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지역 저축은행들이 시중은행 예금금리 인상 이후 고객 이탈에 냉가슴을 앓고 있다.

5일 저축은행 업계에 따르면 지역 저축은행들의 정기예금(1년 만기)금리는 연 4.10%~4.50% 수준으로 평균 연 4.25%를 기록하고 있다.

시중은행의 일부 예금 상품들이 이미 저축은행보다 높은 금리를 자랑하고 있는가 하면, 우대금리를 포함하면 4% 중반까지 적용되는 상품들이 속속 출시되면서 은행과 저축은행간 금리차가 크게 줄어들었다.

저축은행들은 저축은행의 특성상 고객들의 충성도가 높아 우려할만한 상황은 아니라는 분위기다.

그러나 대부분의 저축은행 이용 고객들이 시중은행보다 1~2%가량 높은 예금금리에 대한 매력으로 충성도를 키운 만큼, 금리차가 줄어들수록 저축은행들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저축은행들은 하반기 중 예금금리 인상을 검토하고 있지만 그 폭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현재 경기침체로 인해 대출 수요가 크게 줄어든데다 부동산PF(프로젝트 파이낸싱) 부실논란으로 인해 그 비중이 줄면서 저축은행의 수익이 감소하고 있어 예금금리를 인상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저축은행권은 복리 이자 적용과, 여전히 시중은행보다 높은 금리로 고객을 지켜나간다는 방침이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그 차이가 많이 줄어들기는 했지만 여전히 저축은행들의 금리가 더 높다”며 “저축은행의 복리 이자 상품의 매력은 이용해 본 고객들만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고객 대부분은 조금이라도 더 높은 금리 때문에 이 곳을 선택한 만큼 저축은행만이 할 수 있는 상품을 통해 고객의 마음을 잡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 연일 계속되는 폭염에 농작물 피해가 우려되고 있는 가운데 청원지역의 한 농민이 고추지지대 보수작업을 하고 있다. 충청투데이 DB  
 
청주권을 중심으로 13일째 이어지고 있는 열대야 현상과 한낮 기온이 30도를 훨씬 웃도는 폭염이 기승을 부리면서 사회 곳곳에 사고·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농작물 작황 '빨간불'

마른 장마와 무더위로 농작물 작황에 빨간불이 켜졌다. 올해는 지난 2~3월 잦은 강우와 일조부족으로 과수의 생육지연과 착과불량, 4월 중·하순에는 이상저온에 따른 과수 꽃눈피해와 작물생육 지연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이어 비다운 비가 없었던 장마가 끝나고 폭염이 찾아오자 가뭄피해를 우려하는 농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5일 햇사레복숭아 주산지인 음성군에 따르면 올해 초 이상한파의 영향으로 1168㏊의 복숭아나무 가운데 499㏊가 동해를 입은 데다 꽃눈도 제대로 달리지 않아 생산량이 크게 줄 것으로 예상된다.

설상가상으로 생육적온 이상의 고온은 생육부진과 과실이 햇볕에 데거나 잎 가장자리가 타는 피해가 발생할 우려를 낳고 있다.

괴산의 대학찰옥수수와 충주 사과, 영동 포도 등도 같은 이유로 예년 수준에 못미치고 있다.

고추의 경우는 장맛비다운 비가 내리지 않고 병충해 발생도 적어 현재까지는 작황이 호조를 보이고 있으나 이상고온이 지속되면 수정장해로 열매가 열리지 않거나 열리더라도 낙과발생이 많아져 안심하기엔 이르다는 설명이다.

◆사망사고 잇따라

더위를 피하려다 사망에 이르는 사건·사고도 속출하고 있다.

지난 3일 오후 2시 56분 경 충북 괴산군 청천면 화양계곡에서 물놀이하던 고등학생 이모(17) 군과 임모(17) 군이 물에 빠져 병원으로 후송됐지만 숨졌다.

앞서 지난 1일 오후 1시 47분 경에는 괴산군 청천면 덕평리 거봉교 인근에서 물놀이를 하던 김모(18) 군이 물에 빠져 숨졌고, 같은날 오후 2시 40분 경에도 괴산군 장연면 조곡교 인근 하천에서 배모(46) 씨가 실종된 지 1시간 20여분 만인 이날 오후 4시 경 119구조대에 의해 숨진 채 발견되기도 했다.

충북도소방본부에 따르면 이달 들어서 4명이 수난사고로 숨지는 등 올해만 17명이 익사사고를 당했다.

폭염에 냉방기기를 틀어놓고 잠을 자다 사망하는 사고도 잇따르고 있다.

