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올해 개발제한구역 조정가능지역을 손질한다.

정부의 조정가능지역 총량제 지침에 따라 대전도 ‘조정가능지역의 지도’가 변화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13일 시에 따르면 연내 전체 개발제한구역 조정가능지역에 대한 확대 및 범위 조정을 골자로 한 2020년 대전권 광역도시계획이 변경된다.

현재 대전시 개발제한 구역은 시 전체 면적 539.78㎢ 중 57%가량인 310㎢로 이중 24㎢가 조정가능지역이다.

조정가능지역 중 35%는 이미 해제됐지만 시는 당초 면적에서 최대 30% 확대된 31.2㎢로 광역계획을 변경할 방침으로 곧 발주할 광역도시계획 변경용역을 통해 확대논리를 개발할 계획이다.

시는 이미 주택공급을 위한 조정가능지역 확대는 타당성이 없다고 보고 산업용지 확보나 기관 및 기업유치, 국책사업을 위한 확대 필요성에 초점을 맞춘다는 복안이다.

시는 조정가능지역 확대와 함께 지난해 정부가 지침을 내린대로 올해부터는 조정가능지역에 대한 지도 표시를 없애고 총량제 개념을 도입한다.

이에 따라 기존 조정가능지역에 포함됐던 지역도 기반시설이 열악하거나 보존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은 제외되는 대신 도심과 인접해 있고 이미 난개발이 진행된 곳, 즉 개발효율이 높은 지역의 경우 새로 조정가능지역에 포함시킬 방침이다.

도심과 멀리 떨어져 있는 조정가능지역은 앞으로 해제 가능성이 낮아지는 대신 도심과 가깝고 도로망이 구축돼 있는 서남부 인접지역은 조정가능지역으로 추가 지정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다만 시는 기존 조정가능지역의 경우 이미 개발제한구역 해제 요건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는 데다 주민들의 해제 기대심리가 높았던 만큼 충분한 의견수렴 과정을 거친다는 방침이다.

시는 광역도시계획 변경과 함께 상반기 중 2020년 도시기본계획도 변경한다.

도시기본계획 변경에는 공원법 개정에 따라 미집행으로 남아 있던 도시자연공원(7개소)을 공원구역과 공원시설구역으로의 분리 운영과 시가화예정용지 조정 등이 포함된다.

시 관계자는 “조정가능지역 변경의 경우 상당히 민감한 문제지만 정해진 총량 범위 내에서 효율적인 운용이 필요한 만큼 큰 폭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전환해제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전은 지난해 대덕특구 1단계 산업용지 예정지역과 월드컵경기장, 남대전유통단지 부지가 개발제한구역에서 해제된데 이어 올해 특구2단계 산업용지 예정지역과 유성터미널부지(유성구 장대동), 월드컵경기장 주변 등이 해제될 전망이다.

한남희 기자

nhhan@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충남대병원 상임감사에 정치권 인사 내정설이 나돌아 낙하산 논란이 재연되고 있다.

충남대병원은 지난달 31일부터 14일까지 상임감사 임용후보자에 대한 공개모집 절차를 진행한다.

충남대병원은 모집절차를 통해 이사회에서 복수의 후보자로 압축, 교육과학기술부에 추천하면 최종적으로 교과부에서 낙점하게 된다.

하지만 공개모집 절차가 아직 끝나지 않은 가운데 상임감사에 구체적인 실명까지 거론되며 정치권 인사가 내정됐다는 얘기가 돌아 정치권의 입김 논란이 일고 있다.

상임감사 내정설이 돌고 있는 인사는 충북 청주 출신으로 지난해 대선과정에서 이명박 대통령의 외곽지지세력인 선진국민연대에서 활동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지난해 대선에서 한나라당 충북 선거대책위원회의 고위직책을 맡아 선거운동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충남대병원 상임감사 공개모집 마감을 하루 앞둔 13일 현재 10여 명이 넘는 인사들이 지원서를 제출했으며, 내정설이 돌고 있는 해당 인사도 공개모집 절차에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전시 건설관리본부는 대덕테크노밸리(DTV) 진입도로와 동물원 진입도로(3단계)를 조기 준공해 시민들에게 연간 100억 원의 편익을 제공할 것으로 전망했다.

시 건설관리본부는 13일 올해 DTV 진입도로 관련 국비 424억 원을 조기 확보해 내년 상반기 중 도로 개통이 가능해짐에 따라 DTV의 접근성 향상 및 산업단지 활성화 등으로 연평균 60여억 원의 편익비용이 발생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 건설관리본부는 국비 조기확보로 DTV 진입도로 공사에 건설장비 및 전문인력을 집중 투입시켜 당초 30개월에서 22개월로 공기를 8개월 단축시킨다.

이에 따라 2010년 5월에 DTV 진입도로를 조기 개통시키는 한편, 오는 10월 대전IAC 개최에 맞춰 주탑구간 야간 경관조명을 점등해 우주선 발사 상황 등 지역 랜드마크로 활용할 계획이다.

또 동물원 진입도로 가운데 대전동물원~사정공원길 1.1㎞ 구간을 지난해 12월 착공해 2011년 완공할 계획이다.

