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중심연합 심대평 대표가 지난 2일 휴가를 떠나기 직전(지난달 31일)에 중앙당 당직자 전원이 제출한 사표를 수리한 것으로 5일 알려졌다.
국민련 대변인실은 이날 “중앙당 당직자 전원은 지난 6·2 지방선거 결과에 대한 책임과 국민중심의 정당으로 거듭나기 위한 당 쇄신책의 일환으로 일괄 사표를 제출했고 심 대표가 이를 받아들였다”고 밝혔다.
시·도당 당직자들은 이에 앞선 지난달 20일경 심 대표에게 사표를 제출한 상태다.
국민련은 6·2 지방선거에서 참패로 당을 이끌 추진동력을 상실한 상황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당직자들의 전원 사퇴는 사실상 당 해체 수순 밟기에 들어간 양상이다.
당의 최종 기착지는 현재 휴가 중인 심 대표가 복귀 후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 LA를 방문 중인 심 대표는 현재 당의 운명과 향후 개인의 정치적 행보에 대한 고민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의 한 관계자는 “모든 것을 심 대표에게 맡긴 상태로 결정만 남았다”며 “당직자들의 일괄 사표도 심 대표가 자유롭게 결단하도록 하자는 취지에서 진행된 일”이라고 말했다.
정가에선 국민련의 진로에 대해 자유선진당과의 당대당 통합을 가장 유력하게 보고 있다.
국민련이 비록 선진당에서 탈당해 만들어졌지만,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선진당과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다. 선진당 역시 6·2 지방선거 패배와 교섭단체 구성 실패, 7·28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 패배 등 정치적인 좌절로 인해 코너에 몰린 상태이다. 이 때문에 윈-윈(win-win) 차원에서 선진당과의 통합이 추진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선진당 이회창 대표는 물론 권선택 원내대표 등은 최근 국민련과의 합당에 대해 공공연하게 얘기하는 등 끊임없이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국민련의 한 관계자는 “국민련에 몸담고 있는 정치인의 입장에서나, 위기에 처한 선진당의 입장에서 볼 때 양 당이 손을 잡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국민련 해체와 선진당과의 합당 등에 대한 시기는 쉽사리 점칠 수 없어 보인다. 선진당과 합당을 하더라도 일정한 수순과 절차를 밟아야 하며, 조만간 있을 개각의 방향, 정계개편 등을 지켜봐야 한다는 것이다. 개각 명단에 심 대표의 이름이 포함될 수 있다는 일각의 기대 때문이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국민련 대변인실은 이날 “중앙당 당직자 전원은 지난 6·2 지방선거 결과에 대한 책임과 국민중심의 정당으로 거듭나기 위한 당 쇄신책의 일환으로 일괄 사표를 제출했고 심 대표가 이를 받아들였다”고 밝혔다.
시·도당 당직자들은 이에 앞선 지난달 20일경 심 대표에게 사표를 제출한 상태다.
국민련은 6·2 지방선거에서 참패로 당을 이끌 추진동력을 상실한 상황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당직자들의 전원 사퇴는 사실상 당 해체 수순 밟기에 들어간 양상이다.
당의 최종 기착지는 현재 휴가 중인 심 대표가 복귀 후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 LA를 방문 중인 심 대표는 현재 당의 운명과 향후 개인의 정치적 행보에 대한 고민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의 한 관계자는 “모든 것을 심 대표에게 맡긴 상태로 결정만 남았다”며 “당직자들의 일괄 사표도 심 대표가 자유롭게 결단하도록 하자는 취지에서 진행된 일”이라고 말했다.
정가에선 국민련의 진로에 대해 자유선진당과의 당대당 통합을 가장 유력하게 보고 있다.
국민련이 비록 선진당에서 탈당해 만들어졌지만,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선진당과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다. 선진당 역시 6·2 지방선거 패배와 교섭단체 구성 실패, 7·28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 패배 등 정치적인 좌절로 인해 코너에 몰린 상태이다. 이 때문에 윈-윈(win-win) 차원에서 선진당과의 통합이 추진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선진당 이회창 대표는 물론 권선택 원내대표 등은 최근 국민련과의 합당에 대해 공공연하게 얘기하는 등 끊임없이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국민련의 한 관계자는 “국민련에 몸담고 있는 정치인의 입장에서나, 위기에 처한 선진당의 입장에서 볼 때 양 당이 손을 잡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국민련 해체와 선진당과의 합당 등에 대한 시기는 쉽사리 점칠 수 없어 보인다. 선진당과 합당을 하더라도 일정한 수순과 절차를 밟아야 하며, 조만간 있을 개각의 방향, 정계개편 등을 지켜봐야 한다는 것이다. 개각 명단에 심 대표의 이름이 포함될 수 있다는 일각의 기대 때문이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