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진시험을 코 앞에 둔 농협 직원들이 휴가를 한꺼번에 신청하면서 업무공백 등 각종 우려를 낳고 있다.

오는 18일 4급 승진시험을 치르는 농협 직원들이 이번주부터 일제히 휴가를 사용하면서, 인원 공백에 의한 업무 차질은 물론 설 명절을 앞두고 강·절도 등 금융 사고에 취약해질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이번 승진시험에 응시하는 대전·충남지역 농협 직원은 모두 1400여 명으로, 이 가운데 농협중앙회 대상자가 84명, 나머지 1310여 명은 모두 지역농협 소속이다.

이같은 사태는 농협법상 중앙회장이 연 1회 실시하는 승진고시에 합격해야만 4급 승진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년 되풀이되고 있다는 게 관계자의 전언이다.

일부 지역농협은 본점 전체 인원 중 20%에 달하는 공석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인원이 6~8명뿐인 소규모 지점의 경우 이번주 내내 자체 경비를 유지할 수 있는 인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현금거래가 증가하는 설 명절을 앞두고 금융 안전사고에도 취약한 환경에 처한다.

농협 관계자는 “전체 인원이 6~8명인 지점 가운데 이번 승진시험으로 남자직원은 1명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모두 여직원인 곳이 적지않다”며 “점심시간이나 외근 업무로 남자직원이 자리를 비울 경우 창구에는 사실상 여자직원만 남게 돼 걱정”이라고 우려감을 표했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이명박 대통령의 충청권 공약 사업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청사진이 나왔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3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29회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 3000명 규모의 아시아기초과학연구원와 중이온가속기를 설립하기로 확정했다.

또한 이번에 확정된 종합계획에 따라 이달부터 관련 법률 제정을 추진하고, 상반기 내로 벨트 거점지구의 입지를 선정하기로 했다. 그동안 청와대와 정부 관계자, 국가과학기술위원회 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전문위원들의 이야기를 종합해보면 충청권이 과학벨트 시범벨트 지역으로 유력하다.

행정중심복합도시와 대덕연구개발특구가 거점지구, 인근인 천안과 충북의 오송·오창은 기능지구로 묶일 가능성이 점쳐진다.

이 같은 그림은 정부의 과학벨트 논의 과정에서 뒷받침하고 있다. 정부는 3000명의 연구 인력 중 기존 대학과 연구기관의 사이트-랩(Site-Lap, 연구단)을 제외한 본원 신규 인력은 1500여 명의 연구인력 수준이라고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운영위원회에서 밝힌 바 있다. 대덕을 중심으로 한 대전이 풍부한 박사급 연구인력과 연구소, 각 대학들이 포진해 있는 것을 염두해 뒀다는 후문이다.

하지만 충청권이 시범벨트로 지정되면 아시아기초과학연구원과 중이온가속기 설치지역을 놓고 충청권 지자체들끼리 한바탕 경쟁을 벌여야 할 지도 모른다.

자칫 지나치게 과열경쟁을 벌일 경우 수십 년 만에 기대를 모으고 있는 국내 과학기술 발전도 후퇴할 것이 자명할 뿐만 아니라 모처럼 호기를 맞은 국제적 관심에서도 멀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결국 충청권 3개 시·도지사들이 머리를 맞대 아시아기초과학연구원 입지와 중이온가속기 입지에 대한 계획을 정부 발표전 먼저 선정해 정부에 건의하는 형태가 타당하다는 논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또한 어느 지역에 핵심 콘텐츠가 자리잡아도 이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공조한다는 대승적 결단도 필요한 시점이다.특히 과학벨트가 충청권이 시범벨트로 자리잡게 되면 첨단의료복합단지가 지역 안배차원에서 충청권이 아닌 타 지역에 조성되지 않도록 끝까지 공동 노력하는 자세도 견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임호범 기자 comst99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지난해 충북지역에서 발생한 화재의 10건 가운데 4건이 부주의에 의한 화재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충청북도 소방본부가 지난해 화재를 원인별로 분석한 ‘2008년 도내 화재 통계분석’에 따르면 부주의가 원인이 된 화재는 전체 1518건 중 593건으로 나타났다.

부주의에 의한 화재를 발화요인별로 분석해보면 담배꽁초로 인한 화재가 121건으로 가장 많았고 불씨·불꽃방치 등이 117건, 쓰레기 소각이 70건으로 뒤를 이었다.

