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은중 정우준 군

▲ 교원대부고 박소정 양
 
 
 

 
 
충북지역 남녀 중·고교생 2명이 북극으로 떠난다.

화제의 주인공은 여고생 박소정 양(한국교원대부고 2년)과 중학생인 정우준 군(보은중 3년). 이들은 교육과학기술부가 극지연구소, 한국과학창의재단과 공동으로 실시한 '2009 Pole to Pole Korea 북극 연구 체험단' 모집에 선발됐다. 공교롭게도 두 학생은 모두 보은 출신이다.

'2009 북극 연구 체험단'은 이달 21일부터 30일까지 다산과학기지와 주변지역에서 과학자들과 북극 빙하 탐사와 야영 체험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최인석 기자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충남 태안 일대의 안면소나무(안면송)를 제대로 보존하기 위해서는 '(가칭)안면소나무 보존을 위한 특별법'을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경북 울진 일대의 금강소나무(금강송) 보존을 위해 최근 이 지역을 중심으로 ‘금강소나무 보존 특별법’이 준비되고 ‘금강소나무 세계유산등록’ 등이 추진되는 상황에서 유전자적으로 훨씬 더 우수한 안면송 역시 특별법으로 관리돼야 한다는 여론이 비등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산림청이 내년부터 안면송에 대한 국비 지원 근거를 마련한 만큼 국가가 나서 체계적·과학적인 보존과 함께 더 나아가 천연기념물 지정과 세계유산등록 등을 위해서는 국회와 시민·사회단체 등 전방위적인 각계 노력이 필요하다는 데 힘이 모아지고 있다.

▶본보 2008년 8월 11·18일자 1면, 8월 19∼21일자 관련 시리즈 6면, 12월 19일자 6면, 2009년 4월 14일 6면, 6월 29일자 1면 보도

김종원 한국수목보호연구회 고문 겸 한국식물문화재 보호연구회 회장은 "최근 현장 조사결과 골재채취 등으로 안면송이 대거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고 또 묘지가 우후죽순으로 생기면서 안면송이 크게 위협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이를 규제하고 단속하기 위해서는 '(가칭)안면소나무 보존을 위한 특별법' 제정이 시급히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김 회장은 “이번 산림청의 국비지원 근거 마련은 당연하면서도 환영할 일”이라며 “앞으로 특별법을 만들어 체계적인 관리와 함께 문화재청도 안면소나무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할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다양한 활동을 벌일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최근 울진의 금강송을 세계유산등록으로 등재할 추진위원회가 출범했다”며 "2005년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가 울진 금강소나무 대신 안면송을 우수산림 경영사례로 선정한 사례가 있는 만큼, 안면송 특별법 제정과 함께 안면송도 세계유산등록으로 등록될 수 있도록 힘을 결집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충남도의회 강철민 의원(태안 2선거구)도 “안면송은 앞으로 안면도가 개발계획에 따라 국제적인 관광지가 조성될 경우 충남은 물론 우리나라를 대표할 관광상품이 될 우수한 여건을 갖추고 있다”며 “이를 위해 우선 지역주민들과 시민·사회단체 등 각계각층이 모여 안면소나무 보존을 위한 단체를 결성하는 일이 선차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역설했다.

임호범 기자 comst99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미분양 아파트 구입시 양도세 5년간 면제와 취·등록세 50% 감면 혜택 등 영향으로 충청권 미분양 아파트가 지난 4월에 이어 2개월 연속 감소했다.

국토해양부가 발표한 ‘2009년 5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주택 현황’에 따르면 5월 전국 미분양 아파트 수는 15만1938가구로, 전월 16만 3856가구에 비해 7.3% 줄었다.

5월 미분양 물량은 지난해 6월(14만 7230가구) 이후 11개월 만에 가장 적다.

수도권 미분양 아파트는 2만 7344가구로, 전달에 비해 6.2%(1812가구) 감소했으며, 지방은 12만 4594가구로, 지난 4월 13만 4700가구에 비해 7.5% 줄었다.

지역별로는 대전의 경우 5월 말 현재 3012가구로, 전월의 3169가구 대비 157가구 감소했다.

충남은 1만 7229가구로, 전월 1만 7939가구에 비해 710가구 줄었다.

