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지역 감염자들이 어떠한 경로 감염됐는지 명확한 규명 없이 늘어나고 있고, 치료제 부족으로 인한 불안감이 팽배하는 데서 비롯된다.
신종플루로 인한 사망자가 국내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이같은 현상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실제 대전지역의 한 식당은 이달 매출이 전달보다 확연히 감소했다.
생선탕과 찜류를 주메뉴로 하는 이 식당은 지난 7월까지 매일 빼곡한 예약손님으로 호황을 누렸지만 이달 들어 예약 손님이 2/3 줄어들었다.
신종플루 위험이 증대되면서 가족단위 손님은 물론 단골고객마저 여럿이 모이는 장소를 기피하기 때문이다.
식당업주 김 모(62) 씨는 “신종플루 감염자 확산과 감염 우려가 증대돼 자주 찾던 고객들이 가족모임 또는 회식 등을 기피하고 있다”며 “저도 자녀들에게 가능한 한 다중이 모이는 장소를 피하라고 하는데 식당 고객 역시 그런 마음 아니겠느냐”고 반문했다.
이 식당의 매출은 지난해보다 50% 줄어 식당업주는 계속 영업을 할지 고민에 빠져 있다.
이처럼 신종플루가 연일 세간의 화젯거리가 되면서 혹시 모를 감염을 우려하는 분위기가 확산되며 불필요한 대면접촉을 피하려는 분위기도 덩달아 확산되고 있다.
대전 탄방동의 모 PC방도 매출 감소로 한숨만 내쉬고 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엔 방학 중인 학생들이 삼삼오오 모여 게임 등을 즐기며 일상을 보냈지만 올 8월에는 좀처럼 손님을 찾아볼 수 없다.
방학 중 학원을 마치고 PC방을 찾던 학생들이 학부모의 신종플루 조심 당부에 출입을 꺼리는 것이다.
학부모들이 지역 감염자의 경로를 알 수 없어 최대한 다중이 사용하는 물품(?)에 접촉하는 행위를 금지하라고 강력히 주문하고 있기 때문이다.
PC방 주인 김 모(48·여) 씨는 “예년 이맘 때가 되면 학생들과 젊은이들이 가득 찼지만 이달 들어서는 이용객의 수를 손으로 헤아릴 정도”라며 “매출도 지난해보다 20% 감소하는 등 불황에 따른 매출 감소에 더불어 신종플루로 인해 이중고를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김 모(42·여) 씨는 “자녀들이 방학 중 주로 PC방에서 친구들과 게임을 하며 지냈지만 올해는 가능하면 출입을 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며 “게임하는 자녀를 보면 화도 나지만 신종플루 감염자가 늘어나면서 차라리 안전한 집안에서 친구들과 즐기기를 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주부는 최근 외식도 멀리하고 있다.
신종플루 치료제 부족으로 자칫 감염이 될 경우 생존(?) 위협을 감수해야 한다는 우려가 발동되면서 대인기피증까지 보이고 있는 것이다. 최장준 기자 thispro@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