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이 다가오면서 올해로 세금감면 혜택이 소멸되는 장기주택마련저축(이하 장마저축)을 찾는 알뜰 투자자들이 늘고 있다.

최근 예금금리가 4%대로 떨어지면서 고이자를 찾는 사람들이 마지막 절세 혜택을 붙잡기 위해 은행문을 두드리고 있는 것. 특히 연말 성과급 수령 등 목돈을 쥔 사람들은 불안한 주식시장이나 정기예금의 낮은 금리 대신 장마저축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장마저축 절세 혜택은 올 여름 정부의 세제 개편안에서 폐지가 논의됐다가, 서민 혜택을 지나치게 축소시킨다는 반발이 일자 올해 말까지 가입하는 사람에게 3년(2012년까지)간 소득공제 혜택을 주기로 했다.

직장인 최모(39) 씨는 “올해는 기대하지도 않았던 성과급이 조금이나마 나온다기에 돈 불릴 곳을 알아보고 있다”며 “장마저축 혜택 요건 등을 알아보고 바로 가입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장마저축 금리는 연 4%대로 현재 1년만기 정기예금보다 낮은 수준이지만, 납입액의 40%(연간 300만원 한도) 소득공제와 이자에 대한 소득세 15.4%도 면제되기 때문에 실질 이자 소득은 정기예금보다 훨씬 높다.

가입 혜택 기간이 불과 한 달도 남지 않자 일부 사람들은 일단 계좌부터 만들자는 식으로 나서고 있다.

올해 말까지 계좌를 만든 고객은 최초 납입금액에 상관 없이 절세 혜택이 주어지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요즘들어 장마저축 비과세 혜택에 대한 문의가 부쩍 늘었다”며 “고객 가운데는 일단 1만 원만 입금해 계좌를 터 놓고 목돈이 생기면 바로 넣겠다는 경우도 많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그러나 장마저축은 7년 이내 해지할 경우 그 동안의 이자소득세와 소득공제 감면분을 모두 반납해야하기 때문에 주의가 요구된다.

앞으로 출구전략 등으로 시중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이 높은 반면 7년간 자금이 장마저축에 묶여있는 상황 등을 고려할 때 현재 시점에서 이익을 단순 비교하는 것은 무리라는 것.

때문에 섣부른 판단보다는 절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총 가입금액이 제한되는 점 등을 고려해 자금을 알맞게 분배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은행 관계자는 “현재는 금리가 거의 바닥 수준이기 때문에 앞으로 오를 가능성이 높다”며 “장마저축은 7년간 해지하면 혜택이 사라지기 때문에 운용 자금과 이자 상승 정도를 가늠해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굽이 흘러온 금강이 마침내 바다와 섞여 멈추는 곳, 그곳에 서천이 있다.

금강을 따라 가다보면 신성리 갈대밭과 금강하구 철새를 만날 수 있고 서해를 따라 가면 풍요로움이 넘쳐난다.

내륙쪽으론 풍광 좋은 산들이 끝없이 펼쳐져 있다.

말 그대로 도시 전체가 생태관광의 명소들로 가득차 있다.

서천군이 '미감쾌청(美感快靑)·어메니티(Amenity)'를 당당하게 슬로건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낮에 관광명소를 둘러보고 저녁엔 신선한 수산물로 입을 즐겁게 한 뒤, 희리산 자연휴양림에서 잠을 청하면 1박2일 코스로 그만이다.

수도권에선 서해안고속도로를 타고 접근하면 되고 내륙권에선 새로 뚫린 서천-공주고속도로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신성리갈대밭

동서천나들목에서 한산방면으로 10분 쯤 가면 신성리갈대밭을 만날 수 있다.

전남 해남 고천암호갈대밭, 순천 대대동갈대밭, 경기 안산 갈대습지와 더불어 전국 4대 갈대밭 중 하나로 꼽힌다.

33만㎥ 규모의 갈대밭이 200m 폭으로 1㎞ 가량 펼쳐져 있다.

갈대밭 옆으론 금강이 흐르기 때문에 겨울이면 각종 철새들이 노니는 모습도 구경할 수 있다.

스산한 겨울이지만 연인·가족과 함께라면 포근함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아늑한 분위기다.

이제는 너무 잘 알려져 있지만 신성리갈대밭은 영화 'JSA 공동경비구역' 촬영 이후 더욱 인기를 끌고 있다.

1년 365일 언제든지 공짜로 망중한을 즐길 수 있다.

