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대충청 방문의 해'를 맞아 100만 명 이상의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려는 대전·충청권 관광산업에 비상이 걸렸다.

내년부터 외국인 관광객에게 적용되던 부가세 영세율이 폐지되고, 여행업계에 관행적으로 지급되던 항공사의 요금 수수료마저 없어지는 등 국내 관광상품의 가격상승 요인이 잇따를 전망이다.

이에 따라 국내 여행업계의 관광상품 가격이 예년보다 오를 경우 외국인 관광객 감소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28일 대전시, 충남·충북도, 지역 여행업계 등에 따르면 내년도 충청권 3개 시·도는 '오셔유! 즐겨유! 대충청 2010'이라는 슬로건 아래 한국관광협회 등과 함께 모두 9개의 관광객 유치 사업을 공동 추진한다.

대전시는 국제열기구축제, 세계관광음식브랜드박람회 등 5개의 특별 이벤트와 4개의 대전관광브랜드 마케팅, 7개의 민간분야 시민참여 활성화 방안 등 모두 19개 자체 사업을 통해 내국인 1900만 명, 외국인 70만 명을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충남도의 경우 내국인 5061만 명, 외국인 39만 명 유치를 목표로 대백제전, 한방바이오 엑스포, 팸투어 등 모두 9개 자치단체간 공동사업을 추진한다.

시 관계자는 "'대 충청 방문의 해'를 맞아 국내외적으로 충청권의 지역 이미지를 제고하고, 4410억 원의 경제적 효과와 9400명의 고용 창출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역 여행업계는 "내년도에 3가지 악재가 겹쳤다"며 "외국인 관광객도 국내처럼 대형 여행업계를 중심으로 패키지 방식으로 판매되는 만큼 상품의 가격이 올라가면 당연히 유치도 힘들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특히 지난 2007년 7월부터 시행됐던 부가세 영세율(零稅率)이 내년 1월 1일부터 폐지된다.

이 제도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숙박요금의 10%인 부가세를 면제해 주는 것으로, 내년부터 폐지되면 숙박료 10% 인상이 불가피하다. 이 경우 중국, 일본 등 아시아권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국내 여행상품 가격은 기존 20만~30만 원(3박 4일, 항공료 제외)에서 21만~33만 원까지 가격이 오를 전망이다.

또 각 항공사들이 자사 이용객들을 늘리기 위해 각 여행업계에 지급했던 항공요금의 7~9%에 해당하는 수수료를 내년부터 중단하고, 별도 명목으로 청구하면서 지역 여행업계는 최소한의 마진조차 사라질 판이다.

여기에 내년부터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이 의무화되면서 여행업계는 말 그대로 "3재가 겹쳤다. 그동안 저가 상품으로 외국인을 유치했던 국내 여행업계 대부분이 고사위기"라며 “적자 상품으로 관광객을 유치한 후 쇼핑이나 옵션으로 만회한다는 업계의 관행이 내년까지 이어질 경우 한국의 이미지만 훼손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관련 전문가들은 "내년도 3개 시·도는 '대 충청 방문의 해'를 맞아 100만 명 이상의 외국인을 유치한다는 계획이지만 이를 수행해야 할 여행업계는 당장 생존이 위협받고 있다"며 "관광 상품의 질은 높이고, 가격은 낮출 수 있는 방안으로 이들 지자체들이 사업계획을 수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정부가 4년제 대학에 지원하는 연구비가 수도권 대학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수 1인당 지원되는 평균 연구비도 수도권 대학은 비수도권과 비교해 2배 가까이 높아 학문과 연구개발 분야에서 지역 간 불균형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28일 '2008년도 대학 연구활동 실태조사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국 4년제 대학(238개)에 지원된 연구비는 3조 5346억 원으로 전년도(3조 2855억 원)에 비해 7.6%가 증가했다.

이 중 수도권 대학에 지원된 연구비는 1조 9774억 원으로 전체의 절반이 넘는 55.9%를 차지했다.

특히 서울지역 대학에 지원된 액수는 1조 4166억 원으로 전체의 40%를 차지했고 이는 비수도권 대학에 지원된 전체 액수(1조 5572억 원·44.1%)와 맞먹을 정도로 높았다.

대전지역 대학은 2396억 원을 지원받아 6.9%를 차지했고, 충남은 1169억 원으로 3.3%에 머물렀다.

교수 1인당 지원되는 평균 연구비 면에서도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격차는 극명했다.

수도권은 교수 1인당 평균 연구비가 7400만 원인 가운데 비수도권은 4200만 원으로 절반 수준을 나타냈다. 대학별로는 서울대가 3880억 원을 지원받아 가장 많았고 이어 연세대가 2160억 원, 성균관대 1721억 원 등이 상위권에 랭크됐다.

비수도권 대학 중에서는 전남대가 927억 원으로 8위에 올랐고, 부산대가 886억 원으로 10위를 기록했다.

논문 게재 수는 서울대가 3277편으로 가장 많았고, 연세대(1891편)와 고려대(1801편) 등이 뒤를 이었다. 충남대는 974편으로 10위에 올랐다.

대전지역 한 대학 관계자는 "수도권 대학에 과도하게 편중된 지원은 비수도권 대학의 고사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며 "지역균형발전차원에서 비수도권 대학에 대한 예산지원 확대 등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충북도가 내년 청주시 서기관 교육대상자를 기술직으로 요구한 것으로 전해져 청내 공무원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28일 시 등에 따르면 충북도가 지난 17일 오후 늦게 청주시에 보낸 공문을 통해 ‘경기도 수원시 지방행정연수원의 고급리더과정 교육대상자 1명을 선정해 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예년과 마찬가지로 행정직 서기관의 1년 교육입소를 예상했던 청주시는 당혹스럽다는 입장이다.

