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모 중학교에서 방학 중 상납을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동료 학생에게 집단 폭력을 휘두른 사건이 발생해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특히 대전시교육청과 학교 측은 교내에서 발생한 집단폭력에 대해 정확한 사고 경위조차 파악하지 못하다가 뒤늦게 진상조사와 대책마련에 나서 사태의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3일 대전 둔산경찰서에 따르면 대전 모 중학교 A(13) 군이 개학 첫날인 지난 1일 점심시간에 동급생 6~7명에게 집단 구타를 당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A 군은 경찰조사에서 "가해 학생들이 방학 중에 문자 등을 통해 5000원에서 2만 원까지 돈을 가져오라고 요구했었는데 방학이라서 주지 않았다"며 "방학 중에 상납을 하지 않아서 폭력을 휘두른 것 같다"고 경찰에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A 군의 어머니는 "학교에서 폭력이 발생했지만 주변에 있는 다른 아이들이 경찰에 신고했다"며 "아이가 온 몸이 멍이 들고 치아가 손상된 상태지만 학교에서는 병원에 입원한 후에야 사태를 파악했다”고 말했다.

경찰은 A 군에 대한 피해사실을 토대로 가해 학생들에 대한 수사를 벌인다는 방침이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청주·청원의 행정구역 통합을 추진하고 있는 시민·사회단체의 모임인 청원청주상생발전위원회(이하 상생위)가 청원군이 지역구인 변재일 국회의원(민주당)에게 “책임있는 입장 표명과 실질적인 행동”을 촉구했다.

상생위는 3일 성명서를 통해 “통합 문제는 개별 정치인의 이해관계를 넘어서야 하는 지역의 중차대한 문제”라며 “그럼에도 정치적 유·불리를 따져 통합의 대의에 역행하는 정치인들은 결국 유권자의 심판을 받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상생위는 이어 “해당 지역구 국회의원은 통합에 찬성한다는데 같은당 소속 청원군의원들이 통합에 반대하는 것은 상식적으로 납득이 되지 않는다”며 “변 의원은 대승적 차원에서 통합에 대한 입장을 분명히 밝히고, 지역민의 의견을 수렴해 청원군의 불이익 해소 방안을 스스로 제안하는 등 책임있는 국회의원의 역할을 보여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상생위는 이 밖에도 청원군의회의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판단, 중앙정부차원의 통합인센티브 약속이행 담보협약 등을 요구했다.

심형식 기자 letsgohs@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학 졸업생들의 취업률이 가장 높았던 학과는 보건·의료, 건설·교통, 생명과학 순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학기술부는 3일 전국 410개 대학(캠퍼스 기준 463개)을 대상으로 조사한 대학별 특성화 추진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취업률이 가장 높았던 특성화 분야(학과)는 4년제 대학에서는 보건·의료 분야로 83.9%를 기록했다.

이어 건설·교통(77.2%), 생명과학(76.4%), 기계·전기·전자(75.8%), 농림수산식품(74.6%), 화공(73.5%) 등의 순을 나타냈다.

전문대에서는 건설·교통이 95.2%로 가장 높았고 이어 전기·전자(92.4%), 보건·의료(90.7%), 문화·예술·체육(90.5%), 농림수산식품(88.7%), 기계(88.5%) 등으로 나타났다.

전체 취업률 평균은 전문대학이 85.6%로 대학(69.7%)과 비교해 15% 포인트 이상 높았다. 신입생 충원율은 대학은 환경(99.8%), 기초학문(99.6%), 화공(99.4%) 등의 순으로, 전문대는 기계(109.4%), 공공서비스(104.7%), 기초과학(98.1%) 등의 순으로 높게 나왔다.

이번 현황 조사에 응한 전체 463개 대학 캠퍼스 중에서 특성화 분야 사업을 추진 중인 곳은 301개교(68.1%), 참여 학과는 전체 2만 6229개 학과 중 4829개(18.4%)로 집계됐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기술력을 갖추고도 자금이 부족해 곤란을 겪고 있는 충청권 중소기업들의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한국수출입은행 대전충남본부는 지역에서 기술력을 갖춘 업체 가운데 수출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발굴해 1000억 원을 집중 지원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지원은 최근 발표된 ‘2010 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계획’에 따른 것으로 올해에만 전국적으로 100개 기업을 선발해 총 1조 원을 지원한다.

