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 자녀를 둔 대전 서구의 학부모 A(38) 씨는 방학을 맞은 아이를 위해 영어학원을 알아보다 ‘파닉스’라는 단어를 접했다. 어렸을 때부터 파닉스 교육을 시키는 것이 영어를 완성시키는 지름길이라는 게 학원 관계자의 설명이었다.

파닉스는 단어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앞서 단순히 읽는 법을 배우는 발음공부를 의미하는 용어. A 씨는 인터넷에 파닉스라는 단어를 쳐보고 수없이 쏟아지는 교재, 학원, 전자제품, 온라인 모임 등에 부끄러움을 감출 수 없었다. “나름대로 교육에 관심을 갖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우물 안 개구리였다는 걸 깨달았다”는 그는 “당장 파닉스 교육을 시키려 한다”고 말했다.

방학 중임에도 유·초등 자녀를 둔 대전지역 학부모들의 영어교육 열기가 식지 않고 있다. 특히 파닉스가 조기 영어교육을 실시하려는 학부모들 사이에서 화두로 떠오르며 대전지역에도 영어도서관이나 영어서점, 자녀 영어책 읽어주기 온라인 모임 등이 성황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선 지나친 영어교육 열풍이 사교육을 조장하고 어린 학생들의 언어발달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실제 대전지역엔 최근 몇 년 사이 유·초등 자녀에게 파닉스 교육을 시키려는 학부모들의 문의가 서점이나 학원가에 끊이지 않고 있다. 영어동화책이나 전문교재 등을 통해 파닉스 교육을 시키는 것이 영어발음을 익히는 데 유리하다는 입소문이 돌면서 너도나도 뛰어들고 있는 것. 이에 따라 서점가에선 영어동화책의 판매율이 꾸준히 늘고 있고 파닉스 교육전문업체나 교재, 학원들도 잇따르고 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예전엔 학문적으로만 사용되던 파닉스를 사설업체가 도입하면서 알려지기 시작해 학원, 방문학습지, 서점 등으로 확산되고 있다”며 “최근엔 초등학교 교사들도 많이들 교육에 적용한다”고 말했다.

일부 서점에선 영어전용 도서관을 만들고 회원제로 운영하며 영어읽기 조기교육을 독려하기도 한다고 관계자는 덧붙였다.

대전 서구 원앙초의 영어전담교사는 “파닉스 등 조기 영어교육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학부모들의 온라인 모임이 활성화 돼 있다”며 “요즘 학부모들은 영어교육에 좋다면 일단 가르치려는 경향이 강하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영어학원, 조기유학, 영어유치원 등에 이어 이번엔 영어읽기교육이 학부모들의 관심사로 떠오르자 우려섞인 목소리도 잇따르고 있다.

검증되지 않은 교육법에 대한 지나친 열기가 사교육만 조장할 뿐 어린 아이들의 언어발달엔 나쁜 영향을 주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학계에서도 파닉스가 실제 조기 영어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을지에 대해선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대전지역 한 교육관계자는 “쏟아지는 영어 조기교육 프로그램들을 위해 학부모들은 월 수십에서 수백만 원씩의 비용을 부담한다”며 “아이들을 위한 진정한 교육이 무엇인지에 대한 학부모들의 고민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진창현 기자 jch8010@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전지역 일부 미분양아파트에 웃돈이 붙어 거래되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지역 부동산 업계에서는 개발 호재와 입지여건, 브랜드, 조망권 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해 웃돈이 형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일각에선 분양 당시 원정투자자들이 사들인 매물들 가운데 로열층에 웃돈을 붙여 전매 물건으로 내놓아 프리미엄이 형성된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대전 도안지구에는 아직까지 미분양 물량이 많이 남아있는 가운데 일부 물량을 중심으로 1000만 원 이상의 프리미엄이 붙어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도안지구 3블록 ‘한라비발디’는 아직 대형 평형 분양이 완료되지 않았지만 10층 이상 아파트의 경우 최고 2000만 원까지 프리미엄이 붙어 있다는 것.

도안지구 H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총 분양가구 수인 752가구에 프리미엄이 붙은 것은 아니지만 로열층을 중심으로 프리미엄이 형성돼 있다”고 말했다.

도안지구 3블록 ‘한라비발디’는 내달 전매제한이 풀려 같은달 17일부터 거래가 가능하다.

인근 도안지구 9블록 ‘트리풀시티’도 비슷한 수준의 프리미엄이 반영돼 있다.

이 아파트의 시세는 올초까지만 해도 분양가 수준에 머물렀지만 지금은 15~25층 로열층의 경우 프리미엄이 1000만~2000만 원 붙어 거래되고 있다.

대전공인중개사회 관계자는 “대전지역 일대에 미분양 단지가 아직까지 많은 데도 분양시장이 회복기로 접어들면서 실수요자들을 중심으로 전매 아파트가 거래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프리미엄이 형성된 단지라도 대체로 저층이거나 향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곳은 웃돈을 기대하긴 쉽지 않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한라비발디와 트리풀시티 이외의 분양단지는 분위기가 사뭇 다른 양상이다

이들 분양단지는 6일 현재까지 눈에 띄게 웃돈이 붙지 않은데다 거래도 뜸해 한라비발디와 트리풀시티 로열층 수준까지 프리미엄이 붙을 때까진 다소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전매 아파트는 전망이 좋고 로열층 중심으로 많이 이뤄진다. 입지와 층이 좋은 아파트는 거래가 비교적 원활하기 때문에 미분양 단지라도 프리미엄이 붙는 아파트가 있다”고 전했다.