◆한산모시관


신성리갈대밭에서 나오면 곧바로 한산모시관과 마주친다.

한산소곡주와 함께 전국을 대표하는 특산물 중 하나인 한산모시를 접할 수 있다.

이곳에선 1500년 세월을 이어온 전통모시의 모든 것을 체험할 수 있다.

전시관 들어서면 현대감각에 맞게 만들어진 모시옷을 구경하고 마음에 드는 옷도 구입할 수 있다.

모시를 만나고 나면 바로 한산소곡주를 맛 볼 차례다.

모시관 안엔 한산소곡주 제조시설도 갖추고 있어 소곡주 빚는 과정을 볼 수 있다.

한산모시관은 성인 기준 1000원의 입장료를 부과한다.

◆서면 홍원항

금강하굿둑에서 북쪽 방향으로 길을 잡으면 서천 끝자락에 홍원항이 있다.

홍원항에서 바다 쪽을 바라보면 입구 쪽에 두 개의 등대가 말없이 지켜주며 항구의 풍경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바다 사이로 길게 쌓아놓은 방파제 위에서 바라보는 바다는 해풍에 묻어오는 바다 내음과 더불어 바다에 한발 다가서게 하는 친근감을 더해 준다.

이곳엔 횟집도 많고 인근에 팬션 등 숙박단지도 잘 조성돼 있어 1박 하기에 좋은 곳이기도 하다.

올 겨울 동짓날을 전후로 60일 동안은 서해안에서 보기 드물게 바다일출을 볼 수 있다.

물론 같은 자리에서 뒤로 돌면 저녁엔 서해낙조를 감상할 수 있다.

◆희리산자연휴양림

휴양관광을 원한다면 희리산자연휴양림이 딱이다.

휴양림에 들어서면서 처음 인공 저수지를 만나게 된다.

이 저수지는 숲속의 집, 해송림과 조화를 이루면서 빼어난 경관을 자랑한다.

가벼운 산책을 하듯 해송 산책길을 1시간 가량 걸으면서 산림욕을 하면 기분이 그만이다.

또 희리산에서 문수봉으로 이어지는 5.4㎞의 등산로에는 네 명의 장사가 거처했다는 커다란 산봉우리와 장사들이 놀았다는 사인대를 만난다.

그 밑으로 졸병들이 머물렀다고 해서 졸병바위로 불리는 작은 바위 100여 개를 볼 수 있고 정상에 서면 서해안 절경을 느낄 수 있다.

4인, 8인, 12인실 숲속의집 24동과 60명이 이용가능한 숲속수련장이 마련돼 있다. (문의 041-953-9981)

서천=노왕철 기자 no8500@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양도세 면제와 취득세·등록세 감면 등의 조치가 대전과 충남지역 미분양 아파트 시장에서 ‘약발’을 발휘하고 있다.

내년 2월 11일 양도세 면제 혜택이 끝나기 전에 계약하려는 수요자가 늘어나 지역 미분양 아파트가 매월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대전지역은 3000가구를 웃돌던 미분양 아파트 수가 지난 10월 말을 기해 3000가구 밑으로 떨어졌다.

3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3676가구로 집계된 대전 미분양 아파트는 매월 200~300여 가구 이상 감소하며 10월 말 2928가구까지 급감했다. 이는 올 들어 최저수준이다.

대전 미분양 아파트 수는 지난 2월 말 3676가구였으나 3월 말 3360가구, 4월 말 3169가구, 5월 말 3012가구로 3개월 연속 감소하며 3012가구까지 줄었다. 이어 6월에는 3696가구로 고점을 기록한 뒤 7월 3428가구, 8월 3150가구, 9월 3300가구로 오르락내리락 현상을 보이다 10월 말에 3000가구 밑으로 급감했다.

충남의 미분양 주택 수는 1월 말 1만 6349가구, 2월 1만 6926가구, 3월 1만 8251가구로 최고점을 찍은 뒤 4월 1만 7939가구, 7월 1만 6342가구, 9월 1만 4195가구, 10월 말 1만 3656가구로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폭이 커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미분양주택에 대한 양도세 면제와 취득세·등록세 감면 시한을 연장해 지방 주택시장을 되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길수 기자 bluesky@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 철새탐조교육장  
 

서해안고속도로 및 서천-공주고속도로 접점인 동서천나들목에서 장항방면으로 5분 가량 차를 몰면 금강의 끝자락과 만난다.