이번 도로 공사가 완료되면 대전동물원과 플라워랜드를 찾는 시민 및 관광객의 교통편의 증진, 산성동 지역 교통량 분산 등으로 2011년 기준 37억 원의 편익비용을 얻을 수 있다고 건설본부 측은 분석했다.

김경환 기자 kmusic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과학영재학교 평가점수가 전격 공개되면서 선정과정을 둘러싼 각종 의혹도 수면위로 불거지고 있다.

부실심사와 수도권·영남 특혜 논란에 휩싸이던 과학영재학교 선정 잡음이 대구와 경기를 위해 대전에 대해 편파적으로 낮은 점수를 주는등 불공정 심사 의혹이 가세하고 있다.

13일 공개된 과학영재학교 선정 평가위원들의 지역별 평가점수표는 상식을 초월한 심사와 평가가 이뤄졌다는 것을 그대로 드러냈다는 분석이 적잖다.

◆평가위원, 편파배점 의혹=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해 말 과학영재학교 선정지역을 발표하면서 심사의 객관성을 높이는데 주력했다고 밝혔다. 교과부 관계자는 당시 본보와 전화통화에서 “영재학교는 국가미래가 걸린 중대 현안인 만큼 지역 안배를 고려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는 이미 영재학교가 위치한 수도권과 영남에 또 다시 영재학교가 배정(?)돼 수도권·영남 특혜의혹이 대두되고 대전 지역사회의 반발이 격화되자 이 같은 배경을 들어 당위성을 설명했다.

그러나 평가위원들의 지역별 배점을 보면 교과부의 주장과는 정면 배치된다.

평가위원이 누구냐에 따라 지역별 역량에 대한 점수가 천차만별로 차이가 난다.

본보가 교과부 평가점수표를 분석한 결과, 같은 지역을 놓고도 위원에 따라 들쭉날쭉한 점수대를 나타내는 ‘줏대없는 평가’ 현상을 나타냈다.

대전에 128점의 최저 점수를 준 모 평가위원은 대구의 경우 186점, 경기는 152점을 배점해 대구애정을 과시한 반면, 또 다른 위원은 경기는 178점, 대전 174점, 대구 151점 등을 배점해 대구가 최하위를 떨어지는 ‘롤러코스트 평가 점수’를 드러냈다. 또 지역별 최고점은 대전, 대구는 각각 199점, 경기는 198점등 198~199점대의 유사 점수대를 기록한 반면 최저점수의 경우 대전은 128점, 대구와 경기는 각각 151점과 152점등으로 확연한 점수편차를 보였다.

◆평가항목별 배점, 당초부터 대전엔 불리=10개 평가항목별 배점도 대전에게 불리한 부분이 많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교육과정, 학생, 재정 등은 항목당 배점을 30점 만점으로 한 반면 과학영재학교 성패를 가늠하는 ‘영재교육 기반구축’은 5점에 그쳐 대덕특구등이 입지한 대전에게 결과적으로 불리하게 작용했다.

또 평가항목 중 30점이 배정된 교육과정과 교육시설, 교원, 학생 항목등은 교육 특성상 지역적으로 대동소이하다는 게 일반적인 시각이나 대전은 대구, 경기등과 1~4점씩 뒤떨어진 성적표를 받았다.

과학영재육성을 위한 그간의 노력 및 실적을 따지는 학생육성실적(10점 배점) 평가 결과도 의아스럽다. 10여 년 가까이 영재학교 유치를 착실히 준비온 대전은 8~10점대를 보인 반면 지난해 뒤늦게 뛰어든 대구는 모두 10점 만점을 받는 기현상이 벌어졌다.

서이석 기자 ab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LG화학은 2010년에 선보일 미국 제너럴 모터스(GM)의 전기자동차(EV. Electric Vehicle) '시보레 볼트(Chevrolet Volt)'에 장착되는 리튬이온 폴리머배터리의 단독 공급자로 최종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LG화학과 GM 두 회사는 미국 디트로이트 현지에서 열리는 '2009 북미 국제자동차쇼'(North America International Auto Show 2009)에서 시보레 볼트 양산형 모델을 선보이는 자리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LG화학은 내년 하반기부터 오는 2015년까지 6년간 GM에 배터리를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해 LG화학은 기존 하이브리드카(HEV)용 배터리 생산라인이 있는 충북 오창 테크노파크에 내년 상반기까지 추가로 GM용 배터리 양산 채비를 갖출 계획이다.

LG화학이 GM에 공급하게 될 배터리는 크기 180㎝, 무게 180㎏, 전력량 16kWh의 리튬이온 폴리머배터리다.

현재 하이브리드카용 배터리 시장을 주도하는 일본의 니켈수소 배터리에 비해 50% 이상의 높은 출력과 에너지를 제공한다.

또 배터리의 형태가 '캔(can)'타입이 아닌, '파우치(pouch)'타입이기에 폭발 위험이 없으며 표면적이 넓고 열 발산이 쉬워 배터리 수명이 길다는 장점이 있다.LG화학은 이를 계기로 오는 2013년까지 총 1조 원을 투자하는 등 하이브리드카(HEV)/전기자동차(EV)용 배터리 사업을 LG화학의 차세대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박한진 기자 adhj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