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통장에 정체불명의 돈이 입금됐다면…”, “영어로 온 문자메시지를 클릭했다면…”

최근 충남지역에서 유출된 개인정보를 이용해 대출을 받은 뒤 통장으로 입금된 대출금을 재송금받거나 문자메시지를 이용해 소액결제를 유도하는 신종사기 수법이 등장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경찰에서도 ‘보이스피싱 경보제’를 발령,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

1일 경찰에 따르면 A 씨는 최근 한 남성으로부터 “실수로 계좌이체를 잘못해 당신 통장으로 돈이 들어갔으니 다시 보내달라”는 전화를 받았다.

실제 A 씨의 통장에는 출처를 알 수 없는 2000만 원이 입금돼 있었고 전화를 한 남성의 말을 믿은 A 씨는 곧바로 은행을 찾아 이 돈을 다시 송금했다.

하지만 잠시 후 A 씨는 자신이 사기를 당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2000만 원에 달하는 돈을 누군가에게 송금하는 것을 이상하게 여긴 은행 직원이 자초지종을 물었고 돈 입금과정을 확인해본 결과 이 돈은 유출된 A 씨의 개인정보를 이용해 누군가가 대출받은 돈이었다.

사기임을 직감한 은행직원은 즉각 이 돈에 대해 지급정지를 신청했고 A 씨는 가까스로 사기를 모면할 수 있었다.

경찰은 지난달 31일 농협 충남지역본부 영업팀으로부터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하고 보이스피싱 경보제 사례에 포함시켰다.

최근 성행하는 신종사기는 이뿐만이 아니다.

영어로 된 문자메시지를 이용해 소액결제를 유도하는 사기도 등장하고 있다.

B 씨는 최근 친구로부터 문자메시지 한 통을 받았다.

‘스마트폰을 이용해 성경 구절을 읽는 것을 공유하고 싶다’는 내용의 영어 문자메시지(I'm reading a bible verse on my phone and want to share it with you’의 마지막 부분에 해당 앱을 다운받을 수 있는 링크 ‘http://go.mymobilebible.com/ku00’가 포함돼 있었다.

성경 구절을 쉽게 볼 수 있겠다고 생각한 B 씨는 링크를 클릭한 뒤 간단한 절차를 거쳐 무료 앱을 다운받았다.

다운을 받을 때 ‘지인들에게 광고해주길 원하느냐’는 안내문과 YES, NO로 동의를 구하는 메시지가 떴지만, 별 의심 없이 동의를 뜻하는 YES를 눌렀다.

하지만 그 순간 B 씨의 휴대전화 주소록에 있는 지인들에게 B 씨가 받은 문자와 똑같은 메시지가 자동으로 발송됐다.

가족과 친구들뿐 아니라 사업상 알게 된 지인 등 수백 명에게 보내진 문자 전송 비용은 고스란히 B 씨에게 청구됐고, “도대체 무슨 문자냐”, “이상한 문자를 보낸다”는 항의까지 받아야 했다.

경찰 조사결과 이 문자메시지는 받은 이가 유료 앱을 다운받음과 동시에 별도의 인증절차 없이 소액결제가 이뤄지도록 파일 안에 코드를 심어 이를 다운받은 사람들에게 통신요금이 부과되도록 하는 신종사기로 확인됐다.

경찰 관계자는 “보이스피싱 등 사기가 점차 교묘해지고 지능적으로 변하고 있다”며 “최근 성행하고 있는 이 두 가지 사례의 사기에 걸려들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형석 기자 kohs@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 1일 찾은 청원군 강내면 다락1리 경로당. 실내온도 32도의 경로당 안에서 노인 3명이 에어콘을 끈채 선풍기와 부채로 더위를 이기고 있다. 청원=심형식 기자  
 

지난해 시행된 경로당 에너지 고효율 제품 지원사업으로 절반 가까운 청원군 내 경로당에 에어컨이 설치됐지만 연일 계속되는 폭염속에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주지역의 최고온도가 36.4도를 기록해 폭염경보가 내려진 1일, 청원군 강내면 다락1리 경로당에는 할머니 3명이 선풍기 한 대와 부채만으로 찌는 듯한 더위와 싸우고 있었다. 이 경로당은 창문이 없어 통풍이 안돼 실내는 사우나를 방불케 했다.

