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대충청 방문의 해’를 앞두고 대전시가 홍보·마케팅에 나선다. 시는 충남·북과의 공동사업 9개, 자체사업 18개, 연계사업 57개 등 총 84개 사업을 확정짓고, 이달 중순부터 전국 홍보를 시작으로 본격 사업을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18개 자체사업으로는 △계족산 황토길을 이용한 투어프로그램 운영 △세계관광음식브랜드박람회 개최 △한밭로드스토리(대전의 녹색관광 홍보) 발간 △대전 보물찾기 △친절서비스 콘테스트 등이다.

또 충남·북 9개 공동사업에는 △관광지에서 무료 엽서를 발송할 수 있는 ‘엽서는 정을 싣고’ △몸과 손목에 빨간색 띠를 두르고 타지역에서 대전까지 도보순례하는 ‘Red 배너 충청국토순례’ △3개 시·도의 대표축제를 중심으로 개발한 관광상품인 ‘메가이벤트 관광상품’ 등이 선정됐다.

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2000만 명의 관광객 유치와 4400억 원의 경제적 파급효과, 9000여 명의 고용창출 효과를 예상하고 있다.

‘오셔유! 즐겨유! 대충청 2010’이란 슬로건을 내걸고, 내년 1월 27일 개막하는 ‘2010 대충청 방문의 해’ 사업은 연중 진행된다.

시 관계자는 “2010년을 계기로 대전의 관광문화가 새로운 모습으로 그려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관광업계, 학계, 시민, 사회단체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홍보를 펼쳐 범시민적 사업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박신용 기자 psy011@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지난해말 기준으로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부채가 전년보다 1조 3000억 원 증가했고 자산도 37조 1000억 원 가량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대전시의 부채총계는 5832억 원으로 전국 7개 특·광역시 가운데 가장 적었고, 충북도 역시 5105억 원으로 전국 9개 광역도 가운데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도는 6869억 원으로 경기, 경남, 강원, 경북에 이어 9개 광역단체 중 5위에 랭크됐다.

시 단위에서는 경기 시흥시의 부채규모(6058억 원)가 최대였으며, 군 단위에서는 연기군이 900억 원으로 전국 최대를 기록했다. 연기군의 부채규모가 많은 것은 전의산업단지 조성 등 각종 사업 관련 차입금(703억 원)이 많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 같은 결과는 행정안전부가 전국 246개 지자체의 지난해 12월 31일 현재 자산·부채, 1년간 수익·비용 등 재정상태와 운영 결과를 분석한 '지방자치단체 재무보고서'를 통해 밝혀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지자체의 공유재산과 사회기반시설(SOC), 현금 등을 합친 총자산은 882조 1328억 원으로 2007년(844조9701억 원)보다 4.4%(37조1626억 원) 증가했다.

지자체 단위별 자산 규모는 특·광역시 중 서울시가 117조 6820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도에서는 경기도가 28조 9682억 원, 일반시는 성남시가 16조 8534억 원, 군은 충북 청원군이 2조 4177억 원, 자치구는 서울 강남구가 4조 7362억 원으로 가장 컸다.

대전시의 자산 총계는 16조 6663억 원(특·광역시 중 5위), 충남은 11조 5276억 원(광역도 중 7위), 충북은 8조 121억 원(광역도 중 최하위) 등이다.

전국 지자체가 올린 총수익은 156조 2713억 원, 총비용은 125조 955억 원이었다.

대전시가 올린 총수익은 2조 1716억 원(특·광역시 중 6위), 총비용은 1조 9441억 원(특·광역시 중 6위)이었으며 충남도 총수익은 3조 1079억 원(광역도 중 6위), 총비용은 3조 382억 원(광역도 중 6위)이었다. 충북도의 총수익은 2조 2240억 원(광역도 중 최하위), 총 비용은 2조 1307억 원(광역도 중 8위)이었다.

전국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27만 6000여 명의 1인당 급여는 평균 4575만 원으로 나타났고, 도 단위가 5064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자치구가 4381만 원이었다.

