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티즌 김광식 사장이 돌연 사의를 표명하면서 그 배경에 지역체육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체육계 일각에선 지난 6·2 지방선거 이후 전임 시장이 임명했던 대전시생활체육회 사무처장이 자진 사퇴한 데 이어 3년 임기로 임명된 시티즌 사장이 11개월 만에 전격 하차하면서 지방선거에 따른 체육계 요직 ‘물갈이’가 시작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더욱이 지난달 시생활체육회 후임 사무처장에 현 시장의 최측근이 임명된 데 이어 대전시티즌 후임 사장에도 정치권 관계자들이 하마평에 오르면서 이 같은 시각에 무게를 더하고 있다.
최근에는 현 시장과 친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시체육회 관계자가 시생활체육회 부장(직대)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여러가지 오해를 사고 있다. 당초 1처 1부 3과로 운영되던 시생활체육회가 갑자기 1처 3부로 조직을 개편한 것도 해당 인사가 자리를 옮긴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란 추측도 나오고 있다.
5일 사의를 표명한 김광식 사장 역시 홈페이지 게시판을 통해 “전임시장의 정치적 정책이나 방침에 의견을 같이한 분들이 공공연하게 명예로운 퇴진을 언급해 운신의 폭이 좁아지고 구단 대표로서 당연하게 할일도 제약 당하는 것처럼 자괴감이 드는 시간의 연속이었다”고 밝혔다.
특히 일부 체육계 관계자들은 이번 사건이 김 사장의 사퇴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대전시티즌 사무국 직원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냐며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실제로 대전시티즌 직원들은 선거 이후 ‘누가 온다더라’식의 수많은 루머에 시달렸고 이날 김 사장이 돌연 사의를 표명하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지역 체육계 한 관계자는 “그동안 대전시티즌 등 지역 체육계는 선거 결과에 따라 매번 자리가 바뀌는 악순환이 계속돼 왔는데 이번에도 그 관행이 이어지는 것 같다”며 “이런 악습이 반복된다면 대전시티즌의 자생력은 결코 얻어질 수 없고 나아가 체육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체육계 일각에선 지난 6·2 지방선거 이후 전임 시장이 임명했던 대전시생활체육회 사무처장이 자진 사퇴한 데 이어 3년 임기로 임명된 시티즌 사장이 11개월 만에 전격 하차하면서 지방선거에 따른 체육계 요직 ‘물갈이’가 시작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더욱이 지난달 시생활체육회 후임 사무처장에 현 시장의 최측근이 임명된 데 이어 대전시티즌 후임 사장에도 정치권 관계자들이 하마평에 오르면서 이 같은 시각에 무게를 더하고 있다.
최근에는 현 시장과 친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시체육회 관계자가 시생활체육회 부장(직대)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여러가지 오해를 사고 있다. 당초 1처 1부 3과로 운영되던 시생활체육회가 갑자기 1처 3부로 조직을 개편한 것도 해당 인사가 자리를 옮긴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란 추측도 나오고 있다.
5일 사의를 표명한 김광식 사장 역시 홈페이지 게시판을 통해 “전임시장의 정치적 정책이나 방침에 의견을 같이한 분들이 공공연하게 명예로운 퇴진을 언급해 운신의 폭이 좁아지고 구단 대표로서 당연하게 할일도 제약 당하는 것처럼 자괴감이 드는 시간의 연속이었다”고 밝혔다.
특히 일부 체육계 관계자들은 이번 사건이 김 사장의 사퇴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대전시티즌 사무국 직원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냐며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실제로 대전시티즌 직원들은 선거 이후 ‘누가 온다더라’식의 수많은 루머에 시달렸고 이날 김 사장이 돌연 사의를 표명하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지역 체육계 한 관계자는 “그동안 대전시티즌 등 지역 체육계는 선거 결과에 따라 매번 자리가 바뀌는 악순환이 계속돼 왔는데 이번에도 그 관행이 이어지는 것 같다”며 “이런 악습이 반복된다면 대전시티즌의 자생력은 결코 얻어질 수 없고 나아가 체육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