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내 공동주택의 원주민 재정착률이 지구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일부 지구에선 재정착 비중이 낮아 사업 취지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2일 대한주택공사 대전충남지역본부에 따르면 최근 입주를 마친 목동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804가구)의 원주민 276가구(소유자계 272가구, 세입자계 4가구) 중 거주 가구 수는 34가구(소유자계 33가구, 세입자계 1가구)로 원주민 재정착률은 12.3%에 불과하다.
원주민 276가구 중 계약세대는 76가구에 그쳤으며, 이주정착금 수령 소유자는 98가구, 주거이전비 수령 세입자는 68가구로 조사됐다
또 인동 주거환경개선지구도 총 원주민 437가구(소유자계 260가구, 세입자계 177가구)가운데 102가구(소유자 88가구, 세입자 14가구)만 입주해 정착률은 23.3%에 머물렀다.
반면 봉산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1843가구)는 원주민 330가구(소유자계 270가구, 세입자계 60가구) 중 169가구(소유자계 137가구, 세입자계 32가구)가 다시 입주해 재정착률이 51.2%에 달했다.
원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특별공급 계약 신청에서도 지역별로 계약률이 엇갈리고 있다.
천동1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1709가구)의 경우 원주민 239가구 중 162가구가 계약해 68%의 재정착률을 보였지만 대신지구는 원주민 730가구(소유자계 324가구, 세입자계 406가구) 중 264가구가 계약해 36%를 기록했다.
특히 대신지구는 원주민 가운데 소유자 324가구의 264가구가 계약을 체결했지만 세입자는 단 한 가구도 계약하지 않아 재정착 의사가 전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처럼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의 원주민 재정착률이 낮은 것은 원주민들이 아파트 월 임대료에 큰 부담을 느껴 입주를 꺼리고 계약한 아파트를 전매 처분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
박길수 기자 bluesky@cctoday.co.kr
일부 지구에선 재정착 비중이 낮아 사업 취지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2일 대한주택공사 대전충남지역본부에 따르면 최근 입주를 마친 목동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804가구)의 원주민 276가구(소유자계 272가구, 세입자계 4가구) 중 거주 가구 수는 34가구(소유자계 33가구, 세입자계 1가구)로 원주민 재정착률은 12.3%에 불과하다.
원주민 276가구 중 계약세대는 76가구에 그쳤으며, 이주정착금 수령 소유자는 98가구, 주거이전비 수령 세입자는 68가구로 조사됐다
또 인동 주거환경개선지구도 총 원주민 437가구(소유자계 260가구, 세입자계 177가구)가운데 102가구(소유자 88가구, 세입자 14가구)만 입주해 정착률은 23.3%에 머물렀다.
반면 봉산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1843가구)는 원주민 330가구(소유자계 270가구, 세입자계 60가구) 중 169가구(소유자계 137가구, 세입자계 32가구)가 다시 입주해 재정착률이 51.2%에 달했다.
원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특별공급 계약 신청에서도 지역별로 계약률이 엇갈리고 있다.
천동1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1709가구)의 경우 원주민 239가구 중 162가구가 계약해 68%의 재정착률을 보였지만 대신지구는 원주민 730가구(소유자계 324가구, 세입자계 406가구) 중 264가구가 계약해 36%를 기록했다.
특히 대신지구는 원주민 가운데 소유자 324가구의 264가구가 계약을 체결했지만 세입자는 단 한 가구도 계약하지 않아 재정착 의사가 전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처럼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의 원주민 재정착률이 낮은 것은 원주민들이 아파트 월 임대료에 큰 부담을 느껴 입주를 꺼리고 계약한 아파트를 전매 처분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
박길수 기자 bluesky@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