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인사 청문회에서 각종 의혹이 제기됐던 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가 29일 오전 전격적으로 후보직을 자진사퇴했다.
그의 총리 후보직 사퇴는 지난 8일 이명박 대통령의 지명 이후 21일만이다. 김 후보 사퇴에 따라 이 대통령과 청와대는 후임 총리 인선에 착수할 방침이다.
김 후보자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저의 문제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친 데 대해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더는 누가 될 수 없다는 생각으로 총리 후보직을 사퇴하고 백의종군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잦은 말 바꾸기 등으로 야당은 물론 여당 내에서도 사퇴불가피론이 나온 것과 관련, "억울한 면도 있지만 모든 것이 제 부덕의 소치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김 후보자는 "사람에게 제일 중요한 미덕을 신뢰라고 생각한다"며 "국민의 신뢰가 없으면 총리직에 임명되어도 무슨 일을 할 수 있겠느냐"며 ‘무신불립(無信不立)’을 총리 후보직 사퇴 결심의 배경으로 설명했다.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이재훈 지식경제부 장관 내정자도 이날 김 후보 사퇴발표 직후 자진사퇴 의사를 밝혔고, 이 대통령도 이를 수용해 후임 장관 내정자 인선이 불가피해졌다.
이 대통령은 두 장관 내정자의 사퇴 의사를 전달받고 "안타깝다. 모두가 능력과 경력을 갖춘 사람들인데 아쉽다"고 밝혔다고 임태희 대통령 비서실장이 전했다.
임 실장은 이날 청와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이 말한 뒤 "이 대통령은 인사 내정 후 8·15 경축사에서 '함께 가는 국민, 공정한 사회'를 국정기조로 제시하고 개각 내용에 대해 그간 국민의 눈높이에 미흡한 부분이 있다는 평가가 있다는 점을 고려, 이번에 내정자들의 사퇴 의사 발표는 국민의 뜻에 따른 것으로 이해하고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밝혔다"고 발표했다.
한편, 김 후보자의 사퇴에 대해 여당인 한나라당은 논평 등을 통해 “이명박 정부의 국정운영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한 고심 어린 결단으로 평가한다”라며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평가했고, 민주당과 자유선진당 등 야당은 ‘당연한 결과’라며 총리 이외에 각종 비리 의혹을 받고 있는 다른 내정자에 대한 공세를 강화했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그의 총리 후보직 사퇴는 지난 8일 이명박 대통령의 지명 이후 21일만이다. 김 후보 사퇴에 따라 이 대통령과 청와대는 후임 총리 인선에 착수할 방침이다.
김 후보자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저의 문제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친 데 대해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더는 누가 될 수 없다는 생각으로 총리 후보직을 사퇴하고 백의종군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잦은 말 바꾸기 등으로 야당은 물론 여당 내에서도 사퇴불가피론이 나온 것과 관련, "억울한 면도 있지만 모든 것이 제 부덕의 소치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김 후보자는 "사람에게 제일 중요한 미덕을 신뢰라고 생각한다"며 "국민의 신뢰가 없으면 총리직에 임명되어도 무슨 일을 할 수 있겠느냐"며 ‘무신불립(無信不立)’을 총리 후보직 사퇴 결심의 배경으로 설명했다.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이재훈 지식경제부 장관 내정자도 이날 김 후보 사퇴발표 직후 자진사퇴 의사를 밝혔고, 이 대통령도 이를 수용해 후임 장관 내정자 인선이 불가피해졌다.
이 대통령은 두 장관 내정자의 사퇴 의사를 전달받고 "안타깝다. 모두가 능력과 경력을 갖춘 사람들인데 아쉽다"고 밝혔다고 임태희 대통령 비서실장이 전했다.
임 실장은 이날 청와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이 말한 뒤 "이 대통령은 인사 내정 후 8·15 경축사에서 '함께 가는 국민, 공정한 사회'를 국정기조로 제시하고 개각 내용에 대해 그간 국민의 눈높이에 미흡한 부분이 있다는 평가가 있다는 점을 고려, 이번에 내정자들의 사퇴 의사 발표는 국민의 뜻에 따른 것으로 이해하고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밝혔다"고 발표했다.
한편, 김 후보자의 사퇴에 대해 여당인 한나라당은 논평 등을 통해 “이명박 정부의 국정운영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한 고심 어린 결단으로 평가한다”라며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평가했고, 민주당과 자유선진당 등 야당은 ‘당연한 결과’라며 총리 이외에 각종 비리 의혹을 받고 있는 다른 내정자에 대한 공세를 강화했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