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한 학교급식을 일선 교육청이 방관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나라당 김선동 의원이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초·중·고교의 우수농산물 급식지원은 빈약한 수준에 그치고 있고 성인병을 유발하는 트랜스지방을 줄이기 위한 오븐기 또한 제대로 보급돼 있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방자치단체의 2008·2009년도 우수농산물 급식지원 현황을 살펴보면 일부 지역에서 지원액 및 지원 학교 수가 감소하고 있었다.

대전,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등은 학교당 지원액이 지난해보다 줄었고 인천은 총 지원액, 경기와 전남은 지원학교 수가 각각 전년보다 감소했다.

대전의 경우 우수농산물이 지원된 학교가 지난해 117개교에서 올해 146개교로 늘었지만 학교당 예산은 1900여만 원에서 1870여만 원으로 약 30만 원이 줄었다.

반면 충남과 충북은 지자체의 우수농산물 지원교가 늘고 교당 지원액도 각각 340만 원과 276만 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트랜스지방을 줄이기 위한 전국 초·중·고교의 오븐기 보유율은 36%에 불과한 실정이었다.

충남의 경우 오븐 보급율이 초교는 32.9%, 중학교 13.5%, 고교 41.0%로 초·중·고 모두 전국 평균에 못 미치는 수치를 보였다.

반면 대전은 초교 73.2%, 중학교 34.9%, 고교 91.8%로 전국 최상위권의 보급율을 보였고 충북은 초교 43.4%, 중학교 51.1%, 고교 58.8%의 학교가 오븐기를 보유하고 있었다.

오븐기를 갖고 있으면서 제대로 활용하지 않는 학교도 상당수였다.

오븐기를 보유한 학교 중 전국 101개 초·중·고교가 오븐기를 주당 1회도 사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대전·충북은 절반 이상의 학교에서 오븐 활용 횟수가 주당 2회 이하였다.

이에 대해, 김선동 의원은 “미래를 짊어지고 갈 학생들에게 질 좋은 우리 농산물과 바른 먹거리를 제공하는 하는 것은 국가의 의무”라며 “자라나는 학생들에겐 건강과 영양을 유지할 수 있는 학교 급식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진창현 기자 jch8010@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수 억 대의 재산을 소유하고 있으면서 지방세를 체납하고 있는 비양심 고소득자들이 충북에 400명이 넘는 것으로 드러났다.

행정안전부가 행정안전위원회 한나라당 김소남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충북지역 지방세 체납자 중 10억 이상 재산을 소유한 고소득자는 모두 462명으로 나타났다.

체납액만 110억원에 달해 지난해 도내 지방세 체납액 605억 원 중 18%를 차지하고 있다.

도내 지방세 체납액 연도별 현황은 △2004년 695억 7400만 원 △2005년 662억 400만 원 △2006년 593억 1400만 원 △2007년 580억 2900만 원으로 매년 감소하다 지난해 605억 4000만 원으로 증가했다.

지방세 체납사유별로는 세금을 납부하기 싫어하는 '납부기피'가 평균 30%로 가장 많았고 '소송계류' 23%, '무재산' 19% 등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고액 체납자를 비롯해 세금 납부기피 현상이 지방세 체납액을 부풀리고 있어 고액ㆍ상습 체납자에 대한 명단 공개와 체납 유형별 징수대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박재원 기자 ppjjww7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충남도와 충남발전연구원은 8일 충남발전 중장기 프로젝트 워크숍을 갖고 2020년 충남의 비전과 전략에 대한 총체적인 방향을 공유했다.

향후 10년간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업을 도출하기 위한 고민의 출발점이다.

워크숍 참석자들은 이날 총괄분야와 농업·농촌, 투자통상, 지역산업경제, 문화관광, 도시지역개발, 환경, 복지, 행·재정 등 9개 분야에 대한 정책방향을 공유하고 이 정책방향을 구체적인 사업으로 어떻게 녹여낼 것인지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각 분야 전문가들은 이날 워크숍에서 고령화·저출산 문제와 세계화 흐름, 정보화, 거점도시화, 지속가능성, 지구온난화(기후변화), 균형발전·분권 등을 향후 10년 충남 발전 이슈의 주요 키워드로 제시했다.