정부 관계자는 "특별시와 광역시, 도의 부채증가 규모가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는 도시철도채권과 지역개발채권 발행 등이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투자성 채무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청주·청원 행정구역 통합은 지난 1995년과 2005년에 이어 3번째 기로에 서있다. 청주·청원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청원군이 청주시를 둘러싸고 있는 소위 ‘도넛형’의 자치단체로 지난 두 번의 통합 시도는 여론조사상 찬성이 높았음에도 주민투표에서 부결된 바 있다.

◆정부 자율통합 추진

현재 청주·청원 행정구역 통합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자치단체 자율통합’과 맞물려 진행되고 있다. 행안부의 자치단체 자율통합 일정에 따라 전국 46개 자치단체에서 주민 여론조사가 실시 중이며 오는 12일을 전후해 여론조사 결과 및 설문내용 등이 발표될 예정이다.

행안부는 여론조사 결과에 따라 찬성 여론이 높은 지역은 지방의회 의견청취, 주민투표 등의 법정 통합절차를 진행하고, 반대 여론이 많은 지역은 즉시 통합 논의를 중단한다는 방침이다.

청주·청원 통합에 대한 여론은 현재까지 실시된 많은 여론조사에서 통합 찬성의견이 과반수 이상, 때로는 70%를 상회했지만 청원군 지역의 반대 여론이 만만치 않아 통합 성사까지는 험로가 예상된다.

청주시와 청주시의회, 청주지역 시민단체는 한 목소리로 통합 찬성을 외치고 있다.

◆찬반단체 갈등

하지만 청원군의 경우 청원군, 청원군의회, 통합에 반대하는 청원사랑포럼과 통합에 찬성하는 청원청주통합추진군민위원회가 극렬히 대치하며 갈등을 겪고 있다. 엇갈린 통합 찬·반 의견이 거세지면서 청원군 지역에서는 통합과 관련된 왜곡된 정보가 사실인양 유포되고 있으며, 과열된 찬·반 운동으로 인해 청원군 남이면 공무원이 통합 찬성 측의 홍보물을 수거·폐기하다 적발돼 경찰의 소환조사 및 남이면에 대한 압수수색까지 이어졌다.

행안부가 행정구역 자율통합과 관련 과도한 찬·반 운동 자제를 권고하고 있지만 청주·청원 통합을 둘러싼 논란은 과열을 넘어 이전투구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주민들간 찬·반 의견이 엇갈린 청원군 지역의 경우 통합 운동에 유·무형의 제약을 받거나, 통합에 대한 의견이 다르다는 이유로 일방적으로 매도하는 등 주민간 갈등이 도를 넘어서고 있다.

정우택 충북도지사도 주민갈등이 심각해지자 지난달 22일 특별지시를 통해 상호간의 비방이나 집단행동 등 갈등 요인의 사전차단과 찬반 단체 간 의견 대립이 갈등으로 비화되지 않도록 예방에 나서줄 것을 강조했지만 상황은 호전되지 않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될 경우 통합 여부를 떠나 지역민들 간 갈등이 회복될 수 없는 지경까지 이를 수 있다는 우려도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

◆대책

청주청원통합은 주민들의 의사에 의해 결정돼야 한다는 주장에는 찬반양측 모두 이견이 없다. 그렇다면 현재 통합반대단체측에서 청원군민들에게 홍보하는 일부 잘못된 통합반대 논리에 대해서는 강력한 제동을 걸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통합추진단체에서 주장하는 일방적인 홍보도 자제하고 정부나 공인단체 등 양측이 신뢰하는 기관 단체를 통해 통합에 대한 순기능과 역기능을 정확히 알려야 한다는 주장이 무게를 싣고 있다.

한 지역원로는 “현재 청주·청원 통합에 가장 중요한 문제는 상호간 비방이나 인신공격이 아닌 양 시·군의 미래 발전을 위해 차분히 토론하고 고민하는 모습”이라며 “특히 정치인이나 소수의 기득권자 입장이 아닌 주민의 입장에 서서 통합에 대해 생각하고 판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본사종합>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주로 늦은 시간대 퇴근을 하는 직장인 임모(34) 씨는 야간 운전에 어려움을 호소한다.