충북은 지난 4월 7403가구를 기록했으나 5월엔 6821가구로 집계돼 7.9% 감소했다.

업계에서는 5월 한 달간 미분양 아파트가 줄어든 이유에 대해 양도세 한시 면제, 공공기관의 미분양 아파트 직접 매입 등 정부 대책이 일부 효과를 거둔데다 건설업체들이 중도금 이자 대납 등 분양조건을 변경한 것이 효과를 냈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박길수 기자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쌀 재고량을 처분하지 못한 지역 농가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들판에서 자라는 푸른 벼가 익어갈수록 이를 바라보는 농민들의 심정은 어둡기만 하다.

올 가을 추수 때까지 현재 재고량을 소모하지 못하면 햅쌀 수매량도 급감, 그 부담을 모두 떠안게 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현재 충남도 내 농협 창고나 미곡종합처리장(RPC)에 보관돼 있는 쌀은 이날 현재 11만 3744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5만 2371t에 비해 117.2%(6만 1373t) 늘었다.

이는 평년치(5~6만t)보다 2배 가량 많은 양이다.

한 농민단체 관계자는 “현재 정부가 추매하려는 쌀은 대부분 농협 RPC 보관량에 한정돼 있는 데, 주변의 농민들은 이 같은 사실조차 모르고 있더라”며 안타까워했다.

대전 인근의 농민 A 씨는 최근 자신의 창고에 보관하고 있던 벼 170가마를 부랴부랴 인근 정미소로 넘겼다.

지금 시기를 놓치면 가을 추곡수매를 앞두고 물량이 한꺼번에 쏟아져 가격이 어디까지 떨어질 지 장담할 수 없는 데다, 장마를 전후로 벼의 품질도 악화돼 농민들에게 불리하다는 것이 A 씨의 설명이다.

A 씨는 “예년 같으면 7~8월이 한창 가격이 오를 때지만 올해는 지금까지 마땅한 판로가 없어 전전긍긍하던 차에 운 좋게도 팔 곳이 생겼다”며 “나는 다행이지만 도강에 벼를 쌓아놓고 있는 마을 이웃들이 안스럽다”고 걱정했다.

이런 상황에도 최근 농수산물유통공사가 수입쌀을 홍보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농민들은 더욱 실의에 빠지고 있다.

한편 정부는 오는 10일경 유관기관이 모여 쌀 재고 소진과 소비촉진 등에 관한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전지역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내 공동주택의 원주민 재정착률이 지구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일부 지구에선 재정착 비중이 낮아 사업 취지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2일 대한주택공사 대전충남지역본부에 따르면 최근 입주를 마친 목동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804가구)의 원주민 276가구(소유자계 272가구, 세입자계 4가구) 중 거주 가구 수는 34가구(소유자계 33가구, 세입자계 1가구)로 원주민 재정착률은 12.3%에 불과하다.

원주민 276가구 중 계약세대는 76가구에 그쳤으며, 이주정착금 수령 소유자는 98가구, 주거이전비 수령 세입자는 68가구로 조사됐다

또 인동 주거환경개선지구도 총 원주민 437가구(소유자계 260가구, 세입자계 177가구)가운데 102가구(소유자 88가구, 세입자 14가구)만 입주해 정착률은 23.3%에 머물렀다.

반면 봉산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1843가구)는 원주민 330가구(소유자계 270가구, 세입자계 60가구) 중 169가구(소유자계 137가구, 세입자계 32가구)가 다시 입주해 재정착률이 51.2%에 달했다.

원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특별공급 계약 신청에서도 지역별로 계약률이 엇갈리고 있다.

천동1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1709가구)의 경우 원주민 239가구 중 162가구가 계약해 68%의 재정착률을 보였지만 대신지구는 원주민 730가구(소유자계 324가구, 세입자계 406가구) 중 264가구가 계약해 36%를 기록했다.

특히 대신지구는 원주민 가운데 소유자 324가구의 264가구가 계약을 체결했지만 세입자는 단 한 가구도 계약하지 않아 재정착 의사가 전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처럼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의 원주민 재정착률이 낮은 것은 원주민들이 아파트 월 임대료에 큰 부담을 느껴 입주를 꺼리고 계약한 아파트를 전매 처분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

박길수 기자 bluesky@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