요일별로는 토요일과 일요일이 각각 238건과 229건으로 전체 건수의 30.8%를 차지해 주말일수록 화재가 일어날 확률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으며, 화요일이 187건으로 화재발생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대별로는 오후 1~3시에 197건(13.1%), 오후 3~5시에 189건의 화재가 발생한 반면 오전 1~3시에는 93건(6.1%), 오전 3~5시에는 69건(4.5%)에 불과해 활동이 왕성한 오후 시간대 화재발생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장소별로는 주거시설 화재가 417건(27.5%)으로 가장 많았고 차량화재 284건(18.7%), 산업시설화재 236건(15.5%), 서비스시설 화재 235건(15.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동성 소방본부장은 “지난 한 해 전체 화재건수 가운데 40%가 도민들의 부주의에 의한 화재였다”며 “화기취급 시 작은 주의만 기울여도 재산과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고형석 기자 kohs@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 [전통시장 활성화 시켜보자]내수경기 활성화를 위한 '전통시장 상인 회장단과의 간담회'가 13일 충남도청에서 이완구지사를 비롯한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전우용 기자 yongdsc@cctoday.co.kr  
 
경기불황 타개를 위해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는 대전지역 상공인들이 기업 경영활동에 장애요소가 되는 각종 규제 철폐에 대한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13일 대전산업단지협회와 대전상공회의소 등에 따르면 국토계획법상 관리지역 내 공장 연접 가능면적 협소 및 낮은 건폐율, 농지 매입 불가 등이 사업을 확대하거나 지가(地價)가 저렴한 곳으로 공장을 이전하려는 지역 중소기업의 발목을 잡는 대표적인 규제로 꼽힌다.

현행 국토계획법 제55조는 대통령령이 정한 관리지역 내에서의 개발행위 면적을 ‘3만㎡ 미만’으로 제한, 공장부지가 3만㎡를 넘으면 연접해 공장을 지을 수 없어 중소도시의 경우 관리지역 공장 연접 가능면적을 ‘9만㎡ 미만’ 규모로 확대해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

또 관리지역 내 건폐율(건축면적의 대지면적에 대한 비율)이 20~40%에 불과, 공장 입지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를 80%로 상향 조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강력하게 대두되고 있다.

아울러 관리지역 대부분이 농지로 돼 있어 농업인 외에는 매입이 불가, 공장설립이 원천 봉쇄돼 있는 만큼 중소도시 농지를 공장용으로 매입할 경우 이를 허용해 토지용도변경을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대전산업단지협회는 이 같은 개선사항을 지난해 10월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에 공식 건의했으나 민관합동 규제개혁추진단은 국토의 무분별한 난개발 및 환경훼손 방지를 이유로 ‘수용 곤란’ 입장을 표명, 지역 상공인들을 실망시켰다.

더욱이 지방 기업들에 대한 강력한 규제가 해소되지 않은 채 정부가 수도권 규제완화를 추진하는 데 대해 이들은 ‘앞뒤가 뒤바뀐 처사’라고 비판하고 있다.

대전산업단지 A업체 관계자는 “땅값이 싼 인근 시·군으로 공장을 설립하려 해도 관리지역은 건폐율이 터무니 없이 낮아 공장을 짓기 어렵고, 농지는 매입할 수도 없는 처지”라며 “기업 유치에 나서는 지자체도 재정이 열악하다는 점 때문에 농공단지 개발비용을 입주 기업체에 부담시키고 있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B업체 관계자는 “기업의 공장을 이전하려는 것은 높은 인건비와 지가 때문”이라며 “수도권 기업의 해외이전을 막아야 한다는 논리로 수도권 규제완화를 논하기에 앞서 지방 제조업의 성장을 가로막는 규제를 하루 빨리 손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 일 기자 orial@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충북도 부교육감에 우승구(56) 광주광역시 부교육감이 임명됐다.

우 신임 부교육감은 국가균형발전위원회 평가제도국장, 강원대 사무국장, 군산대 사무국장, 교육인적자원부 정보화기획담당관 등 주요 요직을 두루 거친 행시 22회 출신이다.

그는 서울에서 태어나 숭문고, 연세대(행정학)를 졸업했으며 캐나다 윈저대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최인석 기자 cisk@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