바로 금강과 서해와 만나는 이곳은 1990년 이후 1840m 길이의 하굿둑으로 막혀 있다.

하굿둑으로 막힌 뒤 금강하구(금강호)는 담수호로서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지만 겨울엔 또 하나의 역할이 부여된다.

바로 겨울철새의 쉼터다.

   
▲ 파노라마관

이곳에서는 고니와 청둥오리, 검은머리물떼새 등 겨울에만 볼 수 있는 철새의 향연을 즐길 수 있다.

운이 좋다면 서해 낙조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수십만 마리의 가창오리 군무도 볼 수 있다.

금강하구의 생태를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는 체험학습시설도 곧 만나볼 수 있다.

금강하굿둑에 들어선 조류생태전시관은 금강하구의 자랑인 가창오리 군무를 형상화 한 모습으로 서 있다.

   
▲ 조류생태전시관 전경

1층은 금강의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관람할 수 있도록 파노라마 형태로 조성됐으며 100여 권의 조류관련 서적이 비치된 버드(bird) 북카페도 마련됐다.

2층 에코라운지는 가창오리, 말똥가리 등 40여 종의 박제물이 전시돼 있으며 검은머리물떼새 애니메이션 상영관이 있어 금강에 서식하는 조류들의 생태 환경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도록 조성됐다.

3층 버드 디스커버리 룸은 체험 전시실 형태로 조성됐다.

각 주제관별로 철새의 이동경로, 비행법에서부터 철새의 몸구조, 날개형태, 깃털의 구조 등 새에 관한 모든 것을 새롭게 발견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꾸며졌다.

새처럼 나는 느낌을 줄 수 있는 작동 체험 시뮬레이션도 마련돼 어린이들이 자연스럽게 새의 비행원리를 깨우칠 수 있도록 했다.

새의 번식과 산란, 부화과정을 담은 다큐 영상관과 철새 조망대도 마련됐다.

   

4층 옥상은 세덤, 빗물은행, 잔디 마당 등 생태적 휴게 공간으로 꾸며졌다.

조류생태전시관은 철새에 관한 모든 것을 전시물과 영상물을 통해 알 수 있게 함은 물론 갯벌, 갈대 등 금강하구의 자연환경에 대해서도 쉽게 알 수 있도록 구성돼 어린이들을 위한 가족단위 관광객에게 안성맞춤이다.

전층 관람시간은 약 2시간 가량 소요된다.

동절기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개관하며 관람료는 성인 2000원, 어린이 1000원이다.

서천=노왕철 기자 no8500@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전세난이 지속되면서 강세를 보이던 대전지역 아파트 값이 11월 들어 약보합세로 돌아섰다.

도안신도시를 중심으로 신규분양 시장이 강세를 보이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전세시장의 경우 11월 들어 내림세로 돌아서는 모습이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 대전충청지사에 따르면 대전 아파트 매매값은 지난 10월 중순 0.13%의 변동률을 기록했으나 11월 들어 0.04%~0.08%를 기록하는 등 소강국면을 보이고 있다.

지난달 13일 대비 27일 아파트 값 변동률을 지역별로 보면 서구만 0.12% 올랐을 뿐 대덕구, 유성구, 중구 등은 0.07%~0.04% 오르긴 했지만 상승세는 둔화됐다.

부동산 114 대전충청지사 김종호 지사장은 “수도권 부동산시장이 침체를 보이면서 대전 주택시장도 상승세에서 안정세로 변화를 보이고 있다”며 “거래가 다소 줄어들면서 가격도 약보합세 수준”이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대기 수요가 존재하는 만큼 내년 설 이후에는 거래가 활기를 띨 가능성이 높다”면서 “다만 큰 폭으로 가격이 오르기 힘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10월까지 가격이 크게 오른 전세시장은 겨울 들어 매매시장과 함께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다.

수급불균형이 쉽게 개선되지 않아 추석 이후에도 강세가 이어질 거라는 예측도 지배적이었지만 이사철이 끝난 탓인지 정체를 보이고 있다.

지난 7월부터 11월 23일까지 0.22%~0.36%의 인상 폭을 기록한 전세값 변동률은 11월말 0.07%를 기록해 상승폭이 둔화됐다.

김 지사장은 “소형아파트를 중심으로 매물 부족에 따른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고 수급불균형에 따른 구조적 불안 요인이 있긴 하지만 현재는 안정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박길수 기자 bluesky@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