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충북 옥천군의 아침 최저기온이 영하 11.6도를 비롯해 전국적으로 추운 날씨를 보인 8일 청주동물원의 혹고니(천연기념물 제201호)가 햇살을 쬐며 일광욕을 즐기고 있다. 기상청은 오늘 낮부터 추워지며 당분간 강추위가 계속될 것이라 예보했다. 이성희 기자 lsh77@cctoday.co.kr | ||
'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25261건
- 2009.01.08 ‘백조의 호수’
- 2009.01.08 만취상태로 집에 불질러
- 2009.01.08 “발파땐 동네까지 뿌옇게 됐죠”
- 2009.01.08 충남도 新빈곤층 찾아 발로 뛴다
- 2009.01.08 별들의 회의에선 무슨 이야기가?
충북 영동경찰서는 8일 술에 만취된 상태에서 자신의 집에 불을 지른 남 모(40) 씨를 현주건조물방화 혐의로 긴급체포해 조사를 벌이고 있다.
남 씨는 지난 7일 오후 8시 57분경 영동군 상촌면 하도대리 자신의 집 부엌에 1회용 라이터로 불을 질러 주택 56㎡를 모두 태워 2600여만 원(소방서 추산)의 재산피해를 입힌 혐의다.
영동=배은식 기자 dkekal23@cctoday.co.kr
남 씨는 지난 7일 오후 8시 57분경 영동군 상촌면 하도대리 자신의 집 부엌에 1회용 라이터로 불을 질러 주택 56㎡를 모두 태워 2600여만 원(소방서 추산)의 재산피해를 입힌 혐의다.
영동=배은식 기자 dkekal23@cctoday.co.kr
![]() |
||
▲ 청양군 비봉면 강정리 주민들이 일제시대부터 지난 95년까지 석면을 채광한 광산 터를 가리키고 있다. 이진우 기자 |
문제의 석면광산은 청양군 비봉면 강정리 산 10번지 일대로 일제 강점기인 1935년경에 석면광산이 들어서 1995년까지 생산활동을 계속했으며 한때는 종업원이 200여 명에 이를 정도로 규모가 꽤 컸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 지역 주민들은 “최근 석면 폐광산 인근 주민들의 집단발병 사실이 발표되면서 문제의 심각성을 알게 됐다”며 “홍성, 보령 등 타 지역에서는 정부 차원의 대책이 마련되고 있는데 이곳은 실태조사는 물론 석면광산이 있었는지조차 관계기관이 모르고 있다”며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 광산에서 일 한 적이 있다는 안신홍(77) 씨는 “돌속에 1㎝ 정도의 줄무늬로 박혀 있는 석면을 망치로 깨며 선별했던 기억이 생생하며 발파를 할 때는 석면가루가 동네를 뿌옇게 뒤덮었었다”고 회고하고 “석면가루가 인체에 치명적이라는 사실을 최근에야 알았다”고 말했다.
같은 마을에 사는 노형식(67) 씨는 “동네 아이들이 이곳 광산에 와 솜처럼 부풀어 오르는 석면이 신기해서 주머니 속에 넣고 다니기도 하고 친구들 몸속에 넣고 장난을 치기도 했었다”며 당시의 아찔한 순간을 회고 했다.
노 씨는 “수년 전부터 폐질환으로 고생하고 있는데 석면과 관련은 없는지 불안하다”고 말하고 “같은 마을에 60~70세에 이르는 많은 사람들이 원인 모를 질병으로 일찍 세상을 떠났는데 석면과 무관치 않은 것 같다”며 철저한 원인 규명을 촉구했다.
지하수를 식수로 사용하고 있는 이 마을주민들의 불안은 더욱 크다. 광산이 있던 곳에는 수십m가 땅 속으로 깊이 파여 있으며 몇년 전 까지만 해도 이곳에 연못처럼 물이 고여 있었고 주변에는 폐광석들이 산재해 있어 지하수가 오염됐을거라는 주장이다.
이 마을 이태연 이장은 “석면 폐광산 인근 주민들의 집단발병 소식이 전해지면서 주민들이 잠을 이루지 못하고 불안에 떨고 있다”며 “신속한 실태파악과 원인규명이 뒤따라야 한다”고 주장하고 정부 차원의 대책을 촉구했다.
청양=이진우 기자 ljw@ cctoday.co.kr
충남도가 지속되는 경기침체 여파로 새롭게 사회 빈곤층으로 전락한 소외계층을 찾아 나서기로 했다.
사회안전망의 테두리에 있었던 기존 소외계층에 대해서도 복지서비스 전달체계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점검해 보완해 나갈 계획이다.
