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서남부권에 잇딴 부동산 호재가 터지면서 도안신도시 토지분양에도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올해가 이주자택지 공급이 주였다면 내년에는 LH가 일반인에게 공급하는 817개의 필지 토지가 본격적으로 공급될 예정이어서 신도시 프리미엄을 얻고자 하는 투자자들의 좋은 지역 선점을 위한 행보가 주목된다.
22일 LH 대전충남지역본부에 따르면 LH가 도안신도시에 공급하는 토지면적은 189만 4719㎡로, 총 1805필지가 공급될 예정이며, 이미 지난 11월 30일 현재 841필지가 공급을 끝마쳤고, 147필지가 공급을 진행, 공급 미착수 필지는 817개다.
LH가 도안신도시에 공급되는 필지를 용도별로 세분화 하면 단독택지가 1443개 필지로, 이미 이주자택지중심의 688필지 공급이 마친 상태다.
층수제한이 있는 준주거용지(상가용지)도 총 138필지 가운데 올해 85필지가 공급을 끝마쳤으며, 현재 32필지가 남아 있다.
현재까지는 이주자 택지 중심의 공급인 만큼 큰 주목을 끌지 못했지만 내년 일반인들에 대한 본격적인 분양을 앞두고 대전 서남부권에 관저지구 신세계 복합유통단지조성, 도안생태호수공원, 유성구 용계동 종합스포츠타운 조성 등 부동산 호재들이 연달아 터져 토지분양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주목을 끄는 토지는 내년도 분양예정인 단독택지와 준주거용지.
단독주택용지는 현재 6개의 미분양을 남겨놓은 상황에서 내년도 749필지(20만8683㎡)가 공급될 예정이다.
또 도안신도시 중심상업용지로 이미 주목을 끈 목원대 인근 준주거용지도 내년에 21필지(1만6261㎡)가 공급돼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몸에 받고 있다.
투자자들과 부동산업계는 내년 6월로 예정돼 있는 도안신도시 기반조성공사가 끝마치면 도시의 윤곽이 나타나고 건물들이 올라가면서 서남부권 부동산 호재와 맞물려 분양바람을 탈 것이라고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도안신도시 단독택지 분양을 받을 예정인 김모(48·대전 중구) 씨는 “도안신도시의 미래를 보고 투자를 결심한 뒤 최적지를 알아보고 있는 중”이라며 “서남부권역에 부동산 호재가 터지면서 집값은 물론 땅에 대한 관심도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올해가 이주자택지 공급이 주였다면 내년에는 LH가 일반인에게 공급하는 817개의 필지 토지가 본격적으로 공급될 예정이어서 신도시 프리미엄을 얻고자 하는 투자자들의 좋은 지역 선점을 위한 행보가 주목된다.
22일 LH 대전충남지역본부에 따르면 LH가 도안신도시에 공급하는 토지면적은 189만 4719㎡로, 총 1805필지가 공급될 예정이며, 이미 지난 11월 30일 현재 841필지가 공급을 끝마쳤고, 147필지가 공급을 진행, 공급 미착수 필지는 817개다.
LH가 도안신도시에 공급되는 필지를 용도별로 세분화 하면 단독택지가 1443개 필지로, 이미 이주자택지중심의 688필지 공급이 마친 상태다.
층수제한이 있는 준주거용지(상가용지)도 총 138필지 가운데 올해 85필지가 공급을 끝마쳤으며, 현재 32필지가 남아 있다.
현재까지는 이주자 택지 중심의 공급인 만큼 큰 주목을 끌지 못했지만 내년 일반인들에 대한 본격적인 분양을 앞두고 대전 서남부권에 관저지구 신세계 복합유통단지조성, 도안생태호수공원, 유성구 용계동 종합스포츠타운 조성 등 부동산 호재들이 연달아 터져 토지분양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주목을 끄는 토지는 내년도 분양예정인 단독택지와 준주거용지.
단독주택용지는 현재 6개의 미분양을 남겨놓은 상황에서 내년도 749필지(20만8683㎡)가 공급될 예정이다.
또 도안신도시 중심상업용지로 이미 주목을 끈 목원대 인근 준주거용지도 내년에 21필지(1만6261㎡)가 공급돼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몸에 받고 있다.
투자자들과 부동산업계는 내년 6월로 예정돼 있는 도안신도시 기반조성공사가 끝마치면 도시의 윤곽이 나타나고 건물들이 올라가면서 서남부권 부동산 호재와 맞물려 분양바람을 탈 것이라고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도안신도시 단독택지 분양을 받을 예정인 김모(48·대전 중구) 씨는 “도안신도시의 미래를 보고 투자를 결심한 뒤 최적지를 알아보고 있는 중”이라며 “서남부권역에 부동산 호재가 터지면서 집값은 물론 땅에 대한 관심도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