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전대동계 ‘공동물품’  
 
조선시대 마을의 화목과 발전을 이끌어 나가기 위한 공동체 조직, 동계(洞契)가 충남에서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충남역사문화연구원은 14일 공주시 우성면 내산리 마을주민이 기탁한 부전 대동계(浮田 大洞契) 관련 문서와 유물 75건을 공개했다.

이들이 기탁한 부전 대동계 기탁 유물은 좌목(계원 명부)과 선안(작고한 계원 명부), 입의(부전 대동계 규약), 소지(청원서), 동물유지책(마을 공동소유 물품목록) 등 문서자료 47건과 인장(동계의 직인)을 비롯해 선안을 보관했던 궤, 혼사에 쓰인 기러기, 사모관대 등 공동용품 28건이다.

특히 혼구물품 가운데는 1950년대에 만들어진 웨딩드레스도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문서자료 가운데 1663년에 작성된 부전 대동계 좌목에는 ‘이전에 있었던 것을 새롭게 고쳤다(중수)’라고 기록돼 있어 이 마을 대동계는 400년이 넘는 역사를 이어온 것으로 충남역사문화연구원은 판단하고 있다. 타 지역 동계는 오래됐다는 이야기만 전해질 뿐 실증할 수 있는 문서가 전해지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부전 대동계의 문서와 유물은 큰 의미를 가지고 있어 문화재 지정이 어렵지 않다는 게 역사문화연구원의 설명이다.

같은 시기인 17세기 태인고현동향약(전북 정읍)은 보물 제1181호로 지정돼 있고 1638년 원동향약(전북 남원), 1604년 작성된 양고동계문서(광주 남구) 등 7개 동계 자료가 각각 문화재자료나 시도유형문화재, 시도민속자료 등으로 지정·관리되고 있다.

형식과 기능은 다소 차이가 생겼지만 내산리 ‘뜸밭’ 주민들은 아직까지 부전 대동계의 마을 공동체정신을 이어가고 있다.

변평섭 충남역사문화연구원장은 “이번 문서의 기탁은 자료의 훼손을 막고 영구적인 보존과 관리를 통해 조선시대 사회체계를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향토사 연구에도 널리 활용할 수 있게 됐다”며 “달빛에 바래면 야사(野史)가 되고, 햇빛에 바래면 역사(歷史)가 된다고 한다. 충남역사문화연구원은 올해를 우리의 '역사유물 찾기의 해'로 정하고 적극적인 캠패인을 전개하려 한다”고 충청인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했다.

이기준 기자 poison93@cctoday.co.kr

공주=이성열 기자 lsyyy@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교육과학기술부가 지난 13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종합계획안을 확정하면서 과학벨트 내에 건설하게 될 중이온 가속기(Heavy Ion Accelerator)의 실체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중이온 가속기 설치로 인한 사회·경제적 파장은 무엇이고 그 효과는 어느 정도인지 가늠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이명박 대통령의 충청권 대선 공약으로 추진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가 무엇인지도 낯설지만, 이름조차 생소한 가속기가 충청권에 설치될 경우 어떤 효과를 가져올지 궁금해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흔히 가속기는 ‘물질의 내부를 들여다보는 내시경’으로 불리며 극소물질 세계를 관찰하고 조작하는 ‘초미세 현미경’으로로도 통칭된다. 가속기 1기를 건설하는 데 4600억 원의 예산이 소요된다.

특히 가속기는 원자를 이온화 해 전기에너지로 가속하는 장치로, 수소에서 우라늄까지 모든 원자를 가속할 수 있다.

이런 원자들을 빛에 가까운 속도로 가속해 서로 충돌시키면 그 물질이 파괴되거나 에너지 변환에 의해 새로운 '미지의 물질'이 생성된다. 이때 생성된 미지의 신물질을 들여다 보고 물질의 내부구조를 이해하면 물질을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 밝혀낼 수 있다.

가속기는 1000조 분의 1m의 펨토 사이즈(1나노의 100만 분의 1 크기)를 들여다 볼 수 있다.

예컨대 쌀 한 톨을 10억 등분 하면 1나노(1나노=10억분의 1)가 된다. 이를 다시 100만 등분한 물질을 볼 수 있고 충돌시키는 장치가 가속기이다.

중이온 가속기는 기존의 양성자 가속기나 전자 가속기보다 훨씬 폭넓게 사용된다.

양성자나 전자 가속기가 주로 물질구조 분석, 단백질 분석 등에 쓰인다면 중이온 가속기는 원소의 기원 탐구, 새로운 원소의 탐색, 물성, 재료, 의료(진단, 치료), 생명, 농학, 환경, 안보, 국방, 항공, 우주 등 무궁무진하다.