골목골목 마다 세워져 있는 불법 주·정차 차량들로 중앙선을 넘는 등 곡예운전을 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최근 지역 내 야간 불법 주·정차 차량이 늘면서 운전자들을 중심으로 단속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지역 곳곳의 공터를 활용해 주·정차했던 화물차 등 대형차량들이 택지개발, 건물 신축, 도로확장 등에서 주차 장소를 찾지 못하자 도로변까지 나오면서 야간 교통사고 위험이 점차 높아지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대전시, 경찰청, 대전지방경찰청 등에 따르면 불법 주차해 있던 차량을 추돌해 발생한 사고는 지난 2004년 8건에서 올해 모두 97건으로 불과 5년 만에 10배 이상 늘었다.

대전지역의 교통사고 발생건수도 지난 2007년 모두 5366건에서 지난해 5484건, 올 10월까지 4793건으로 해마다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대전지역의 주정차 위반 단속건수는 지난 2007년 35만여 건에서 지난해 29만 7000여 건, 올 9월 현재 21만여 건으로 크게 줄고 있다.

대전시의 주정차 단속전문 계약직 요원이 지난해 상반기를 끝으로 계약 만료되면서 인건비 등을 이유로 더 이상 채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기에 각 구청 등 지자체에서 민원발생 등을 이유로 현장에서의 주정차 단속 업무를 소극적으로 전환했고, 카메라 등 기기를 이용한 단속업무도 오후 10시로 제한하면서 과태료 처분 등의 단속건수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최근 5년간 발생한 불법 주차 차량 사고 중 2/3 정도가 야간에 발생하는 등 도심속 불법 주·정차에 따른 폐해는 이만저만이 아니다. 또 불법 주·정차 차량을 미처 피하지 못해 사고가 발생했다 하더라도 민사적 책임이 10~30% 미만으로 제한되는 등의 관련 법규도 개선해야 할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지역의 한 교통전문가는 "운전자의 안전 운행도 중요하지만 정부 및 각 지자체의 과감한 단속과 투자가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비정규직법 시행과 맞물려 대량 해고 사태에 내몰린 대학 시간강사를 비정규직에서 제외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정부와 한나라당은 3일 대학 시간강사를 기간제 및 단시간 근로자 보호법(비정규직법)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현재 박사 학위 소지자는 전문직으로 분류돼 2년 근무후 계약해지를 하거나 정규직으로 전환해야 하는 비정규직법의 예외를 적용받지만 박사 학위 미소지자는 법에 따라 계약해지를 당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어서 형평성 논란이 제기돼 왔다.

당정은 연내 시행을 목표로 대통령령 개정에 나설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이석 기자 ab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내년 2월 11일까지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을 지급한 미분양주택에 한해 양도소득세가 면제되는 세제혜택에 힘입어 충남·북 지역의 미분양 주택 감소세가 뚜렷하다.

3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충남 미분양 주택 수는 1만 4195가구로 전달 1만 4595가구에 비해 400가구(2.7%)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올 들어 최저 수준이다.

충남의 미분양 주택 수는 1월 말 1만 6349가구, 2월말 1만 6926가구, 3월 말 1만 8251가구로 최고점을 찍은 뒤 4월 말 1만 7939가구, 5월 말 1만 7229가구, 6월 말 1만 6063가구, 7월 1만 6342가구, 8월말 1만 4595가구, 9월말 1만 4195가구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충북은 5568가구로 전달 6027가구에 비해 459가구(7.6%) 줄었다.

충북 역시 지난 3월 8087가구로 가장 많은 미분양 주택 수를 기록한 뒤 4월 7403가구, 5월 6812가구, 6월 6262가구, 7월 6245가구, 8월 6027가구, 9월 5568가구로 매월 감소하고 있다.

충남·북과 달리 대전의 9월 말 기준 미분양 주택수는 3300가구로, 전월대비 150가구(4.8%) 증가해 대조를 보였다.

