
과거 일부 단체들이 경찰을 의도적으로 흠집내려 사실을 왜곡해도 숨죽이고 있거나, 비선라인을 통해 대응을 하던 충북경찰이 전례없이 발끈하고 나선 것이다. 그렇다면 배경이 뭘까?
경찰 등에 따르면 이번 대응은 충북청 홍보실이 자처했다. 홍보실은 장 경위에 대한 경찰의 해임처분이 잘못된 게 아니라 징계수위가 다소 지나치다는 게 법원판결의 핵심이라는 점을 부각하려했다.
홍보실은 이철규 청장의 승낙을 받아 참여연대에 응수했다. 글을 올리고서는 동료들의 '지원사격'을 원했는지 충북경찰청 각 부서에 고지했다.
하지만 홍보실의 이례적인 대응은 '득보다는 실'이 많았다는 게 중론이다. 우선 홍보실이 스스로 음주사고와 관련된 내용을 언급한 탓에 정작 주장하고 싶었던 '장 경위에 대한 징계타당성'은 묻혔다.
'도경 수사과장의 음주운전'이 전혀 사실무근이었다면 '허위사실유포로 인한 경찰의 명예훼손' 주장에 힘이 실렸겠지만 단지 직급과 시기의 오류가 있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누워서 침 뱉은' 격이 됐다.
동료 경관들의 '지원사격'도 형편없었다. 충북경찰의 인원 수가 3000여 명에 가깝지만 댓글은 30여개가 고작이었다. 올라온 댓글마저 홍보실이 '총대를 메면서까지' 주장하고 싶었던 '장 경위의 징계타당성'에 대한 지원은 전무하고, 음주사고의 표기오류에 대해서만 따졌다. 이는 경찰내부에조차 본말이 전도된 홍보실 주장이라는 방증이다.
참여연대에 대한 홍보실의 대응을 놓고 적잖은 경찰관들이 부정적 시각을 보내기도 했다.
한 경찰간부는 "서면을 통한 (음주사고) 내용삭제와 착오로 인한 사과요청을 하는 품격있는 대응을 했어야 했다. 이성을 잃고 그저 감정에 치우친 대응이 결과적으로 더 큰 망신만 당했다"고 했고, 다른 경관은 "그간 '역할 부재'라는 내부지탄을 받아온 홍보실이 이번 기회로 지휘부에 존재성을 보여주고자 자처한 '속 보인' 행동인 것 같다"고 전했다.
하성진 기자 seongjin98@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