지난 4일 오후 1시 30분 경 청주시 흥덕구 복대동 한 이발소에서 에어컨을 켜고 잠을 자던 배모(54) 씨가 사망했고, 앞서 지난 2일 오전 7시 50분 경에는 단양군 단양읍의 한 상가에서 김모(56) 씨가 방안에서 에어컨과 선풍기를 틀어 놓고 잠을 자다 숨진 채 발견됐다.

숨진 배 씨와 김 씨는 창문 등이 모두 닫힌 밀폐된 상태에서 에어컨과 선풍기를 켜놓은 채 잠을 자다 변을 당했다.

◆재래시장 '울상'

여름철 휴가 시즌을 맞아 '반짝특수'를 누려야할 재래시장 상인들은 무더위로 손님들의 발길이 끊기면서 울상이다.

5일 충북상인연합회에 따르면 도내 재래시장의 최근 매출이 예년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으며, 방문 고객도 30%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가를 준비하는 여행객들이 찜통 더위를 피해 재래시장보다 대형마트를 찾는 경향이 많아지면서 매출감소로 이어진 것이다.

청주지역 한 시장상인은 "좀 더 시원한 곳을 찾아 대형마트로 몰리는 것은 이해하지만 장사가 너무 안 되다보니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휴가도 반납한 채 가게를 지키고 있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반면 도내 대형마트의 지난 7월 매출은 전달대비 20% 가량 상승했으며, 하루 평군 방문 고객수도 전달대비 10~15% 가량 많아진 것으로 전해졌다.

본사종합
Posted by 충투 기자단 :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재정난으로 각종사업 재검토에 나선 가운데 부동산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토지매각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주 율량택지개발지구 전경. 이덕희 기자 withcrew@cctoday.co.kr
118조의 엄청난 빚더미에 올라앉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대한 경영 정상화 해법으로 정부가 재정지원 방안이라는 카드를 꺼내 들었다.

최근 정부와 여야 정치권은 LH가 보금자리주택 사업 등 국가사업을 대행하면서 발생한 손실을 국가가 보전해야 한다며 9월 정기국회에서 관련법 심의에 착수키로 했다.

국토해양부도 5일 LH가 국민임대주택을 건설하기 위해 국민주택기금에서 빌린 건설자금 18조 원의 원금 상환 부담을 줄여주는 방안으로 현재 10년인 대출금 거치기간을 20년으로 연장해주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건설원가의 19.4%인 국민임대주택 건설자금에 대한 정부 재정 부담률을 확대 지원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되고 있다.

국토부는 LH 정상화를 위해 9월말로 예정돼 있는 LH의 재무구조 개선안 발표 전까지 청와대와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 최종 지원안을 확정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처럼 정부가 LH의 유동성 및 재무 압박 해소를 위해 다양한 지원 방안을 검토하면서 공기업 부실을 국민들의 혈세로 막는다는 비난을 면치 못할 전망이다.

결국 전국을 마구잡이식 공사판으로 만든 LH가 자체 구조조정에 힘을 싣기 보다는 적자 공기업 간 물리적 통합으로 거대 부실 공기업을 탄생시키면서 축소 사업지구 주민들을 피눈물 나게 만들고 국민들의 혈세만 축내게 만든 셈이다.

방만한 경영으로 재무관리에 실패한 LH는 정부에게만 해결책을 기대하면서 뒷짐만 지지 말고 뼈를 깎는 자체 구조조정 등 자구노력이 선행돼야 한다는 게 중론이다.

일반기업이라면 일찌감치 부도가 났을 부채 공룡기업 LH가 곪을 대로 곪은 이번 사태를 교훈으로 삼아 지혜롭게 발전방향을 정립하고 경영 정상화를 통한 알짜 공기업을 만들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란 지적이다.

게다가 향후 LH가 민간에 맡겨야 할 사업들은 넘기고 분양에 혈안이 되기 보단 본연의 임무인 서민 주거 안정화를 위해 임대주택 등에 노력을 기울일 때 국민들로부터 뜨거운 박수갈채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두성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경제연구실장은 “LH 부채문제의 위험성은 이전부터 끊임없이 제기돼 온 문제였다. 다만 화합적 통합이 아닌 물리적 통합이 이뤄지면서 통합 당시 부실 부분을 떨어내지 못했던 게 아쉬운 부분”이라며 “부실 규모가 너무 크기 때문에 스스로에게 맡겨서는 어려울 것이고, 국민들의 세금이 들어가더라도 공공기관으로서의 정립을 위해 정부가 지원, LH도 향후 발전방향을 정립해 인력조정이나 사업조정 등 자구노력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끝>

박한진 기자 adhj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