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말 기준 충남·북은 미분양 주택이 전월 대비 각각 6.8~8.2%로 떨어진 반면 대전은 전월대비 22.7%나 증가해 지역 간 큰 차이를 보였다.

4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충남의 미분양 주택은 1만 6063가구로, 1개월 전에 비해 1166가구(6.8%) 줄었다.

이는 3개월 연속 감소한 것으로, 3월 말 1만 8251가구에서 4월 말 1만 7939가구, 5월 말 1만 7229가구, 6월 말 1만 6063가구로 2분기 동안 2188가구가 줄었다.

지역별로는 연기군이 1228가구로 전월보다 982가구 줄어들었으며, 천안은 8378가구로 138가구 감소했다. 반면 당진군은 5월 말 1551가구에서 6월 말 1676가구로 125가구 증가했다.

충북은 전월보다 559가구 감소해 6262가구로 떨어졌다.

최근 3개월 간 충북지역 미분양주택은 지난 3월 말 8087가구에서 4월 말 7403가구, 5월 말 6821가구, 6월 말 6262가구로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충북 12개 시·군 가운데 제천시(1299→1023가구)가 276가구 줄어들어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청주시(2371→2254) 역시 117가구가 줄어들어 미분양 ‘털어내기’가 활성화되는 모양새다.

이에 반해 6월 대규모 분양이 있었던 대전은 미분양 주택이 전월대비 22.7%(684가구)나 증가했다.

대전 미분양 주택은 지난 2월 말 3676가구였으나 3월 말 3360가구, 4월 말 3169가구, 5월 말 3012가구, 6월 말 3696가구로 집계돼 3월부터 5월까지 감소세를 보이다 6월 한 달 사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각 구별 미분양 물량은 대덕구가 1134가구로 가장 많고, 유성구 1025가구, 서구 1024가구, 중구 477가구, 동구 36가구 순으로 나타났다.

주택시장에서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대전 637가구, 충남 5809가구, 충북 1600가구를 기록했다.

국토부는 미분양주택이 줄어든 데 대해 5년 내 미분양주택 구입시 양도세를 면제해주는 것을 포함해 정부의 미분양대책이 효과를 발휘하고 부동산 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도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박길수 기자 bluesky@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전과 충청지역 대학들이 보건의료계열 학과를 잇따라 신설 또는 증설하고 있다.

보건의료계열 학과는 졸업 후 전문직종으로 취업에 유리해 해마다 지원자가 대거 몰려 모집경쟁률도 치열하다.

한남대는 4일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25명 정원 규모의 간호학과 신설을 인가받아 올 하반기 '2010학년도 정시모집'부터 신입생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한남대는 신설되는 간호학과를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위치한 대덕밸리 캠퍼스 생명·나노과학대학에 설립한다는 방침이다.

한남대 관계자는 "간호학과는 타 대학에 비해 후발주자 인만큼 미국의 위스콘신대와 호주의 찰스스터트대학 등 해외의 10여 개 자매대학과 복수학위제를 운영해 해외취업이 가능한 국제적인 간호인력을 양성하는 방식으로 승부수를 걸겠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충남 천안의 나사렛대도 지난달 30일 교과부로부터 물리치료학과(20명)와 응급구조학과(25명) 신설을 인가받아 올 하반기 신입생 선발에 나선다.

나사렛대는 기존의 간호학과와 임상병리학과에 이어 새롭게 물리치료학과와 응급구조학과까지 갖춰 보건의료계열 특성화를 위한 기반이 마련됐다는 평가다.

충북의 청주대도 지난달 31일 교과부가 정원 30명의 방사선학과 신설과 간호학과 25명 추가 증원을 인가받았다.

이에 따라 청주대는 간호학과 정원이 65명으로 늘었고 정원 30명의 기존 치위생학과와 신설되는 방사선학과 등을 통해 전문적인 보건의료인력을 양성할 수 있게 됐다.

지역대학 관계자는 “국내 간호사 인력은 수요에 비해 공급이 한정돼 인력난이 심각하다”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의 경우 인구 1000명 당 평균적인 간호사 수가 9.6명인데 반해 국내는 4.2명으로 턱없이 부족해 장기적으로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정부가 내년 ‘서머타임제(Summer time system·일광절약시간제)’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직장인 상당수가 이에 부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4일 취업포털 커리어에 따르면 최근 직장인 11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서머타임제 도입에 '반대한다'가 61.2%를 차지했고, '찬성한다'는 30.2%에 그쳤다.

