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같은 현상은 최근 심화된 취업난에 따른 것으로 단시일내 경기가 회복되지 않는 한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전대의 경우 졸업자 및 졸업예정자 기준 복수전공 및 부전공자가 2009년 216명에서 2010년 250명으로 20% 가까이 증가했고 다른 학과로 아예 학적을 바꾼 학생도 100명에 육박했다. 지난 2007년 복수전공 및 부전공 신청자가 167명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큰 폭으로 상승했다.
학과별로는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이는 사회복지학과와 경영학과의 복수전공 신청이 많았으며 특성화를 통해 경쟁력을 갖춘 군사학과와 경찰학 전공, 중등특수학과도 인기가 높았다.
건양대는 2007년 70명에 불과했던 복수전공자가 2008년 118명으로 증가한 뒤 2009년에는 138명으로 급증해 두 배 가까운 증가세를 보였고 학과를 이동한 전과자 역시 매년 100명 내외를 기록하고 있다.
이 대학은 취업에 유리한 영문학과 일문학과 등 외국어계열 학과가 강세를 보였으며 사회복지학과와 경찰행정학과, 운동처방학과, 관광학과 등의 전과 및 복수전공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배재대의 역시 지난 2007년 511명이던 복수전공자가 2008년 602명으로 증가한 후 2009년에는 736명으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학과별로는 영어영문학과와 중국통상학과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경영학과와 호텔·컨벤션경영학과도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목원대의 경우 2008년 265명이던 전과자는 2009년 222명으로 감소세를 보였지만 복수전공자가 2008년 162명에서 2009년 523명으로 세 배 가까운 급격하게 증가했다.
이 대학 역시 취업에 유리한 경영학과와 영문학과 선호도가 높았으며 금융보험부동산학과와 광고홍보언론학과, 사회복지학과, 경찰법학과의 인기가 이어졌다.
또한 8학기 이내에 2개 이상 전공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한 다전공 제도가 활성화된 한남대의 경우는 지난 2005년 539명이던 신청자가 2006년 663명, 2007년 673명으로 증가했다가 2008년 581명으로 주춤했지만 2009년 다시 710명으로 대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관계자는 “전문직종에 진출하는 데 유리한 실무형 학과로의 전과와 취업을 위한 스펙을 쌓기 수월한 외국어계열 복수전공 선호도가 최근들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며 “취업난으로 인한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보이지만 특정 학과에 학생이 쏠릴 경우 얘기치 않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 만큼 적절한 보완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