현직 기술직 서기관 중 1955년 이후 출생자로 제한된 교육대상자로 해당 인물이 없는 데다 신규 승진후 교육대상자로 입교시킬 경우 1년 교육후 무보직 서기관으로 전락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남상우 시장은 "충북도와 행안부 등과 협의해 고급리더과정 교육대상자를 기술직에서 행정직으로 전환해줄 것을 요청할 예정"이라며 "일단 교육대상자를 제외한 뒤 나머지 인사를 30일이나 31일 발표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충북도와 행안부가 청주시에 배정된 고급리더과정 교육대상자를 기술직으로 고집할 경우 시의 내년 서기관 교육대상자 선정 포기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 관계자는 “인사란 예측가능성이 있어야 하는 데 갑자기 관행과 특정을 무시한 채 예측불허의 인사를 단행해야 하니까 직원들이 당황할 수 밖에 없다”며 “인사권자가 내년 선거 등을 의식해 결심한 것 같지만 파격이 아닌 파괴는 결국 도움이 되지 않는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전시 동구 신흥동, 대동, 판암동 일대 67만 8000㎡가 '뉴 타운식 도시재정비 촉진사업지구'로 31일 확정고시된다.

대전시와 동구청은 28일 인구 2만 3000명을 수용하게 될 도심 속 신도시 개발을 위한 '신흥지구 도시재정비 촉진사업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이 지역은 동구청에서 1년 6개월 간 계획을 수립해 교통영향분석 및 개선대책 심의를 거쳐 주민공청회와 의회의견 청취 등을 끝내고, 지난 18일 도시재정비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했다.

신흥지구 도시재정비 촉진사업 추진 계획에 따르면 시는 사업지구 내 기본 인프라 시설로 국비 20억 원과 시비 20억 원을 투입, 복합커뮤니티센터를 건립하고 원활한 교통소통을 위해 신흥오거리를 네거리로 바꾸는 등 교통체계 개선사업을 실시한다.

또 기존 8m 도로를 27m 규모로 11개 노선을 신설하는 한편 3515㎡ 규모의 대규모 광장을 조성하고, 기존 0.05%에서 6.5%(4만 4897㎡)로 공원녹지도 대폭 늘린다.

시는 사업지구 내 모두 8526가구의 주택을 건설하고, 이 중 924가구(총 물량의 10.8%)를 영세민을 위한 영구임대주택으로 조성, 공급해 재개발사업 후 원주민의 재정착률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12월 현재 동구 신흥지구를 포함, 대전역세권과 중구 선화·용두지구, 서구 도마·변동지구, 유성구 유성시장, 대덕구 상서·평촌지구 등 6개 지구가 도시재정비촉진사업 지역으로 확정됐고, 대덕구 신탄진 지구와 오정지구, 유성구 도룡지구 등 3개 지구가 내년 상반기 추가 지정될 예정이다.

시는 이에 따라 9개 지구(1133만여 ㎡)를 주거지형과 중심지형로 나눠 4개소 550만여 ㎡는 주거지역으로 5개소 582만여 ㎡는 상업과 공업지역으로 생활권 단위의 광역계획을 수립·추진해 도시균형발전을 꾀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시는 도시재정비촉진사업 지구로 지정될 경우 자치구당 최대 1000억 원까지 국비지원이 가능해짐에 따라 지구별 선도 사업을 선정해 국비와 시비를 투입, 사회기반시설을 조성해 사업추진의 원동력으로 삼는다는 전략이다.

실제 시는 오는 2012년까지 모두 677억 원(국비 420억 원, 시비 247억여 원, 구비 11억여 원)을 투입해 확정·고시된 7개 사업지구에 대해 공원, 광장, 복합커뮤니티센터, 육교 등의 사회기반시설을 구축키로 했다.

박월훈 대전시 도시주택국장은 "기존의 재개발 정비방식이 아닌 도시재정비촉진사업 방식을 통해 192억 원의 주민 부담분이 절감됐다"며 "신흥지구 등 재정비촉진 사업 예정지를 자연과 함께 더불어 숨 쉬는 행복한 마을로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충북도의 교육기관·사회보장 지원금이 전국 광역자치단체 평균을 밑도는 반면 공무원 출장비·업무추진비·행사비는 평균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신문 프레시안과 시민단체 희망제작소가 지난 2008년부터 매년 8월말 지방자치단체가 의무적으로 공개해야 하는 재정상태보고서와 재정운영보고서 2년치를 바탕으로 전국 246개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재정 형편을 비교했다.

조사 결과 '충북도 2008년 회계연도 자료'에서 도는 주민 1인당 사회보장 지원금이 4만 5000원으로 전국 평균 10만 5000원에 절반도 미치지 못해 16개 광역자치단체 중 10위를 기록했다.

주민 1인당 교육기관 지원금은 10만 3000원으로 전국 평균 13만 1000원을 밑돌아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11위를 차지해 교육기관에 대한 도 지원이 열악한 것으로 집계됐다.

의원 1인당 의회비는 6238만 7000원으로 전국 평균 7000여만 원에 못미처 전국 14위로 하위권에 머물렀다.

반면 공무원 출장비와 업무추진비는 평균을 웃돌고 행사비는 전국 자치단체 중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공무원 1인당 출장비 및 업무추진비는 297만 8000원으로 전국 평균 276만 7000원 보다 21만 1000원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공무원 1인당 행사비는 491만 6000원으로 전국 평균 279만 2000원 보다 두 배 가까이 많아 전국 자치단체 중 최고를 기록했다. 행사비를 가장 적게 사용한 경북도의 116만 7000원 보다 3배 이상 많은 금액이다. 박재원 기자 ppjjww7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