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에서 영업 중인 대형 마트 10여 곳이 매년 1조 원에 가까운 천문학적인 매출을 올림에도 불구하고 지역사회에 대한 환원에는 매우 인색하다는 지적이 누누히 제기돼 왔지만 전혀 개전(改悛)의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관내 대형 마트 13개 업체를 대상으로 올 1분기 지역경제 참여 실적을 분석한 결과, 대전에서 생산된 지역상품 구매액은 350억 원으로 올 초 이들 업체가 연간 목표로 제시한 1843억 원의 18.4%에 그쳤다.
특히 홈플러스 서대전점(3.9%)과 문화점(8.5%), 탄방점(9.9%)의 1분기 지역상품 구매율은 연간목표 대비 한 자릿 수에 머물렀다.
지난해 지역경제 참여 실적을 보면 코스트코홀세일 대전점 등 대형 마트 10곳의 연간 지역상품 구매율은 목표치의 81.8%에 불과했다.
지난해 4분기의 경우 ‘전통시장과 결연 등 상생사업에 대한 지역 대형 마트 참여 실적’은 10개 업체 중 홈플러스 동대전점 한 곳만이 나눔학교 개최 등에 2억 910만 원의 예산을 집행한 것이 전부였고, 이마저도 전통시장과 직접 관련된 사업은 아니었다.
같은 기간 ‘3000만 그루 나무심기 등 공익사업 참여 실적’은 1억 190만 원으로 지역 공공 분야에 대한 투자를 외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일부 대형 마트는 명확히 지역상품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제품을 구매한 후 이를 실적으로 올리거나 전시성 사업에만 소극적으로 참여해온 것으로 조사됐다.
또 ‘상품판매자금의 지역 투자실적’은 10개 대형 마트가 177억 5420만 원으로 집계됐지만 대부분 매장 리뉴얼과 직원 채용에 소요된 비용인 것으로 파악됐다.
더욱이 이들 업체의 지역민 고용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라기보다 ‘비정규직 양산’이라는 비난을 사고 있다.
실제 이마트 둔산점의 경우 400~800명(평일·주말에 따라 상이)의 직원 중 정규직은 170명이고, 홈플러스 둔산점도 정규직원은 45명에 불과하다.
지역 소비자단체 관계자들은 대형 마트들이 이른바 ‘단물만 빼간다’는 비판에 직면하는 것은 이 같은 이유 때문이라는데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김영수 대전주부교실 부장은 “지역에서 이익을 얻는 기업의 이를 지역에 환원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이달부터 대형 유통업체의 지역환원에 대한 실태조사를 벌여 지역경제 활성화를 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권순재 기자
ksj2pro@cctoday.co.kr
1일 대전시에 따르면 관내 대형 마트 13개 업체를 대상으로 올 1분기 지역경제 참여 실적을 분석한 결과, 대전에서 생산된 지역상품 구매액은 350억 원으로 올 초 이들 업체가 연간 목표로 제시한 1843억 원의 18.4%에 그쳤다.
특히 홈플러스 서대전점(3.9%)과 문화점(8.5%), 탄방점(9.9%)의 1분기 지역상품 구매율은 연간목표 대비 한 자릿 수에 머물렀다.
지난해 지역경제 참여 실적을 보면 코스트코홀세일 대전점 등 대형 마트 10곳의 연간 지역상품 구매율은 목표치의 81.8%에 불과했다.
지난해 4분기의 경우 ‘전통시장과 결연 등 상생사업에 대한 지역 대형 마트 참여 실적’은 10개 업체 중 홈플러스 동대전점 한 곳만이 나눔학교 개최 등에 2억 910만 원의 예산을 집행한 것이 전부였고, 이마저도 전통시장과 직접 관련된 사업은 아니었다.
같은 기간 ‘3000만 그루 나무심기 등 공익사업 참여 실적’은 1억 190만 원으로 지역 공공 분야에 대한 투자를 외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일부 대형 마트는 명확히 지역상품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제품을 구매한 후 이를 실적으로 올리거나 전시성 사업에만 소극적으로 참여해온 것으로 조사됐다.
또 ‘상품판매자금의 지역 투자실적’은 10개 대형 마트가 177억 5420만 원으로 집계됐지만 대부분 매장 리뉴얼과 직원 채용에 소요된 비용인 것으로 파악됐다.
더욱이 이들 업체의 지역민 고용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라기보다 ‘비정규직 양산’이라는 비난을 사고 있다.
실제 이마트 둔산점의 경우 400~800명(평일·주말에 따라 상이)의 직원 중 정규직은 170명이고, 홈플러스 둔산점도 정규직원은 45명에 불과하다.
지역 소비자단체 관계자들은 대형 마트들이 이른바 ‘단물만 빼간다’는 비판에 직면하는 것은 이 같은 이유 때문이라는데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김영수 대전주부교실 부장은 “지역에서 이익을 얻는 기업의 이를 지역에 환원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이달부터 대형 유통업체의 지역환원에 대한 실태조사를 벌여 지역경제 활성화를 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권순재 기자
ksj2pro@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