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15일 대전 동구 하소동의 한 돼지농가에 구제역이 발생한 가운데 침출수로 인한 2차 피해를 우려하는 매몰지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작업을 위한 중장비를 막아서며 방역당국에 항의를 하고 있다. 허만진 기자 hmj1985@cctoday.co.kr | ||
전국적인 살처분의 아비규환 속에서 청정지역으로 알려진 대전지역에서도 구제역이 사상 최초로 발생했다.
특히 방역당국의 미숙한 초기 대응과 정책적 판단 미스로 구제역 예방에 실패하면서 대전지역 구제역 역시, 인재(人災)였다는 지적을 비켜가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15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 14일 동구 하소동의 한 농장에서 구제역 의심신고가 접수됨에 따라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이 정밀 검사를 진행한 결과, 이날 오전 양성으로 판정됐다.
시와 보건당국은 이에 따라 정밀역학조사와 함께 포크레인 10대, 덤프트럭 5대와 인력 100여 명을 투입, 이 농장에서 사육하던 돼지 2100마리를 모두 살처분키로 하고, 해당농가에 대한 이동제한 조치를 내렸다.
시는 매몰처리 시 콘크리트 옹벽과 차수막을 설치해 침출수 유출을 막고, 발효촉진 및 악취저감을 위해 EM(유용미생물)균을 도포 하는 등 환경오염 최소화에도 주력하는 한편, 발생농가 인근에 3개소의 방역통제초소를 추가로 운영키로 하는 등 구제역 확산방지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이번에 대전에서 발생한 구제역 여파로 지역 내 전체 돼지 사육두수의 63%가 이날 전부 살처분됐으며, 구제역 청정지역이라는 타이틀까지 모두 반납해야할 처지에 놓였다.
이와 함께 현재 발생지역에 전부 매몰하는 방식으로 인해 지하수를 음용수로 이용하는 인근 주민들에 대한 2차 피해도 또 다른 재앙으로 다가오고 있는 실정이다.
우선 해당 농가에서 기르던 새끼돼지가 폐사한 시점은 지난 11일로 모두 100여 마리가 죽은 뒤인 14일 오후 5시 30분에서야 시 보건환경연구원에 구제역 의심신고가 접수돼 이 기간 중에 구제역 바이러스가 타 지역으로 전파됐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구제역 1차 백신이 접종된 시점은 지난달 30일부터 지난 5일까지로 2차 백신을 접종하기도 전에 전부 몰살돼 1주일만 먼저 접종했어도 예방이 가능했다는 아쉬움이 크다.
결국 전국적으로 300여만 마리 이상의 가축이 살처분되는 긴박한 상황 속에서 구제역 의심신고가 3일 이상 지체됐고, 중앙정부가 지역에 백신을 늦게 반출하면서 이번 사태를 야기했다는 지적에 근거한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구제역 백신은 지난해부터 요구했지만 발생지역 및 농촌지역이 최우선이라는 점 때문에 물량배정에서 밀렸고, 이에 따라 접종도 늦어졌다”면서 “타 지역으로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해당 농가에서 사육 중인 돼지 전부를 살처분키로 했고, 침출수를 차단하기 위한 조치도 병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그동안 구제역의 유입 원천차단을 위해 11억 6000만 원의 예산과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청정도시 유지를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했지만 끝까지 막지 못해 안타까운 심정”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달 현재 대전지역 내 우제류의 전체 사육 규모는 모두 391농가에 9274마리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