도는 8일 시·군 복지담당자, 보건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신(新)빈곤층(비수급 빈곤층) 생활안정대책회의를 갖고 이 같은 사업 방향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이 자리에서 ‘경제 상황이 악화되면서 국가 복지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인 새로운 빈곤층이 늘고 있고 이들의 생활고도 가중될 수 있다’는 상황에 대해 인식을 같이하고 이들에 대한 실질적인 현황파악에 나서기로 했다.
최저생계비 이하의 소득을 올리고 있으면서도 기초보상 급여를 받지 못하는 가구나 요금을 못 내 수도·전기·가스 등이 끊긴 가구, 교육·보육비 장기 미납 가구 등 비수급 빈곤층이 조사 대상이다.
도는 오는 2월까지 비수급 빈곤층에 대한 현황을 정확히 파악해 시급한 경우 응급조치를 취하고, 이후 주기적(월별)으로 현황 파악에 나서 기초생활보장 기준 완화 등 국가 차원의 지원대책이 마련되면 이들에게도 복지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복지서비스 전달체계에 대한 점검도 서류행정에서 발품행정으로 변화된다.
도와 시·군은 이날 아동, 노인, 장애인, 저소득지원, 보건의료, 한부모 가족 등 6개 분야 21개 복지서비스 사업을 대상으로 사업 추진실태를 현장에서 점검해 보완대책을 마련해 나가기로 했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복지서비스가 최종 수혜처까지 제대로 전달이 되고 있는지 여부를 오는 31일까지 꼼꼼히 살펴 여기서 문제점을 도출하고 오는 3월까지 두 달 간 문제 해결방안을 모색해 나간다는 복안이다.
이날 대책회의에 앞서 이완구 지사는 “신빈곤층 생활안정대책은 사실상 보호가 필요하지만 법적 제한 때문에 복지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법·제도의 사각지대를 찾는 데 그 취지가 있다”며 “내 일, 내 가족의 일이라고 생각하고 안정대책을 추진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기준 기자
poison93@cctoday.co.kr
사회안전망의 테두리에 있었던 기존 소외계층에 대해서도 복지서비스 전달체계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점검해 보완해 나갈 계획이다.
도는 8일 시·군 복지담당자, 보건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신(新)빈곤층(비수급 빈곤층) 생활안정대책회의를 갖고 이 같은 사업 방향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이 자리에서 ‘경제 상황이 악화되면서 국가 복지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인 새로운 빈곤층이 늘고 있고 이들의 생활고도 가중될 수 있다’는 상황에 대해 인식을 같이하고 이들에 대한 실질적인 현황파악에 나서기로 했다.
최저생계비 이하의 소득을 올리고 있으면서도 기초보상 급여를 받지 못하는 가구나 요금을 못 내 수도·전기·가스 등이 끊긴 가구, 교육·보육비 장기 미납 가구 등 비수급 빈곤층이 조사 대상이다.
도는 오는 2월까지 비수급 빈곤층에 대한 현황을 정확히 파악해 시급한 경우 응급조치를 취하고, 이후 주기적(월별)으로 현황 파악에 나서 기초생활보장 기준 완화 등 국가 차원의 지원대책이 마련되면 이들에게도 복지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복지서비스 전달체계에 대한 점검도 서류행정에서 발품행정으로 변화된다.
도와 시·군은 이날 아동, 노인, 장애인, 저소득지원, 보건의료, 한부모 가족 등 6개 분야 21개 복지서비스 사업을 대상으로 사업 추진실태를 현장에서 점검해 보완대책을 마련해 나가기로 했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복지서비스가 최종 수혜처까지 제대로 전달이 되고 있는지 여부를 오는 31일까지 꼼꼼히 살펴 여기서 문제점을 도출하고 오는 3월까지 두 달 간 문제 해결방안을 모색해 나간다는 복안이다.
이날 대책회의에 앞서 이완구 지사는 “신빈곤층 생활안정대책은 사실상 보호가 필요하지만 법적 제한 때문에 복지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법·제도의 사각지대를 찾는 데 그 취지가 있다”며 “내 일, 내 가족의 일이라고 생각하고 안정대책을 추진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기준 기자
poison93@cctoday.co.kr
![]() |
||
▲ 합참을 비롯한 육, 해, 공군 준장 이상 지휘관 300여 명이 참석한 합동토론회가 8일 계룡대 대회의실에서 열려 이상희 국방장관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정옥근 해군참모총장, 김태영 합참의장, 이상희 장관, 임충빈 육군참모총장, 이계훈 공군참모총장, 김근태 제1야전군사령관 등. 신현종 기자 shj0000@cctoday.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