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희망근로 프로젝트가 본격 시행에 앞서 우려됐던 문제들이 현실로 드러났다.
국비 지원, 지자체 분담분 미확정 등 산적한 문제가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국비 포함 49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이번 사업에서 지자체 간 분담분도 아직 확정되지 않은 데다 참가자 사업장 배분과 임금 30%에 해당하는 상품권 사용 제반 문제에 대해서도 단계적으로 풀어간다는 입장이어서 우려가 현실화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오는 11월까지 6개월간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희망근로 사업의 경우 공공근로와는 차별화된 생산적인 작업이 조만간 지역 곳곳에서 진행되더라도 한정된 기간 내에 당초 사업취지를 살릴 수 있는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재차 조급한 일정을 재촉해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사업을 위해 시가 집행할 490억 원 예산 중 89%는 국비로 지원되지만 나머지 11%에 대해 현재 자치구는 전액 시가 부담할 것을 요청 중인 상황이어서 접점에 다다르기까지 난항이 예상되고 있다. 자치구의 입장에서는 기존 시가 제시한 분담분을 수용할 경우 이번 사업에 구별로 5억 원 이상의 추가 예산 부담을 떠안아야 함에 따라 열악한 재정난을 호소할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몰리고 있다. 국비 지원분(전체 예산 89%)의 자치구 배분 실행시기도 불투명하다.
또 일자리의 경우 지자체에서 자체적으로 ‘필요에 따라 기획된’ 사안이 아닌데다 사업참여 신청자 분포도 여성과 노령층에 집중돼 있는 실정이어서 사업 생산성보다는 사업기간 참가자 안전사고 예방에 치중해야 하는 부담도 만만치 않은 실정이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참가자 노동력의 질도 떨어지는 등 일 시킨다는 것 자체가 쉽지않다”며 “구별 T/F팀 가동으로 인한 인력배분도 문제지만 사업 진행을 위해 부서별로 할당된 인원이 현장배치나 실무 등 사업관련 업무 90% 이상을 전담함에 따라 부서별 본연의 업무에 차질을 빚는 것은 물론 과중한 업무량에 시달리고 있다”고 토로했다.
한편 중구와 서구, 유성구 등은 1일 ‘희망근로 성공 다짐대회’를 개최하고 본격적 일자리 창출을 위한 대장정에 앞서 희망다짐대회와 안전보건교육을 실시하며 박차를 가하고 있으나 사업을 통해 가시적 성과를 거두기까지는 추가 개선작업이 지속적으로 요구될 전망이다.
황의장 기자 tpr111@cctoday.co.kr
국비 지원, 지자체 분담분 미확정 등 산적한 문제가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국비 포함 49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이번 사업에서 지자체 간 분담분도 아직 확정되지 않은 데다 참가자 사업장 배분과 임금 30%에 해당하는 상품권 사용 제반 문제에 대해서도 단계적으로 풀어간다는 입장이어서 우려가 현실화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오는 11월까지 6개월간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희망근로 사업의 경우 공공근로와는 차별화된 생산적인 작업이 조만간 지역 곳곳에서 진행되더라도 한정된 기간 내에 당초 사업취지를 살릴 수 있는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재차 조급한 일정을 재촉해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사업을 위해 시가 집행할 490억 원 예산 중 89%는 국비로 지원되지만 나머지 11%에 대해 현재 자치구는 전액 시가 부담할 것을 요청 중인 상황이어서 접점에 다다르기까지 난항이 예상되고 있다. 자치구의 입장에서는 기존 시가 제시한 분담분을 수용할 경우 이번 사업에 구별로 5억 원 이상의 추가 예산 부담을 떠안아야 함에 따라 열악한 재정난을 호소할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몰리고 있다. 국비 지원분(전체 예산 89%)의 자치구 배분 실행시기도 불투명하다.
또 일자리의 경우 지자체에서 자체적으로 ‘필요에 따라 기획된’ 사안이 아닌데다 사업참여 신청자 분포도 여성과 노령층에 집중돼 있는 실정이어서 사업 생산성보다는 사업기간 참가자 안전사고 예방에 치중해야 하는 부담도 만만치 않은 실정이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참가자 노동력의 질도 떨어지는 등 일 시킨다는 것 자체가 쉽지않다”며 “구별 T/F팀 가동으로 인한 인력배분도 문제지만 사업 진행을 위해 부서별로 할당된 인원이 현장배치나 실무 등 사업관련 업무 90% 이상을 전담함에 따라 부서별 본연의 업무에 차질을 빚는 것은 물론 과중한 업무량에 시달리고 있다”고 토로했다.
한편 중구와 서구, 유성구 등은 1일 ‘희망근로 성공 다짐대회’를 개최하고 본격적 일자리 창출을 위한 대장정에 앞서 희망다짐대회와 안전보건교육을 실시하며 박차를 가하고 있으나 사업을 통해 가시적 성과를 거두기까지는 추가 개선작업이 지속적으로 요구될 전망이다.
황의장 기자 tpr111@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