경로당 한 쪽의 온도계는 32도를 가리키고 있었다. 강내면 공무원이 에어컨을 왜 틀지 않았냐고 묻자 한 할머니는 “전기요금이 무서워서 틀지 못했다”며 “선풍기가 두 대 있지만 전기요금 걱정에 한 대만 틀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하루 전인 지난 달 31일 찾은 청원군 남일면 고은4구 경로당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경로당 거실 한 켠에는 지난해 설치된 최신식 에어컨이 자리잡고 있었지만 이곳에 모인 노인들은 선풍기와 부채로 더위와의 힘겨운 싸움을 지속하고 있었다. 이곳 역시 에어컨을 사용하지 않은 이유는 전기요금에 대한 걱정 때문이었다.

또 기계에 익숙치 못한 노인들이 에어컨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곳도 있었다. 같은날 효촌1구 경로당. 경로당 문과 창문을 모두 잠근채 에어콘과 선풍기가 돌아가고 있었지만 실내온도는 33도. 에어컨에서는 찬바람대신 선풍기와 같은 바람만 나오고 있었다.

이 상태에서 모든 문을 잠갔으니 실내온도는 외부온도와 별 차이가 없었다. 에어컨을 틀어놓고도 노인들은 연신 부채질을 하며 힘겨워했다. 김 모(83·여) 씨는 “에어콘은 그냥 켜고 끄면 되는 줄 알지 이용법을 잘 알수 있냐”며 “오늘 처음으로 에어컨을 틀었는데 틀어도 더위가 가시지 않는다”고 말했다.

지난해 ‘경로당에너지고효율제품지원사업’을 통해 청원군 내 경로당 537개소에 약 5억 3000만 원의 예산을 투입, 에어콘, TV, 김치냉장고, 일반냉장고가 각 경로당의 요청에 의해 1개 씩 설치됐다. 이중 236개 경로당이 에어컨을 설치했다.

지난달 31일과 이달 1일 이틀에 걸쳐 방문한 경로당 8곳 중 절반은 에어컨을 틀고 더위를 식히고 있었지만 4곳은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많은 예산을 투입해 에어컨을 설치했지만 정작 폭염이 지속되고 있는 한 여름에 전기요금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제역할을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각 마을 경로당 간에도 지역에 따라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취재에 동승한 강내면 관계자는 “지역별로 큰 공장이 있는 마을이나 매립장 지원비가 나오는 마을 경로당은 운영비도 풍족해 여름에도 전기요금 걱정을 하지 않고 비교적 시원하게 지낸다”며 “상대적으로 순수한 농촌마을은 군에서 지원하는 운영비 외 수입이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청원=심형식 기자 letsgohs@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술에 취해 자신의 아버지를 흉기로 찔러 숨지게 한 40대 남성이 경찰에 붙잡혔다. 충북 음성경찰서는 자신의 아버지를 흉기로 찔러 살해한 유모(45) 씨를 존속살해 혐의로 붙잡아 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1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유 씨는 이날 오전 9시 10분경 음성군 삼성면 자신의 집에서 술에 취해 부엌에 있던 아버지(66)를 흉기로 한차례 찔러 살해한 혐의다.

범행 뒤 유 씨는 경찰에 전화를 걸어 자신이 아버지를 살해했다고 신고, 현장에서 현행범으로 체포됐다. 경찰은 조사를 마치는 대로 유 씨에 대한 구속영장을 신청할 방침이다.

음성=장천식 기자 jangcspro@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연일 이어지고 있는 열대야(熱帶野)와 국민을 잠 못들게하는 올림픽이 우리의 '일상'을 바꾸고 있다.