준공이 끝났는데도 팔리지 않은 준공 후 미분양은 대전 490가구, 충남 5588가구, 충북 1383가구로 각각 나타났다. 박길수 기자 bluesky@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증시 침체와 부동산 규제 강화 등 투자시장이 불안해지면서 만기가 도래한 정기예금이 갈 곳을 찾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가을 시중은행 금리가 최고 연 7% 대를 돌파하는 등 시중자금을 끌어들였던 정기예금이 최근 만기가 집중되고 있지만, 막상 재투자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반면 올 여름 급등세를 탔던 주식·펀드 시장은 지난달부터 큰 진폭의 조정장을 겪으면서 상승 탄력을 잃으면서 투자처로서 매력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

또 그동안 시중자금의 피난처로 각광받던 단기투자상품도 금리 격차로 자금 이탈이 늘고 있는 모습이다.

최근 정기예금의 만기를 맞은 박 모(39) 씨는 “만기가 되면 펀드로 갈아타려고 했는데 증시가 다시 침체에 빠질 수 있다는 소문에 불안해서 넣지 못하고 있다”며 “지난해에는 높은 은행이자에 나름대로 만족했는데 막상 찾고보니 어디서 굴려야 할지 감이 안잡힌다”고 말했다.

이에 각 은행들은 예·적금 금리를 앞다퉈 연 5%대로 인상, 시중자금 흡수에 나서면서 갈 곳 없는 자금을 다시 불러모으고 있다.

박 씨처럼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상당수의 투자자들은 결국 정기예금에 다시 가입한다는 것이 은행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올 초와 달리 금리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둔화되면서 이자 차이를 무릅쓰고 초단기 금융상품에 머물기도 어정쩡하기 때문이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대표적인 단지 투자상품인 머니마켓펀드(MMF)의 순자산액은 74조 3328억 원으로 한 달사이 5조 8000억 원이나 감소했다.

반면 은행의 저축성 예금으로는 11조 6090억 원이 유입, 시중자금의 뚜렷한 흐름을 보였다.

그러나 투자자들 가운데는 지난해보다 줄어든 이자와 금리 상승에 대한 미련으로 정기예금 재가입을 미루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은행권은 이 같은 자금을 흡수하기 위해 예금이자보다 높은 복합상품을 잇따라 선보이며 자금을 유혹하고 있다.

하나은행의 경우 한시적으로 최고 금리가 연 17.4%에 달하는 주가지수연계예금(ELD)를 내놓으며 고금리에 미련이 남은 고객들을 공략하고 있다.

토마토저축은행이 연 8.4% 금리의 후순위채권(5년 만기) 발행하는 등 틈새 시장을 노리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주식시장에 대한 불안과 금리의 불만족 가운데서 결국 안정적인 정기예금으로 돌아서는 고객들이 늘고 있다”며 “이 같은 분위기는 한동안 계속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세종시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도시로 최근 거론되고 있어 충북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와 연계 가능성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행정도시 원안 추진과 수정을 놓고 여야의 각축전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세종시 과학벨트 거점도시 육성 논의는 오송 첨복단지의 성공적 추진을 염원하는 충북에 희소식으로 전해지고 있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발전 방향을 주제로 지난 2일 열린 토론회에서 과학벨트 거점지구로 세종시가 적합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날 토론회에서 "과학벨트 거점지구의 규모가 200만~300만 평 규모이기 때문에 2000만 평에 달하는 세종시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없다"며 "세종시는 이미 토지와 기간망이 구축돼 세종시 건설 계획에 맞춰 거점도시를 설계하면 가능성이 얼마든지 있다"는 설명이 이어졌다.

이어 "과학벨트 거점지구는 경제발전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교육, 연구, 기업, 금융기능을 최대한 집적시키는 전략적 개발지구여야 한다"며 세종시 거점도시 육성이 강조됐다.

이같은 구상안에 일각에서는 세종시 수정의 대안론이라는 비난여론이 일고 있지만 과학벨트 거점지구로 세종시가 현실화될 경우 오송 첨복단지가 얻는 이익은 엄청날 것으로 보인다.

