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연내 조직개편을 단행, 일자리 창출 사업을 전담할 고용정책과를 신설한다.
또 전국 1위의 일자리 증가율 및 지속률을 지키기 위해 '2010 일자리 대책'을 대폭 보완, 추진한다.
대전시는 2월 현재 지역의 순 일자리 증가율과 지속률이 6.45%로 전국 평균(3.91%)을 상회하고 있지만 고용없는 경기회복이 우려됨에 따라 올해 △청년형 △복지형 △기업형 △공공투자형 등으로 일자리 창출 계획을 나눠 시행할 계획이라고 23일 밝혔다.
시는 이를 위해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전담부서로 고용정책과를 신설키로 하고, △고용정책(5명) △희망근로(5명) △공동체일자리(5명) △무지개CB(5명) 등 산하에 4담당을 배치하는 안을 검토 중이다.
특히 대전시장이 주관하는 일자리 창출 전략회의를 매달 개최하고, 일자리종합센터 운영과 일자리 발굴 및 고용증대를 위한 시민 아이디어 공모 등을 통해 올해 일자리 창출 목표를 지난해 모다 7% 증가한 4만 5000개로 설정했다.
일자리 유형별로는 기업·투자유치, 소상공인 창업지원 등 기업형이 1만 2450명, 청년인턴, 청년사업단 등 청년형 4540명, 저소득층, 여성, 노인, 장애인 등 복지형 1만 2450명, 문화시설 및 교통·도로 인프라 구축 등 공공투자형 7650명, 사회적 일자리 등 기타 5150명이다.
근무형태별로는 기업·콜센터 유치 및 창업 등을 통한 정규직 고용형태가 1만 7000명, 희망근로, 공공근로 등 임시직이 2만 8000명 등이다. 시 관계자는 "올해 일자리 사업은 청년고용대책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취약계층을 위한 생계형 일자리 창출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