수출입은행이 추구하고 있는 '한국형 히든챔피언'은 중소·중견기업 가운데 지속적인 세계시장 지배력을 갖고 수출 규모 1억 불 이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업체다.

대상 기업은 기존 수출기업 뿐만 아니라 현재는 수출 실적이 없어도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수출 가능성과 성장 가능성이 잠재된 기업까지 포함된다.

상장 여부는 상관 없으며, 외부감사를 받는 업체는 규모에 관계 없이 신청할 수 있다.

선정된 기업은 금융 지원 뿐만 아니라 환위험 컨설팅과 국제법률 자문, 해외마케팅 등 비금융분야서비스까지 제공받게 된다.

수출입은행 대전충남본부는 우선 지역 업체 가운데 올 상반기에 10개, 하반기 5개 등 15개 기업을 히든챔피언 육성 대상으로 선정하고 규모를 확대할 방침이다.

수출입은행은 2019년까지 전국에서 한국형 히든챔피언 기업을 300개로 늘려 연간 수출 480억 불 성장과, 고용인원 49만 명을 창출할 계획이다.

우길상 수출입은행 대전충남본부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충청지역의 신 기술 기반 중소기업들이 수출기업으로 성장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며 “기술력과 열정을 갖춘 지역의 수출 중소기업들이 보다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수출입은행은 이달부터 상시 고용자수 증가율이 3% 이상인 기업에게 최대 0.7%포인트의 우대금리를 제공하고, 여신지원도 최대 30% 늘이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수출입금융 종합대책’을 함께 시행한다.

이재형 기자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정부가 충남으로 이전하는 수도권 기업에 대한 보조금을 대폭 축소해 충남도의 기업 유치에 비상이 걸린 가운데 도내 10개 산업단지가 연내 분양을 실시, 어떤 성적표를 받아들 것인지 귀추가 주목된다.

충남도는 올해 천안 제3산업단지를 비롯한 10개 산업단지(지정면적 1449만 5000㎡, 분양대상 831만 8000㎡)에 대해 분양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3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올 상반기 △공주 탄천산업단지(탄천면 61만 6000㎡) △아산 운용산업단지(둔포면 6만 4000㎡) △천안 풍세산업단지(풍세면 76만 4000㎡) △천안 제3산업단지(차암동 34만 4000㎡) △천안 제5산업단지(성남면 83만 2000㎡) △서산 제2산업단지(성연면 58만 8000㎡) 등이 분양에 착수한다.

또 하반기에는 △예산산업단지(삽교읍 101만 ㎡) △예산테크노밸리(예산읍 37만 ㎡) △논산 동산산업단지(연무읍 44만 9000㎡) △당진 송산2산업단지(송산면 328만 1000㎡) 등이 분양시장에 선보일 예정이다.

분양예정가는 3.3㎡당 최저 46만 원에서 최고 150만 원으로 책정됐으며 논산 동산산업단지가 46만 원으로 가장 낮고, 천안 제3산업단지가 150만 원으로 가장 높다.

천안 제5산업단지과 풍세산업단지는 각각 90만 원과 86만 원, 당진 송산2산업단지는 85만 원, 아산 운용산업단지는 83만 원, 예산테크노밸리는 60만 원, 예산산업단지는 55만 원, 공주 탄천산업단지 및 서산 제2산업단지는 53만 원에 분양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이전하는 기업에 지원하는 보조금의 지역별 한도를 설정, 각 지자체별 지원한도를 전체 보조금 예산의 15%를 넘지 않도록 했다.

이는 특정지역으로 과도하게 보조금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 지난해 전체 예산(870억 원)의 40%(350억 원)를 배분받은 충남으로선 막대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돼 올해 얼마만큼의 분양률을 기록할 것인지에 관심이 모아진다.