박길수 기자 bluesky@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부정기항공운송사업 등록 취소 위기에 놓인 한성항공이 오는 17일 국내 금융기관과의 M&A체결 후 법정관리신청을 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이성주 한성항공 부사장은 이날 청주시의회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규모가 큰 국내 모 금융기관이 투자의사를 밝혀 17일 본 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라며 “이후 법정관리와 본격적인 투자가 진행되면 고객들의 예약환급금 12억 원과 직원들의 밀린 급여 38억 원을 우선적으로 지급할 생각”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이 부사장은 또 “기업회생절차는 보통 1년 정도 걸리지만 한성항공의 경우 시간이 단축되는 프리패키지 방식으로 신청할 것”이라며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오는 10월경 항공기 운항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프리패키지 방식은 회사가 파산을 신청하기 전에 채권자들끼리 채무를 재조정하는 과정을 거치는 방법으로, 파산 법원에서 시간을 오래 지체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관련 국토해양부는 “항성항공이 지난 3일 투자자와 함께 청문회에 출석해 투자금액 등이 담긴 투자확약서를 제출하고 이달 말까지 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할 것이라고 밝혔다”며 “이에 따라 이 기간 동안만 부정기항공운송사업 취소를 유예하기로 결정했고, 법원으로부터 법정관리 인가를 받을 경우 부정기항공운송사업 등록을 유지해 회생절차를 밟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법원이 법정관리 신청을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부정기항공운송사업 등록 취소 방침을 내릴 것으로 보여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박한진 기자 adhj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 KAIST가 개발 중인 움직이는 항구 ‘모바일하버’의 가상도. KAIST 제공  
 
KAIST가 개발한 움직이는 항구 '모바일 하버'가 중남미 미국 자치령인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의 최대 무역항 폰세(Ponce)에서 첫 선을 보인다.

KAIST는 지난달 31일 푸에르토리코 항만운영권사로부터 모바일 하버 수출을 위한 전단계인 '발주의향서(Letter Of Intent, LOI)'를 접수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의향서는 KAIST가 세운 ㈜모바일 하버와 푸에르토리코의 최대 무역항 '폰세(Ponce)'을 운영하는 미국 'UCW America Corp.' 간의 합의로 두 회사는 이달 말 추가 협의를 거쳐 정식공급 계약을 추진할 예정이다.

모바일 하버는 항구에서 바다로 이동이 가능한 부유체가 대형 컨테이너를 실은 선박으로 접근해 컨테이너를 하역한 뒤 이를 항구로 가져 오도록 하는 차세대 수송시스템으로, '항만의 기능을 가진 배가 다가가서 화물을 처리하자'는 KAIST 서남표 총장의 아이디어에서 시작됐다.

서해와 같이 조수간만 차이로 대형 화물선의 접안이 제한적인 항구에서 유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모바일 하버는 폰세항 사업 의향서에 따라 4400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박스 1개)급 화물선을 처리하는 'A1-600타입' 선박과 함께 'A1-1200 타입'을 제공할 계획이다. 'A1-1200 타입'은 1만TEU급 화물선을 2일 안에 하역·운송할 수 있게 설계했으며 'A1-600 타입'은 5000TEU급 화물선을 1일 안에 하역할 수 있다.

현재 KAIST 해양시스템공학과와 기계공학과 연구진들이 모바일 하버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푸에르토리코의 대학 및 연구기관과도 연구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푸에르토리코는 모바일 하버를 조기도입해 폰세항의 컨테이너 처리량을 배가시킨 후 파나마운하가 확장되는 2014년 이후 폰세항을 중남미 카리브해의 허브(HUB)항으로 개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KAIST 관계자는 "파나마운하 확장공사가 끝나는 2014년이면 미국 동부지역과 중남미 지역은 향후 약 70~80% 이상의 물동량 증가가 예상되기 때문에 모바일 하버의 최적 수요처로 꼽힌다"며 "인천과 군산 등 국내는 물론 동남아, 중동, 항만 인프라가 취약한 아프리카의 항만관계자 및 해운회사와의 협의를 통해 마케팅을 펼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충남대는 7일 대전시 동구 추동 고(故) 이복순 여사 묘소에서 제17주기 추모식과 추모비 제막식을 거행한다고 6일 밝혔다.

고인은 지난 1990년 평생 동안 김밥을 팔아 모은 재산을 충남대에 무상으로 기증해 국내 기부문화의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며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충남대는 5억 원의 기금으로 ‘(재)충남대정심화장학회’를 설립해 지난 1992년부터 지금까지 232명에게 4억 7000여만 원의 장학금을 지급했고 2002년에는 추모 10주기를 맞아 흉상을 제작해 정심화국제문화회관 로비에 세우기도 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