우선 과학벨트 거점구역에 들어설 연구·치료의 핵심시설인 중이온가속기가 오송 첨복단지와의 연계가 가능해 진다.

과학벨트의 핵심사업 중 하나인 중이온가속기 설치사업은 충청권은 물론 다른 지역에서도 눈독을 들일 정도로 가치가 높아 충북도도 유치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구상안대로 세종시가 과학벨트 거점지역으로 육성되면 도는 힘 안들이고 오송 첨복단지와 중이온가속기를 연계할 수 있는 최대 기회를 잡게 된다.

오송 첨복단지에 중이온가속기가 프리미엄으로 붙게 되면 국내에서 사실상 따라올 수 없을 정도의 연구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 과학벨트에 조성될 세계적 수준의 기초과학연구원, 연구개발단지 등과 연계한 연구개발효과로 오송 첨복단지의 시너지효과가 커질 전망이다.

당초 대덕과 원주 등과 연계한 연구개발 계획에 오송 첨복단지가 중심축 역할을 수행하는 요건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과학벨트 거점구역 육성지역으로 세종시가 적합하다는 논의에 충북은 귀가 솔깃하다.

충북도 관계자는 "세종시가 국제비즈니스벨트 거점구역으로 육성되면 오송 첨복단지가 연계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중이온가속기 연계가 가장 큰 장점"이라며 "연구결과를 임상실험할 수 있는 병원도 유치돼 상생효과가 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박재원 기자 ppjjww7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속보>=청주·청원 통합 찬성 유인물 무단수거 등 관권개입을 수사 중인 경찰은 3일 청원군청 모 과장 등 중간관리자 2명과 직원 2명을 소환해 유인물 무단수거 개입 여부를 집중 조사했다. <본보 2일자 2면, 3일자 3면 보도>

이 사건을 수사 중인 청주흥덕경찰서는 3일 오후 청원군청 모 과장과 모 계장, 직원 2명을 소환해 조사를 벌였다고 밝혔다.

경찰은 이날 남이면사무소 직원이 통합 찬성 유인물을 무단으로 수거 한 것에 대해 개입했는지 여부 등을 집중적으로 캐물었다.

경찰은 특히 지난 1일 오전 청원군 남이면사무소를 압수수색 하면서 확보한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통합관련 서류 등에서 확인한 무단수거 조직적 개입 사실과 직접적으로 지시를 내렸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집중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조사에서 이들은 “무단수거를 지시한 사실이 없고 개입한 사실도 없다”며 혐의를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 관계자는 “청원군 중간관리자 외에도 관련된 청원군 공무원들에 대해 계속해서 조사를 벌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고형석 기자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충북도가 경기불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민을 위해 잠자는 보증금 등 찾아주기 사업을 추진한다.

충북도는 각 시·군별로 자치단체에 보관돼 있는 각종 보증금과 예치금 중에서 예치기간이 완료됐으나 소멸시효가 도래하지 않은 잠자는 보증금 등을 적극 찾아주기로 했다고 3일 밝혔다.

현재 도내 보증금과 예치금은 677건 169억 3700만 원으로 이중 잠자는 보증금과 예치금은 278건(41.1%) 6억 3100만 원(3.7%)이다. 또 지난해 찾아가지 않은 보증금과 예치금은 178건(26.8%)에 5316만 원으로 잡수입 처리됐다.

시·군별로 잠자는 보증금과 예치금은 진천군이 1억 6976만 원으로 가장 많고, 청원군 1억 1243만 원, 제천시 1억 221만 원, 충주시 7144만 원, 괴산군 6331만 원, 청주시 1641만 원, 영동군 3840만 원, 단양군 771만 원, 옥천군 428만 원, 음성군 77만 원 등이다.

도는 잠자는 보증금 찾아주기 정책이 생활공감정책 일환으로 추진되는 점을 감안해 잠자는 보증금과 예치금을 적극 찾아줄 것을 각 시·군에 지시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