반대하는 이유로는 '업무시간만 늘어날 것 같아서'가 54.8%의 응답률로 가장 많은 수치를 보였고, '생체리듬이 깨질 것 같아서'(19.5%), '과거에도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13.4%), '아침보다는 저녁형 인간이기 때문에'(4.8%), '생활시간이 늘면 여름철 냉방비 등 비용도 증가하기 때문에'(4.0%)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찬성하는 이유로는 '퇴근 후 자기계발 시간이 늘어서'(48.3%)가 가장 많이 꼽혔고, 다음으로 '업무효율이 높은 오전 시간대를 적극 활용할 수 있어서'(24.3%), '퇴근 후 가족·친구와 보내는 시간이 늘어서'(11.4%), '출근시간이 앞당겨지면 교통도 덜 혼잡할 것 같아서'(10.0%) 등의 의견이 제기됐다.

서머타임제 도입으로 저녁시간에 여유가 생긴다면 가장 하고 싶은 일은 '자기계발'(29.4%), '운동'(27.7%), '집에서 휴식'(17.7%), ‘문화생활'(7.3%), '가족과 대화'(5.6%), '친구·지인 모임'(4.1%)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최 일 기자 orial@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 아이낳기 좋은세상 대전운동본부 협의회가 4일 대전시청에서 열려 이종원(맨 오른쪽) 충청투데이 편집부국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사전회의를 하고 있다. 김상용 기자 ksy21@cctoday.co.kr  
 
초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아이낳기 좋은세상 대전운동본부’가 오는 12일 공식 출범한다.

대전시는 4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각계 지역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아이낳기 좋은세상 대전운동본부’ 출범을 위한 사전회의를 개최해 공동의장을 선임하고 행동선언문 등을 확정했다.

운동본부는 각 분야별 대표인사와 전문가 중심의 실무형 인사로 구성·운영됐으며, 초저출산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는데 함께 동참할 수 있도록 사회적 합의와 부문별 행동계획을 채택했다.

이들은 행동선언문을 통해 시민이 생활 속에서 체감·동참할 수 있는 시책을 개발하고 지역사회 전체가 임산부를 존중·배려하며 출산·양육·가족문화 개선을 위한 범시민 운동을 전개하기로 했다.

12일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시청 대강당에서 진행될 운동본부 출범식은 ‘임산부와 함께하는 열린 축제’로 진행될 예정이다.

한편, 시는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가정, 사회, 직장분야별 보육환경 개선과 보육시설 서비스 질 제고, 자녀 양육비용의 절감과 사회적 책임 강화 등 3대 시책을 시정의 주요과제로 추진할 방침이다.

한남희 기자 nhhan@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충청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지원단이 4일 출범식을 열고 본격 업무에 돌입했다. 이날 오후 2시 30분 대전시 유성구 탑립동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미래기획위원회 곽승준 위원장과 지식경제부 임채민 차관, 김홍갑 대전시부시장, 김동완 충남도 부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출범식을 가진 충청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지원단은 지식경제부 산하 재단법인으로, 충청광역권 기업위주의 뉴IT와 의약바이오 분야 선도산업을 발굴·육성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설립됐다.

지원단은 이에 따라 충청권 4개 프로젝트에 340억 원의 예산을 확정했으며, 내년 예산규모는 600억 원, 2011년에는 800억 원으로 규모가 늘어나 뉴IT 분야에서 차세대 무선통신 단말기 부품소재 경쟁력 강화사업, IT기반의 그린 반도체 산업성장 거점화사업 등을 추진한다.

지원단은 충청권 기업을 대상으로 지원 규모도 발표하면서 본격적인 지원준비에 나서고 있다.

지원구분은 대형과제, 중형과제, 소형과제 등 3개 부문으로 나뉜다.

대형과제는 전년도 매출액 200억 원 이상 기업이나 기업 부설연구소 보유기업이 지원대상이 되며 지원 규모는 40억 원에서 60억 원이다.

중형과제는 전년도 매출액 100억 원 이상 기업, 기업부설연구소 보유기업이 지원기업에 해당되며 지원비용은 15억 원 이상 40억 원 미만이다. 추진방식은 1개 기업단독 참여는 불가하며 기업주도의 컨소시엄 형태로 지원을 해야만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