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마지막 몸부림

2010. 8. 23. 10:26 from 알짜뉴스
     8월 세번째 주말인 22일 여름 끝자락을 무색케 하는 폭염이 이어지면서 대전·충남지역 주요 유원지는 막바지 피서객들로 인산인해를 이뤘고, 사건·사고도 잇따라 발생했다.

연이은 폭염으로 폐장일을 연장한 보령 대천해수욕장은 지난 21일에 이어 이날 하루 피서객이 25만 명을 넘어서면서 절정을 이뤘다.

신비의 바닷길로 유명한 무찰포 해수욕장은 7000여 명이 넘는 인파가 몰렸고, 꽃지해수욕장 등 태안지역 32개 해수욕장에도 10만 명의 인파가 몰렸다.

도심 속 유원지에도 막바지 무더위를 식히려는 사람들로 북적였다.

중부권 최대 야외 수영장을 갖춘 꿈돌이랜드에는 한낮 더위를 피해 몰린 아이들로 만원을 이뤘다.

대전 대표 테마파크인 오월드도 폭염 탓에 예전보다 다소 방문객이 줄어든 4000여 명에 그쳤지만 야간개장으로 아름다운 경관조명을 감상하는 관람객들 발길이 늦은 시간까지 이어졌다.

또 대덕구 장동 산림욕장에는 900여 명이 넘는 입장객들이 시원한 숲속에서 더위를 식혔다.

특히 삼림욕장 내 조성된 물놀이장에는 수많은 아이들은 물론 어른들까지 차가운 계곡물에 몸을 담그며 찌는 듯한 무더위를 식혔다.

충남 대표 명산인 계룡산 국립공원에는 1만 명의 등산객이 등산로를 따라 산행을 즐겼고, 대전·충남·북지역 유명산과 휴양림, 계곡 등에는 남녀노소 할 것 없이 계곡물에 몸을 담그며 시원한 주말을 즐겼다.

반면 물놀이 사고 및 심각한 교통체증도 이어졌다.

이날 오전 10시 36분경 충남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마곡사 인근 계곡에서 친구들과 함께 물놀이를 하던 A(19) 군이 물에 빠져 숨졌다. A 군은 친구 6명과 함께 물놀이 중 깊은 물에 빠져 신고를 받고, 출동한 119에 의해 구조됐지만 숨졌다.

이날 대전과 충남지역을 지나는 주요 고속도로는 막바지 피서차량이 몰리면서 곳곳에서 지·정체 현상이 빚어졌다.

한편 내일 중부지방을 시작으로 비가 내릴 전망이며, 모레는 전국으로 확대돼 30~100㎜의 비가 내릴 것으로 기상청은 내다봤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정부의 중앙행정기관 이전 변경 고시로 세종시 건설이 법적 탄력을 받고 있는 가운데 세종시의 법적 지위 등을 규정할 '세종특별자치시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안'(이하 특별법)의 국회 처리 여부가 지역 현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대전, 충남, 충북 광역단체장들은 최근 이 법안의 조속한 처리를 촉구한 바 있고 지난 19일 국회에서 열린 충남도정 간담회에서도 이 문제가 제기 되는 등 시급한 현안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 법안의 구체적 내용을 놓고 정치권에서 입장차를 나타내고 있어 9월 정기국회에서의 조율 여부가 주목된다. 세종시의 명칭과 법적 지위를 규정하고 있는 특별법은 지난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수차례 논의했지만 여야 간 의견이 엇갈려 상임위에 법안이 계류 중이다.

특별법은 또 지난해 9월 24일 행안위 전체회의에서 안건으로 상정됐지만 민주당 의원들이 반대 입장을 나타내 상임위를 통과하지 못했고 법안 처리가 이뤄지지 못했다.

당시 민주당 의원들은 ‘중앙행정기관 이전 고시가 안된 상황에서 특별법의 처리는 의미가 없다’며 법안 처리에 반대한 바 있다.

이와함께 당시 관할구역을 놓고 충북 청원 포함 여부가 쟁점으로 부상하기도 했다.

당시 행안위에 상정된 법안은 세종시를 정부직할의 광역시 기능을 수행하도록 규정했지만 특례시 성격도 있어 이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그러나 세종시 원안 추진이 법적으로 확정됐고, 정부가 중앙행정기관 이전 고시를 명시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특별법의 연내 처리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어 주목된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철밥통 국립대 교수사회에 실적주의에 따른 경쟁의 바람이 거세지고 있다.