청주의 한 기업체 직원인 김 모(40)씨는 지난 달 27일 올림픽이 시작된 후 계속해서 밤잠을 설치고 있다. 늦은 저녁부터 시작되는 경기들이 대부분 새벽까지 이어지기 때문이다.

국민을 마음조리게 한 수영의 박태환에다, 올림픽 7연패를 기록한 여자양궁, 공기권총, 유도, 펜싱까지 연일 숨막히는 행진이 계속되는 탓이다.

김 씨는 올림픽 시청을 위해 설친 잠을 점심시간을 통해 보충하고는 있지만 피곤한 몸 상태는 계속되고 있다.

김 씨는 "올림픽이 전세계적인 이벤트이다보니 한순간도 놓치기 아쉬워 늦은 새벽까지 시청하고 있다"며 "나뿐만이 아니라 회사 직원 대부분이 올림픽을 시청하느라 피곤한 상태인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그나마 올림픽은 짜릿한 흥분과 쾌감으로 불면(不眠)을 상쇄하지만 10여일째 계속되고 있는 폭염과 열대야는 말 그대로 '이중고'(二重苦)다.

1일 청주기상대는 오전 11시를 기해 충북 청주·충주·청원·보은·괴산·진천·단양·증평에 내려진 폭염주의보를 폭염경보로 대체했다. 폭염주의보는 지난 24일부터 9일째 이어지고 있는 상황. 폭염경보가 내려진 충북도내 지역은 옥천·영동군에 이어 열 곳으로 늘었다.

청주의 경우 폭염과 함께 '열대야'도 4일째 이어지고 있다.

열대야는 밤 기온이 25도를 넘는 경우로 열대야 상황에서는 잠을 청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따라 열대야로 새벽에도 에어컨을 가동하는 가구들이 늘고 있다.

청주기상대 관계자는 "폭염경보가 내려진 지역의 최고기온이 35도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며 "가급적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평소보다 물을 많이 섭취하는 등 건강관리에 특별히 유의해 달라"고 당부했다.

홍순철 기자 david012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매년 논란이 돼왔던 지방자치단체의 포괄사업비(재량사업비) 편성이 폐지될 것으로 보인다. 행정안전부는 1일 예산의 구체적 목적과 범위를 정하지 않은 '포괄사업비'를 편성할 수 없도록 하는 내용을 담은 '2013년도 지자체 예산편성 운영기준'을 각 지자체에 배포했다.

이에 따라 지자체는 법령 근거 없이, 사전에 수요 조사나 사업계획 수립 절차를 거치지 않고 지자체장이나 지방의회 의원 '1인당 얼마' 식으로 예산을 포괄적으로 편성할 수 없다. 행안부는 아예 지자체가 구체적인 사업을 기준으로 예산을 짜도록 지방재정법을 개정할 방침이다.

구체적인 사업의 목적과 용도를 명확히 제시하는 사업예산제도가 이미 2008년부터 시행됐지만 충북도를 비롯한 지자체 10곳의 경우 이를 어기고 지방의원 1인당 얼마씩 예산을 할당하고 수시로 도로 건설 등 주민숙원사업에 사용했다가 지난해 감사원에 적발됐다.

또 지자체는 예산을 편성할 때 공무원 인건비 등 법적·필수 경비는 투자사업 등 다른 사업 예산보다 우선시해야 한다. 일부 지자체에서 지자체장 공약 사업 추진 등에 예산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필수 경비를 빼놓고 편성한 뒤 향후에 추경을 해서 메꾸는 행태를 벌이다가 역시 감사원의 지적을 받았기 때문이다.

심지어 특정기관과 협약에 따라 매년 내야하는 분담금도 예산에 넣지 않는 바람에 지연 이자를 부담하는 경우도 있었다. 성인지 예산이 본격 시행돼, 재원이 남성과 여성에게 평등하게 배분되도록 예산을 편성할 때부터 성별에 따른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성인지 예산서에는 성인지 예산 개요와 규모, 양성평등 기대 효과, 성별 수혜 분석 등이 포함된다. 국가는 이미 2010년부터 성인지 예산서를 만들고 있다.

하성진 기자 seongjin98@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