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대전 도안신도시(서남부택지개발지구)에서 공동주택용지 해약사태가 빚어졌다.

<본보 3월 11일자 9면 보도>22일 한국토지공사 대전충남지역본부에 따르면 도안신도시 18개 블록 가운데 9블록(14만 9694㎡) 다음으로 최대 규모의 택지인 17블록(12만 7881㎡)을 추첨방식으로 분양받은 신일건업은 지난 19일 계약을 해지했다.

토공 측은 신일건업이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작업) 여파로 서남부지구 17블록 공동주택용지 계약을 해지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2006년 12월 공급된 서남부지구 17블록은 3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할 정도로 과열 경쟁을 보이던 공동주택용지이다.

공급가격은 1899억 원으로, 신일건업이 최근까지 납입한 땅값은 1074억 원이며 이번 해약으로 189억 9000만 원의 계약금을 포기했다.

이에 토공은 내달 말까지 신일건업이 서남부지구 17블록 현지에 건축한 모델하우스를 철거하는 대로 추첨분양 방식으로 부지를 재매각하기로 했다. 그러나 땅값이 만만치 않은데다 공공택지를 운좋게 낙찰받아도 택지비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현실에서 서남부지구 17블록 공동주택용지를 선뜻 매입할 건설사가 있을지 좀 더 두고 봐야 한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토공 관계자는 “서남부 공공택지라고 해서 과거와 같은 분양성을 장담하지 못하지만 벌써부터 문의를 해오는 업체가 있다”고 말했다.

박길수 기자 bluesky@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정부의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가 추진되면서 금강유역 백마강에 위치한 부여군은 초미의 관심을 가지고 정부방침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부여군은 금강정비사업 중 백마강 정비사업을 통해 해상교류 왕국이었던 사비백제시대의 화려한 부활을 꿈꾸고 있다.

부여군은 부여읍 저석리를 시작으로 부여군 양화면 시음리까지 약 50㎞의 백마강 정비사업으로 해상교류왕국 백제의 정신과 면모를 갖출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백마강 정비사업으로 각종 인프라 구축과 하도 정비, 준설 등이 실시돼 뱃길복원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전망하고 있다.

군은 백마강 르네상스를 통한 백제왕도 부여의 재탄생이란 비전 아래 금강 생태·경관과 친수공간 조성, 금강관광 자원화와 백제유적 정비, 금강과 주변지역 자원 연계 등 1조 2971억 원의 사업비를 정부에 요청했다.

부여군은 전략사업으로 '금강의 자연친화적 옛 모습 되살리기'를 위해 금강생태·경관 복원정비사업을 실시, 생태공원 조성(백마강 둔치 3곳,하황, 세도, 군수)과 금강 목장화 사업인 하구둑 어도(漁道) 개선, 어패류 방류 및 서식지 조성을 건의했다. 또 강변 경관을 위해 경관림 및 갈대숲을 조성사업하고, 뱃길 접근성 확보를 통한 '금강변 백제 유적 및 나루터 정비'를 실시해 백제유적정비(천정대, 왕흥서지, 임강사지)를 비롯 옛 나루터(진변, 반조원 나루) 정비·선착장 설치 및 주변 경관조성사업을 요구했다.

부여=양근용 기자 yong2004@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청주시 성안동 로데오거리 인근에 66㎡ 규모의 의류 및 잡화점을 운영하던 A 씨는 지난해 1억여 원의 권리금을 받고 점포를 처분했다.

하지만 최근 이 곳의 상권 매장(66㎡ 기준) 권리금은 7000여만 원으로 떨어졌으며, 거래도 거의 없는 편이다.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소비심리 위축으로 소비자들의 지갑이 닫혀 가두점 매출이 떨어지자 청주지역 성안길을 비롯, 주요 상권의 권리금과 임대료가 큰 폭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청주 성안길 중개업소에 따르면 지난해 중순 지하상가 인근 99㎡ 남짓한 점포가 보증금 5억 원에 월 임대료 1700만 원을 호가하고, 인근의 다른 상가도 평균 임대료가 700만~800만 원 선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최근 매물로 나오고 있는 비슷한 규모의 상가는 보증금 2억 원에 월 500만~600만 원 선으로 큰 폭으로 떨어지고 있다는게 업계의 설명이다.

매장을 처분하거나 상권을 옮겨 장사하지 않는 것이 권리금 손실을 막는 길이지만 불황으로 임대료와 대출이자 지불이 어려워 매장을 급하게 처분하는 점주들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새로운 상권으로 급부상했던 산남지구 및 지역의 각 상권들의 경우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산남지구 중심지역에 있는 상가들의 경우 가격은 예년 보증금 5000만 원에 월 150만 원 이상을 호가했으나, 현재는 보증금 4000만 원에 100만 원선의 가격 수준으로 책정되고 있는것으로 알려졌다.

또 최고의 유흥상권을 자랑하던 하복대동과 금천동 지역의 임대료도 큰 폭 감소하거나 급매물도 심심찮게 나오고 있으나 거래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밖에 대전의 중심상권인 대전 패션월드 쇼핑몰 내 의류 매장의 경우도 권리금이 지난해까지만 해도 1억 5000만 ~2억 원 수준이었으나 최근 개장한 남성복 브랜드 매장은 5000만 원만 지불한 것으로 전해졌다.

