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건설로 법과 행정, 경제, 사회 등 충남지역의 전 영역에서 큰 변화가 예상되면서 충남도가 적기에 상생발전 전략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도의회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일고 있다.
특히 도는 지난 3월 세종시출범 실무준비단을 발족하고 상생전략 마련에 부심하고 있지만, 예산 미확보로 인해 5월 추경을 통한 예산 확보가 시급하고 내년도 상생발전 전략을 추진하기 위한 도 자치법규 등의 일제 정비도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도와 도의회는 지난 4월 단 한 차례의 보고회만 개최한 수준으로 상생발전 전략 마련에 대한 관심과 소통이 저조한 상황이다.
도는 세종시가 2012년 7월 도내 연기군 전역과 공주시 및 청원군 일대 465㎢ 면적에 조성됨에 따라 지난 3월 세종시 출범 실무준비단을 발족하고 본격적으로 도 차원의 상생발전 전략 모색에 돌입했다.
도는 세종시 출범 실무준비단을 통해 인근지역의 공동화 현상을 방지하고, 행정 구역 조정에 따른 법·재정·행정적 조율 등 다각적인 상생발전 전략을 강구한다는 계획이다.
그동안 도는 각 시·군 및 도청 실국 등으로부터 19개의 상생발전 주요 의견을 수렴했으며, 내달 상생발전 전략 마련을 위해 연구용역을 발주하는 등 세종시 출범을 충남발전의 기회로 삼는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세종시 출범 실무준비단이 올해 3월 발족하다보니 연구용역 등 관련 예산을 확보하지 못했다.
게다가 5월 추경을 통해 예산을 확보해 연구용역을 추진하더라도 그 결과는 올해 말에야 도출되는 실정으로 2012년도 사업 추진을 위한 예산 마련 및 조례안 제정 등도 적기에 추진하기에 애매해 도의회의 이해와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이처럼 도와 도의회의 긴밀한 협조가 어느 때보다 절실하지만 현실은 여기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도와 도의회는 세종시 상생발전을 놓고 지난 4월 19일 주요업무보고를 개최했지만, 단순 보고에 머무는 수준으로 그친 것으로 알려졌다.
도 관계자는 “세종시와 상생발전 전략 마련을 위해 도의회 상생발전특위 윤석우 위원장과 수시로 연락을 취하며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며 “올해 12월 말에 용역이 나오지만, 2012년 사업추진에 필요한 예산 등을 확보하기 위해 9월경에 중간보고회를 하는 등 도의회와 소통을 이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충남도의회는 세종시 건설로 인한 주변지역 공동발전이 소홀히 되거나 무시되지 않도록 의회 차원의 지원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앞서 운영했던 ‘세종시 정상추진 지원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지난 1월 27일 ‘충남도와 세종특별자치시간 상생발전특별위원회’로 변경해 운영하고 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