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원순 후보(오른쪽)  
 

야권의 10·26 서울시장 보선 단일 후보로 시민사회 박원순 후보가 선출됐다.

박 후보는 3일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서울시장 야권단일후보 선출 국민참여경선에서 민주당 박영선 후보를 누르고 야권 단일 후보로 확정됐다. 박원순 후보는 이날 경선에서 최종 득표율 52.15%를 기록하면서 45.57%를 얻은 박영선 후보를 6.58% 포인트 앞서며 서울시장 선거 본선행 티켓을 획득했다.

민주노동당 최규엽 후보는 2.28%를 얻는데 그쳤다.

경선 최종 득표율은 일반 시민 여론조사(30%), TV토론후 배심원 평가(30%), 국민참여경선(40%)을 합산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앞서 지난달 30일 공개된 배심원단 평가에서도 박원순 후보는 54.4%의 지지로 박영선 후보(44.1%)에 10.3% 포인트 앞선 바 있다. 최종 집계 결과 박원순 후보는 여론조사(57.65%)에서 박영선 후보(39.70%)를 17.95% 포인트 차이로 크게 앞서면서 현장투표로 실시된 국민참여경선의 열세(46.31% 대 51.08%)를 만회하면서 1위를 차지했다. 연합뉴스

Posted by 충투 기자단 :
    
   
 
  ▲ 30일 한나라당 당사에서 홍문표 한나라당 최고위원과 오부치 유우코 중의원이 만나 FTA 대은 한-일 농촌대책 특별 대담을 벌인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일본 메이지대학교 시민거버넌스연구소 제공  
 

충남도의 한 공무원이 한-일 FTA 공동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가교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주인공은 일본 메이지대학교 시민거버넌스연구소 객원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홍만표 충남도 국제교류팀장.

홍 팀장은 최근 오부치 게이조(小淵 惠三) 전 일본 수상의 딸이자 4선 중의원인 오부치 유우코(小淵 優子) 의원과 홍문표 한나라당 최고위원과의 만남을 주선, 양측이 FTA 공동 대응 체계를 마련키로 전격 합의하는 토대를 마련했다.

실제, 유우코 의원과 홍 최고위원은 지난 30일 한나라당 당사에서 ‘FTA 대응 한-일 농촌대책 특별 대담회’를 갖고 양국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차원의 교류와 맞물려 양국의 농업발전과 FTA 공동 대응 체계마련을 위해 협력키로 합의했다.

이날 회담의 주요 골자는 △FTA 공동 대응방안 논의 △한·일 양국 간 농업발전 방향 모색 △저출산·고령화 대책 △구제역 등 국경 없는 전염병 공동대처 방안 모색 등이다.

특히 홍 최고위원과 유우코 의원은 FTA 공동대응체계 마련과 관련, 양국 농업발전 공동방안연구협의체(가칭)를 구성한다는 데 전격 합의했다.

그동안 한-일 의원 연맹 등 국회의원 당사자 간 친목 및 교류증진 등을 위한 모임은 있었지만, 이처럼 일본통인 충남도 공무원의 주선으로 국내 최고 농어촌전문가와 일본의 중의원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위한 협의체 구성에 나선 것은 극히 이례적인 일로 평가된다.

아울러 한-일 농어촌 전문가와 연구자를 새롭게 포함해 정기적인 논의의 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향후 한-일 FTA 공동 대응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관련 오부치 유우코 의원은 새롭게 합의된 공동방안연구협의체의 원활한 출발을 위해 내년 상반기 중 일본 군마현에서 ‘협의체제창자회의’를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양 측은 또 양국 농업발전을 위한 공동대책기금(펀드) 조성 및 향후 양국에 농업관련전담연락사무소를 설치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가기로 했다.

홍문표 최고위원은 "농업 발전을 위해 개인·지역적·국가적 관점 각각의 역할과 조합도 중요하지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한계를 넘어 국가적 연대로 나가는 것도 큰 의미가 있다"며 "농업분야에서의 국가적 연대는 향후 농업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의 문화공동체 형성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 서울시장 야권 단일후보 선출 국민참여경선에서 민주당 박영선 후보를 누르고 단일후보가 된 시민사회 박원순 후보가 3일 오후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왼쪽부터 민노당 최규엽 후보, 박원순 후보, 민주당 박영선 후보. 연합뉴스  
 

민주당과 민주노동당, 국민참여당 등 야당과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 등 시민사회는 3일 공동 정책합의문과 서울시정 공동운영 및 공동선대위 구성 합의문을 채택했다.

특히 야당과 시민사회는 범야권 단일후보 경선에 나섰던 후보들이 공동선대위 본부장을 맡아 경선 승리자의 당선을 위해 힘을 쏟기로 했다.

야4당과 시민사회는 정책합의문에서 "단지 이명박 정부의 실정과 민생파탄을 심판하는 것을 넘어서 시민사회의 폭넓은 참여와 협력을 통해 사람 중심의 함께 잘사는 서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어 "심각한 양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편적 복지를 실현하고 노동 존중의 사회를 선도할 것"이라며 "전시성 예산 낭비로 얼룩진 토건 서울을 사람 중심, 민생 중심, 자연친화적이고 문화예술이 꽃피는 서울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이들은 특히 초·중생에 대한 친환경 전면 무상급식 및 초·중·고교 공교육 강화, 전시성 토건예산 삭감 및 보편적 복지 예산 대폭 확대, 서민 고용안정 및 청년실업 문제 해결 등을 담은 10대 핵심 정책과제도 제시했다.

정책과제에는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SSM) 규제 강화, 뉴타운 사업 재검토, 아동수당 확대 및 사회적 약자 보호, 서울시립대 등록금 반감, 서울시 및 산하기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한강 르네상스 사업 재검토 등도 포함됐다.

이와 함께 민주당과 민주노동당, 국민참여당 등 야3당과 시민사회는 서울시를 시민참여형 민주정부로 함께 운영하기로 하고 이를 위해 서울시장 당선자가 '서울시정 운영협의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이들은 또 서울시장 공동선거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이날 야권 단일후보 경선에 나섰던 후보들이 공동선거대책본부장을 맡기로 했다. 연합뉴스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