연구 등 각종 실적이 저조해 교원승진에서 탈락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성과급 격차도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22일 충남대에 따르면 오는 10월 1일자 교원 승진 대상자 46명 중 30명이 승진했고 16명이 탈락했다.

직급별로는 부교수에서 교수로 승진한 경우는 18명의 대상자 중 14명, 조교수에서 부교수로 승진은 27명 중 절반 수준인 15명에 그쳤다. 전임강사에서 조교수 승진은 대상자 1명이 그대로 승진했다.

이처럼 교원 승진비율이 낮아진 이유는 '교육공무원 임용규정'에 따른 승진임용 기준이 대폭 강화됐기 때문이다.

종전에는 승진임용기준에서 연구실적이 200점 만 있으면 승진이 가능했지만 새롭게 규정이 제정된 교원업적평가시행지침에 따라 부교수 승진자의 경우 연구실적이 300점 이상, 교수 승진자는 400점 이상으로 강화됐다.

이 같은 추세를 반영하듯 지난 2009년 4월 1일자 교원 승진 대상자의 승진 비율은 84%에서 같은 해 10월 1일자는 75%, 올해 4월 1일자는 74%, 오는 10월 1일자는 65%로 낮아지고 있다.

충남대는 교수들에 대한 성과급 연구보조비도 능력과 업적별로 등급을 나눠 차등, 적용하는 '무한등급제'를 도입해 교수별 격차가 크게 벌어지고 있다.

지난 2009년 교수들에 대한 성과급 연구보조비 지급에서 최고 등급을 받은 교수가 865만 원, 최저 등급이 124만 원을 받는 등 최대 741만 원의 차이가 발생했다.

교수별로 교육과 연구, 봉사영역으로 나눠 각 영역별로 취득한 점수에 따라 일정한 등급을 나누지 않고 평가점수에 따라 차등 지급하기 때문이다.

지난 2008년에는 성과급 연구보조비 지급이 최고 S등급부터 최저 8등급까지 모두 9등급으로 나눠 성과급을 지급했다가 경쟁력 강화를 유도하기 위해 각 교수별로 획득한 개인별 점수에 따라 평가하는 '무한등급제'로 강화된 것이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지난 6월 신용카드 발급이 1억 1000만 장을 넘어서면서 경기 회복 기대와 카드 부실 우려가 교차되고 있다.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말 현재 신용카드는 1억 1187만 장이 발급돼, 전년 동기대비 11.6% 증가했다. 1인당 신용카드 보유 장수 역시 전체 인구 기준 2.2장, 경제활동인구 기준 4.4장으로 전년 동기보다 각각 0.1장, 0.4장 늘어났다.

이는 카드사들이 수익 증대를 위해 신규 회원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섰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실제 최근 카드사들은 주유·여행 관련 할인 혜택을 확대하고, 웨딩과 레저 등 부가서비스를 강화한 신용카드 상품을 출시하고 있을 뿐 아니라, 백화점·마트 등에서 특화 상품들을 가두모집하는 등 마케팅에 열을 올리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카드사들은 전화나 문자메시지를 이용해 한도를 높여주겠다거나 카드론 신용대출을 소개하며 소비자들을 끌어들이고 있어 신용카드 사용액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올 상반기 1일 평균 신용카드 결제 건수는 1513만 건, 결제 금액은 1조 3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각각 19.9%, 5.2%가 증가한 가운데, 개인의 신용카드 건당 구매금액은 작년 상반기보다 3000원 적은 5만 5000원으로 줄었다.

이와 관련 금융권 관계자들 사이에서 경기 회복에 따른 카드 사용 증가로 인한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보는 의견과 카드 남용으로 인한 과열 경쟁 및 부실 등에 대한 우려가 엇갈리고 있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카드 사용 증가는 경기 회복으로 인한 기대감이 소비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을 반증한다”며 “올 하반기 카드 발급과 이용액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지난 2003년 카드대란 전과 같은 카드사들의 마케팅 전쟁이 신용카드 남용으로 인한 부실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며 “신용카드 남용은 고스란히 가계 빚으로 남게 되는 만큼 제2의 카드대란이 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