성안길 중개업소의 한 관계자는 “권리금과 임대료 하락 폭이 큰 것은 경기침체에다 대형 쇼핑몰과 아울렛몰이 주요 상권에 들어서면서 가두점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라며 “권리금은 예년의 40%가량 낮게 형성돼 있으며, 임대료 또한 큰 폭으로 떨어지는 곳도 있다. 특히 매장의 임대료와 대출이자 등 지불이 어려워 급매물로 나오는 상가들도 많아 경기침체를 실감하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영덕 기자 ydchoi@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충청권 명사모임인 백소회(총무 임덕규)가 지난 20일 서울 조선호텔에서 열린 가운데 대전의 현안사업이 화두로 떠올랐다.

박성효 대전시장은 이날 “공부를 못해도 부모가 백(배경)이 있으면 대학을 가는 데 열심히 공부해도 부모가 백이 없으면 고생을 하게 된다”며 대전 현안을 놓고 정치권에 대해 아쉬움을 토로했다.

김시중 전 과기부 장관도 “박 시장이 과학기술을 중심으로 첨단의료단지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뇌과학연구소 등 큰 일을 벌여 놓았는 데 정치적으로 진척이 되지 않아 무척 고생을 하고 있다”며 “대덕연구단지의 경우 대략 300조 원 정도의 브랜드 가치를 갖고 있는 데 이 같은 가치를 무시하고 (정부가) 다른 데 관심을 갖고 있는가”라고 말했다.

이날 백소회에서는 충청향우회 정종택 신임 총재에 대한 덕담도 오고갔다. 류근창 전 충청향우회 총재는 “이 분보다 더 부지런한 사람을 보지 못했다. 과거 사무관 시절부터 새벽 4시부터 움직인 사람으로 장관을 3번이나 했다”며 “도지사와 충청대에서 무려 14년간 4번이나 총장을 역임한 분으로 충청의 인물이 향우회를 맡게 됐다”고 말했다. 조부영 전 국회부의장 역시 “과거 국회 예결위 계수조정위에서 활동을 했는 데 정 총재는 자신과 관련된 예산이 있으면 밤을 새워 지켜봤을 정도로 일을 꼼꼼히 챙겼다” 고 주장했다.

이날 백소회에는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 고흥길 한나라당 의원, 친박연대 노철래 의원, 김희수 건양대 총장, 김형태 한남대 총장, 최민호 소청심사위원회 위원장, 이원범 전 의원 등이 참석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엑셀] 아파트 매매가·전세금
대전지역 아파트 거래시장이 다소 한산해졌다. 수요가 줄어 집값 상승세도 둔화되고 있는 양상이다.

◆대전 매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 대전충청지사에 따르면 최근 2주간 (7~20일) 대전 아파트값 변동률은 -0.01%로 2주 전 변동률(-0.03%)보다 0.02%포인트 줄었으나 약보합세를 이어갔다. 지역별은 △동구(0.04%) △대덕구(0.01%) △유성구(0.01%) 등이 소폭 오른 반면에 중구(-0.06%)와 서구(-0.02%)는 여전히 하락세다. 면적대별로는, 85~99㎡형 0.08%, 66㎡형 이하 0.04%, 102~115㎡형 0.03%, 69~82㎡형 0.01% 순으로 주로 중소형 면적대에서 올랐다.

그러나 168~181㎡형 -0.36%, 185㎡형 이상 -0.19%, 152~165㎡형 -0.11%, 119~132㎡형 -0.04%, 135~148㎡형 -0.03% 순으로 중대형 면적대에서 내렸다.

개별단지별로는, 둔산동 햇님 112㎡형이 1000만 원 오른 2억 8000만 원의 시세를 형성했다.

또 하기동 송림마을 2단지 116㎡형이 500만 원 오른 2억 7000만 원, 동구 홍도동 신동아파밀리에 111㎡형이 250만 원 오른 1억 8000만 원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반면 유성구 지족동 반석마을 3단지 177㎡형은 1000만 원 하락한 5억 2500만 원, 중구 태평동 버드내마을 208㎡형도 1000만 원 하락한 2억 9000만 원을 보였다. 서구 둔산동 한마루 112㎡형이 500만 원 하락한 2억 6500만 원, 만년동 강변 152㎡형이 500만 원 하락한 3억 3000만 원을 기록했다.

◆전세 시장

최근 2주간 0.04%의 변동률을 보여 봄 이사철이 마무리되는 모습이다. 지역별로는, 서구(0.17%)와 대덕구(0.03%)가 조금 오른 반면에 유성구(-0.12%)와 동구(-0.05%)는 내렸고, 중구(0.00%)는 보합세를 유지했다.

면적대별로는, 69~82㎡형이 0.14%, 102~115㎡형이 0.12% 오른 반면에, 168~181㎡형 -0.40%, 135~148㎡형 -0.14%, 66㎡형 이하 -0.09%, 119~132㎡형 -0.07%, 152~165㎡형 -0.04% 순으로 주로 중대형 면적대에서 하락세를 보였다.

개별단지별로는, 유성구 봉명동 노블레스타워 109㎡형이 750만 원 오른 9750만 원, 대덕구 덕암동 삼부 128㎡형이 500만 원 오른 9000만 원의 시세를 각각 형성했다. 또 서구 갈마동 아트리움 102㎡형은 500만 원 오른 1억 1500만 원, 월평동 주공2단지 56㎡형이 300만 원 오른 4900만 원에 거래됐다.

반면 서구 둔산동 햇님 148㎡형은 1000만 원 하락한 2억 원, 유성구 하기동 송림마을2단지 116㎡형은 1000만 원 하락한 1억 3500만 원을 각각 기록했다.

박길수 기자 bluesky@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