도 관계자는 “산업단지 조성에는 일정기간이 소요되므로 경기가 활성화 돼 산업용지 수요가 발생하는 시점에는 확충이 어렵다. 경기회복에 대비해 최소 2~3년 전부터는 조성사업을 진행해야 한다”며 “지방이전기업 보조금이 대폭 축소되는 등 여건이 크게 악화됐지만 적극적으로 기업 유치에 나설 것이다. 올해는 일반산업단지 6곳과 농공단지 2곳을 신규 지정하고, 조성 중인 10개 산업단지를 분양해 적기에 용지를 공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일 기자 orial@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충남 인구가 7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는 가운데 도농(都農) 간 뚜렷한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2일 충남도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도내 인구(주민등록 기준, 외국인 포함)는 207만 5249명으로 2008년에 비해 1.0%(2만 1458명) 늘어 2003년 이후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세대수는 82만 7846세대로 1.8%(1만 4975세대) 늘었다. 충남 인구 중 남성은 50.7%(105만 2267명), 여성은 49.3%(102만 2982명)로 전년과 큰 변동이 없었고, 내국인이 203만 7582명, 외국인이 3만 7667명으로 각각 0.9%(1만 9045명)와 6.8%(2413명)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만 0~19세가 23.3%, 경제활동인구인 20~64세 61.9%, 65세 이상 노령인구는 14.8%의 비중을 보였다.

도내 총인구의 1.8%를 점유하는 외국인의 국적은 중국이 46.5%(1만 7520명)로 압도적이고, 베트남(5140명), 인도네시아(2249명) 등이 뒤를 이었다.

16개 시·군별로는 천안시 인구가 55만 1423명으로 도 전체의 26.6%를 차지했고, 아산시 26만 4324명, 서산시 16만 1238명, 당진군 14만 1952명 순이었다.

청양군은 3만 3012명으로 도내에서 인구가 가장 적고 천안시의 17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시·군별 증감률은 6곳이 늘고, 10곳은 줄어 대조를 이뤘다.

서북부지역을 중심으로 산업단지 조성과 기업 유치, 도시화에 따른 청년인구 유입 등의 영향으로 아산시가 1년새 6.4%(1만 5995명)나 늘었고, 계룡시 3.3%(1362명), 당진군 1.8%(2531명), 서산시 1.5%(2358명), 연기군 1.2%(950명), 천안시 0.7%(3761명) 등이 증가율을 기록했다.

반면 저출산에 따른 자연 감소와 대도시로의 전출이 많은 부여군(-1.4%, 1105명), 청양군(-1.3%, 444명), 예산군(-1.0%, 932명), 서천군(-0.9%, 524명), 금산군(-0.8%, 471명), 공주시(-0.7%, 849명) 등의 인구가 줄었다.

도 관계자는 “천안과 아산, 당진 등의 인구 증가는 도내 기업체 1만 1656개의 절반이 넘는 5849개가 입지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며 “인구가 지속적으로 줄고 있는 지역에 대해서는 대규모 산업시설을 유치하거나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특단의 정책적 배려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최 일 기자 orial@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6일 청주를 방문하는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 장태평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이 이날 오전 청원군의회와 단독 간담회를 갖는다.

청주청원통합시 정부지원 방안 등에 대한 약속이행을 담보해 주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청원군의회는 3일 오전 의원 7명이 모여 지난 2일 충북도가 제안한 3개 부처 장관과의 간담회 참석 여부를 결정했다.

이 자리에서 군의회는 “청원군의 운명을 결정지을 통합 논의에 들러리가 될 수 없다”며 단독 간담회를 요구했고, 이를 행안부가 받아들여 오는 6일 오전 충북도청에서 간담회를 열기로 했다.

간담회 개최에는 합의했지만 행안부와 군의회는 ‘동상이몽’이다.