정순오 한남대 교수는 “충남은 서북부권을 제외하곤 독자적 비즈니스 도시 환경을 갖추지 못했다”고 지적하고 “행정도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초광역권개발 등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예측해 사전에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환영 공주대 교수는 “수도권·비수도권과 마찬가지로 충남도 역시 시·군간 불균형 격차를 보이고 있다”며 “이 같은 불균형은 지역의 성장 잠재력을 약화시키고 지역의 자생적 발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광분야와 관련, 김향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충남은 축제·관광자원과 관련해선 비교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문화자원이나 시설, 관광 유인력 등은 상당히 부족하다”며 “역사문화자원을 현대적으로 해석하고 대중국 문화관광의 교두보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정책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기준 기자 poison93@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약대신설을 추진하고 있는 충남지역 대학들의 물밑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충남지역에 배정된 50명의 약대 정원을 차지하기 위해 '지역대학 성격'을 둘러싼 논란까지 제기되는 등 대학들 간 미묘한 신경전이 전개되고 있다.

논란의 핵심은 수도권에 본교가 있는 단국대 천안캠퍼스가 약대 신설 경쟁에 본격 가세하면서 비롯됐다. 기존 건양대와 공주대, 선문대, 순천향대, 호서대 간 형성된 경쟁구도에 단국대 천안캠퍼스가 뛰어 들면서 '충남지역에 배정된 약대정원에 수도권 대학이 가세했다'며 일부 대학에서 경계심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단국대 천안캠퍼스는 본교가 수도권에 있는 만큼 충남지역 대학으로 볼 수 없다는 논리다.

반면 단국대 천안캠퍼스는 지난 1978년 천안에서 개교한 이후 지역에서 성장해 온 대학으로 수도권 대학으로 분류되는 것에 대해서는 수긍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단국대 천안캠퍼스 관계자는 "천안캠퍼스에는 죽전캠퍼스에는 없는 의과대와 치과대가 있고, 부설연구소 등을 통해 꾸준하게 생명과학 분야에 대한 투자를 해 온 만큼 약대신설에 유리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 같은 '지역대학 논란'은 연세대가 인천지역에서 약대 신설 배정을 모색한다는 소식에 인하대와 인천대, 가천의과학대 등 3개 대학이 연합전선을 구축해 "인천에 배정된 신설 약대는 인천지역 대학에 배정되야 한다"며 공동 대응에 나선 것과 무관하지 않다.

약대 등 의료보건계열에 대한 향후 전망과 인기도를 반영한 듯 약대 신설을 노리는 대학들간 물밑 신경전이 치열하기 때문이다.

충남지역 모 대학 관계자는 "약대 신설과 관련 신청서 작성 여부 등 교과부의 지침은 아직 내려오지 않은 상태"라며 "대학별로 별도의 팀을 구성해 사전 준비작업에 매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 황선호 대전시회장  
 

대전지역 전문건설업계를 대표하는 대한전문건설협회 대전시회 신임 회장에 황선호(57) 동국휀스건설㈜ 대표가 선출됐다. 대한전문건설협회 충남도회 차기 회장에는 현 회장인 박상희(62) 태조토건㈜대표가 재선됐다.

대한전문건설협회 대전시회는 8일 유성 아드리아호텔 그랜드볼룸에서 2009년 제1회 임시총회를 열고 제7대 회장에 황선호 동국휀스건설㈜대표를 선출했다. ▶인터뷰 7면

이날 회장 선거에는 황선호 동국휀스건설㈜ 대표를 비롯해 윤순중 ㈜한건티엔씨 대표, 김광수 ㈜광남토건 대표 등 3명이 출마, 2차 결선투표에서 황 후보가 재적 대표회원 111명 중 57표를 얻어 차기 회장에 뽑혔다.

이날 선거에서는 1차 투표에서 세 후보 모두 재적 대표회원 111명의 과반 이상 득표를 얻지 못해 2차 결선투표까지 진행되는 등 뜨거운 경합을 벌였으며, 결국 다득표를 얻은 황 후보가 당선됐다.

   
▲ 박상희 충남도회장
이로써 황 신임 회장은 이달 말 임기가 끝나는 김광수 회장의 뒤를 이어 11월 1일부터 4년간 협회와 대전지역 전문건설업계를 이끌게 됐다.

대한전문건설협회 충남도회도 이날 대전 유성호텔 스타불룸에서 재적 대표회원 120명 중 104명이 참석한 가운데 2009년 제1회 임시총회를 개최하고 단독 입후보한 박상희 후보를 만장일치로 제9대 회장으로 추대했다. 또 충남도회는 신임 감사에 ㈜동강 박석수 대표와 ㈜정원엔지니어링 유완희 대표를 각각 선임했다.

박길수 기자 bluesky@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