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대전역복합촉진구역 통합개발 협약식이 2일 대전시청에서 열려 기관장들이 협약서에 서명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현용 한국철도시설공단이사장, 허준영 코레일사장, 박성효 시장, 이장우 동구청장. 홍성후 기자 hippo@cctoday.co.kr | ||
대전시는 2일 시청에서 박성효 대전시장과 허준영 한국철도공사 사장, 조현용 한국철도시설공단 이사장, 이장우 동구청장이 참석한 가운데 ‘대전역 복합촉진구역 통합개발을 위한 4자 협약’을 체결하고, 각 기관별 협조사항을 구체화 했다.
협약에 따라 한국철도공사는 대전시와 협의를 거쳐 역세권 재정비촉진지구(88만 7000㎡) 내 22만 4700㎡ 부지에 이르는 ‘대전역 복합촉진구역’에 대한 개발구상과 사업타당성 조사, 개발방향 등에 대한 용역을 수행키로 했다.
용역결과를 바탕으로 시는 통합개발과 사업 활성화를 위한 민간 투자자 유치나 촉진계획 반영 등에 노력하는 한편 동구는 사업시행인가 등 행정절차 이행 관련, 인허가 사항에 적극 협조하게 된다.
한국철도시설공단도 용역결과에 부합한 대전역 명품역사 건립에 착수하게 된다. 또 4개 기관은 각 기관 실무부서들로 이뤄진 ‘통합개발 실무위원회’를 구성, 대전역 복합촉진구역 통합개발에 대한 차질없는 운영을 도모키로 했다.
대전역세권 통합개발에 대한 관련 기관 합의가 이뤄짐에 따라 일대 개발이 가속화 될 전망이다.
대전역사를 중심으로 복합촉진구역 통합개발이 본격화 되면 ‘대전역 복합촉진구역’은 호텔과 컨벤션, 문화, 상업 등이 조화를 이룬 명품 도시 건설로 변모하게 돼 침체된 동구 발전의 기폭제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날 박성효 대전시장은 “철도가 모태인 대전의 역세권개발에 각 기관이 총괄적 의견을 모아 합의를 이룬 뜻깊은 날”이라며 “역주변을 새로운 모습과 기능으로 변화시켜 원도심 부활과 도시개발효과, 철도관련 산업을 일으키는 획기적 전기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허준영 철도공사 사장은 “부대사업으로 치부했던 역세권 사업을 이젠 본업으로 인식, 고객 편의를 도모하고 서비스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발사업 일환으로 나서겠다”며 “이번 사업에 힘을 보태 지역에 이바지하는 한편 대전과 철도가 하나 돼 성공작을 만드는 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장우 동구청장은 “대전역사가 100년 후에도 문화유산이 될 수 있도록 이번 사업에 촉매 역할을 다하겠다”며 협력의지를 밝혔다.
황의장 기자 tpr111@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