실제 1939년부터 2002년 동안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109명 중 23명이 가속기와 빔을 이용해 수상의 영예를 거머 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일본의 경우 2004년 중이온 가속기로 새로운 핵종을 발견해 원자번호 113번(Japonium)의 원소를 만들어 내기도 했다. 일본은 중이온 가속기로 지금까지 2000명 정도가 인체에 칼을 대지 않고 무통무혈로 암세포를 죽이는 치료를 받았다.

독일도 지난 10여 년 동안 수백 명이 가속리를 이용해 암치료를 받았다.

중이온 가속기가 건설되면 성별, 연령, 부위에 따른 제한이 없고 수술 또는 약물 금기인 환자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우리나라에 이 가속기가 건설되면 오는 2015년께 5000~6000명이 치료를 받을 수 있고, 이에 따른 시장 규모도 연간 3000억 원 이상 될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중이온 빔을 미생물에 조사해 DNA 변형 유도에 의한 돌연변이 균주를 개발하면 연간 100조 원가량의 일회용 플라스틱 세계시장을 상당 부문 점유할 수 있고, 국내에서 연간 수천억 원 이상의 채소나 화훼시장이 창출될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 공항이나 항만 검색장비 등 비파괴 진단장비 개발로 역시 수천억 원 정도의 신흥시장이 만들어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진단하고 있다. 임호범 기자 comst99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은행권에서 작성하고 있는 건설사 ‘구조조정’ 명단이 가시화되고 있는 가운데 대전, 충남지역 건설사 중 워크아웃과 퇴출 대상 업체는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4일 은행권에 따르면 일부 은행을 제외한 대부분의 채권은행들은 건설사에 대한 신용등급 평가를 마쳤다.

은행권은 심사를 통해 점수를 매겨 자금을 지원, 살릴 건설사와 퇴출시킬 건설사를 분류하고 있다.

80점 이상은 정상 단계인 A등급, 70점 이상은 일시적 유동성 부족 단계인 B등급, 60점 이상은 부실징후가 있는 C등급, 60점 미만은 부실 단계인 D등급으로 분류된다.

이 가운데 C등급은 워크아웃을 통해 회생 절차를, D등급은 신규자금 지원이 중단돼 사실상 퇴출절차를 각각 밟는다.

각 은행들이 등급 분류를 마친 결과, 대부분 업체들이 B등급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의 평가대상 건설사인 경남기업과 계룡건설, 범양건영, 동일토건, 우남건설, 금성백조주택 등은 워크아웃과 퇴출 대상인 C·D등급을 받지 않은 것으로 지역 업계는 관측하고 있다.

정부는 빠르면 16일까지, 늦어도 23일까지 구조조정 대상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박길수 기자 bluesky@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충남도가 올해 서해안 충남연안에서 펼칠 해양수산 분야 사업을 확정했다.

도는 바다생태·어장복원, 어촌관광·생산소득기반 확충, 웰빙 지역명품 수산물 육성, 수산자원보호, 수산물 유통시설 확충 등 5대 현안 과제를 올해 해양수산 분야 추진 사업의 큰 줄기로 세우고 52개 세부사업에 531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19면

도는 우선 수산종묘방류·바지락종패 살포·바지락명품단지 조성에 39억 8200만 원을 투입하는 한편 바다목장사업(태안 42억 원·보령 10억 원)과 굴양식장시설 현대화사업(10억 원), 바다숲 조성사업(3억 1300만 원), 인공어초시설(75억 원) 사업 등 수산자원 회복·어장복원사업에 모두 179억 95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다.

지난해 유류피해지역 어장에서 굴과 바지락 이식시험을 실시한 결과 현재까지 양호하게 성장하고 있는 만큼 조만간 수산업 전문연구기관과 함께 어장복원계획을 수립해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또 27개 지방어항 관리·조성과 어촌체험마을 조성(태안 근흥면 용신리), 소형어선 인양기 설치사업에 231억 원이 투입되고 자율관리어업 육성지원사업과 근해어업 구조조정사업에 61억 원, 산지가공시설·위판장 등 유통시설 확충 사업(서천 2개소·홍성 2개소·태안 3개소·보령 1개소)에 52억 원이 투입된다.

특히 올해엔 바다환경 보전을 위한 생분해성어구지원 시범사업을 위해 7억 원의 예산이 집행될 예정이다.

이기준 기자 poison93@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 어린이들을 위한 겨울방학 공예체험행사가 14일 청주시 한국공예관에서 열려 참가한 어린이들이 선생님을 따라 솟대를 만들며 즐거워하고 있다. 체험행사는 2월 13일까지 계속된다. 이성희 기자 lsh7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