행안부는 이번 간담회를 통해 정부의 자율통합 지원방안을 설명한 후 군의원들이 통합에 전향적인 자세를 가져줄 것을 요청할 예정이다. 하지만 군의회는 주민투표로 통합을 결정하자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김충회 청원군의회 의장은 “행안부는 자신들이 발표한 자율통합 일정을 지키고 있지 않다”며 “군의회는 간담회에서 강압적인 통합 진행을 중단할 것과 조속히 주민투표를 실시할 것을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날 간담회는 3개 부처 장관들과 군의원들간의 입장차로 인해 팽팽한 설전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3개 부처 장관들은 이날 오전 충북도청에서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교육과학기술부, 문화체육관광부, 농림수산식품부,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 국무총리실 주관 시·군 자율통합 TF 소속 7개 부처의 지원이행보증방안에 대해 공동담화문을 발표한 후 군의회와 간담회를 가질 예정이다.

오후에는 청원군 지역의 사회복지시설 등을 방문해 군민들과 접촉하는 일정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청원=심형식 기자 letsgohs@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오송첨복단지는 인프라 구축 등 나름대로 바이오분야 특성화를 위해 준비된 곳으로 평가되고 있다.

6대 국책기관과 각종 연구지원시설의 오송생명과학단지 이전과 관련기업들의 입주, 인접한 오창과학산업단지의 관련연구시설과 대덕 R&D와의 연계가 용이하다.

국토 중심에 위치한데다 다양한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어느 지역보다 우수한 인프라를 갖췄다.

여기에 충북도가 오랫동안 다져온 바이오메카 육성이라는 이미지는 국내는 물론 해외까지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바이오분야로 특성화 될 오송첨복단지는 충북이 향후 백년을 먹고 살 미래성장산업 중 하나가 됐다.

하지만 세계적 바이오메카 육성의 중심이 될 오송첨복단지의 성공적 조성을 위해 풀어야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먼저 오송첨복단지의 성공 열쇠라 할 수 있는 전문 고급인력 확보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다행히 오송은 6대국책기관과 연구지원시설, 오창의 관련연구시설이 집중돼 있어 매우 희망적이다.

우리나라의 바이오 관련 전문연구인력들이 대거 몰려 있는 이들 기관들이 이전하면서 그만큼 인력확보 부담을 덜게 된 것이다.

다만 거주지가 수도권인 기존 연구인력들의 오송 이전에 따른 이탈 방지방안이 시급하다.

충북도는 이들 기관들의 이전과 함께 고급인력 확보를 위해 정주여건을 개선하고, 특수목적고 설립 등 우수한 교육환경 조성계획을 세워 추진 중이다.

또 외국의 고급인력 유입을 위한 외국학교 유치 등 정주여건 조성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와 함께, 장기적 측면에서 고급인력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BT전문대학원 등을 적극 유치하기로 했다.

특히 외국고급인력 확보를 위한 정주여건 조성 일환인 외국학교, 외국기업 유치를 위해서 충북도가 추진중인 충북경제자유구역이 반드시 지정돼야 한다.

외국인 투자유치를 위한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늦어지거나 안될 경우 외국학교 등 시설유치는 물론 외국고급인력 확보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

오송첨복단지 운영에 필요한 기금도 재정형편이 열악한 충북도 입장에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로 펀드형태의 조성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이밖에 오송첨복단지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국립노화연구원과 방사광가속기의 오송·오창 유치에도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국립노화연구원은 2007년 정부가 오송생명과학단지에 건립키로 확정했으나 부산 등에서 유치에 나서 사업이 아직까지 본격적으로 추진되지 않고 있다.

보건복지가족부는 당초 계획대로 추진을 밝혔으나 다른 지역이 적극적으로 유치에 나서 유동적이다.

방사광가속기 오창 유치는 정부가 세종시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도시로 결정하면서 중이온가속기가 들어서게 돼 벨트 내에 있는 오창 유치가 불투명한 상태다.

아울러 삼성바이오시밀러 등 대기업들의 신약개발 분야 유치와 함께 세종시 수정에 따른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과 대전 대덕 R&D와의 연계방안을 적극 강구해야 한다.

오송첨복단지에서 가장 큰 투자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민자유치가 얼마나 원활히 이루어지느냐도 성공적 조성의 관건이다. <끝>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