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기에 중소벤처기업들은 자금난보다 생산위축을 더 심각하게 느끼고 있다.

기업들이 수요 감소로 제품 생산량을 대폭 줄일 수 밖에 없는 상황이 펼쳐져 자금난과 함께 판매부진에 따른 재고난까지 뒷따르는 등 전반적인 기업경영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30일 충청지역 중소벤처기업들에 따르면 경제위기 이후 대부분 기업들의 매출액이 큰 폭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이는 수요 감소로 인한 생산위축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대전에서 기계부품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A업체는 지난달 20여 일가량을 휴업한데 이어 이번달에는 감산을 통보했다.

이 같은 통보는 내수부진에 따른 기계부품이 팔리지 않자 내놓은 고육지책으로 중소벤처기업들은 계속되는 판로 악화 현상에 곡소리를 내고 있다.

A업체 관계자는 “아쉬운데로 돈을 끌어다 썼지만 내수부진에 따른 직격탄이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며 “대부분들의 기업들이 올해만 참아보자는 생각으로 버티고 있지만 내수부진은 또 다른 재앙”이라고 답답함을 호소했다.

이 같은 기업들의 피눈물 섞인 목소리는 전국적인 현상이다.

최근 산업연구원이 충청지역을 포함한 전국 중소벤처기업 200곳의 경영실태를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66.5%가 수요감소를 가장 큰 현안으로 꼽았다.

이중에는 내수감소가 52%, 수출감소가 14.5%에 달했으며, 조사기업 중 84%는 전년대비 매출액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기업들의 자금사정이 심각함을 대변해 주고 있다.

특히 기계산업 관련 중소벤처기업들은 계속되는 내수부진과 수출 판로 악화 등으로 최악의 상황을 맞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존 수주물량이 취소되는가 하면 납품을 보류한다는 통보까지 다양한 변수가 등장해 기업인들의 경영난을 가중시키고 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자동차는 많은 자산설계사들이 재테크의 가장 큰 적으로 꼽는 것 가운데 하나다.

차량 구입에 드는 목돈은 물론 유류비와 세금, 보험, 각종 소모품 값 등 자동차는 운행을 하는 한 끊임없이 돈을 잡아 먹는다.

그러나 자동차는 현대생활을 영위하는 데 있어 필수불가결 생필품.

거꾸로 뒤집어 보면 차량에 들어가는 돈을 줄이는 것으로 적지 않은 재테크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일상에서 관심만 조금 기울이면 돈이 되는 자동차 재테크를 알아보자.

◆차를 움직이지 않을 땐 보험도 쉰다

직장인 A(34) 씨는 업무상 장기 출장이 잦은 편이다. 내달에도 경남 거제로 2개월 이상 출장이 예정돼 있어 준비 중이다.

출장기간 동안 A 씨의 자가용은 운행을 멈추게 되지만 가입된 보험은 여전히 ‘작동’ 중이다. 이 경우 필수가입 요건인 책임보험을 제외한 나머지 보험을 일시 해지하면 허무하게 사라지는 보험료를 아낄 수 있다.

월 120만 원의 보험료를 내는 A 씨의 경우 두 달 동안 이렇게 절약할 수 있는 돈은 15만 원에 달한다.

절차도 간단하다. 운행 전 보험사에 전화를 하는 것만으로 해지기간을 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같은 경우가 너무 잦으면 보험사에서 재가입을 거부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반대로 평소 보험료를 아끼기 위해 1인 운전특약으로 가입했다가 여행이나 모임 등으로 다른 사람이 운전을 해야할 경우 일시적으로 보험대상자를 늘릴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즐거운 여행에서 무보험 운전으로 마음을 졸이지 않아도 된다.

◆선납으로 자동차세 10% 절약

차량 소유자라면 누구나 납부해야 하는 자동차세도 납부방법에 따라 아낄 수 있다.

어려운 시기에 자동차세 일시 납부제를 이용하는 것만으로 최고 10%의 절세효과를 거둘 수 있다.

2000㏄ 승용차의 자동차세가 연 50만 원이 넘는다는 점을 감안하면 납부시기 조절로 5만 원 이상 공짜 돈이 생긴다.

자동차세 일시 납부는 1·3·6·9월에 가능하며 1·3월은 1년치를, 6·9월은 하반기분을 미리 납부할 수 있다. 납입시기별 자동차세 감면 효과는 1월 납부의 경우 1년치의 10%, 3월은 1년치의 7.5%, 6월에는 하반기분의 10%, 9월에는 하반기분의 5%가 할인된다. 납부방법은 전용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차세 연납을 선택한 후 차량번호와 차량소유자 주민번호를 입력 후 구청에 연납고지서를 신청·발급받아 전자납세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넘치는 할인제도 빼먹지 말자

요즘은 신용카드에 주유 할인이나 소모품 교체 할인 등 다양한 혜택이 부여돼 이를 꼼꼼히 챙기면 적지 않은 혜택을 볼 수 있다.

주유 할인의 경우 카드사나 은행이 특정 정유사와 제휴를 통해 ℓ당 50원씩 할인해주는 것은 기본이고, 최근에는 주유소에 상관없이 할인혜택을 주기도 한다.

현대카드사의 '현대카드O'는 전국 모든 주유소에서 ℓ당 60원과 함께 LPG충전소에서도 ℓ당 30원이 할인된다.

할인조건은 신규 회원의 경우 발급한 달을 포함한 3개월 간이고, 이후에는 전월 결제금액 20만 원 이상인 경우다.

주유 할인뿐 아니라 경정비 할인혜택을 주는 상품도 활용하면 돈이 된다.

일반적으로 2만 5000원 내외인 엔진오일 교환의 경우 신용카드 할인혜택을 받으면 1만 원에 교환이 가능하다.

이밖에도 유류세 환급기능을 갖춘 유류구매 전용카드나 자동차상해보험 무료 가입, 렌터카 할인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상품을 활용해 알뜰 자동차 재테크를 할 수 있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 한국교원대 황새복원센터에 산란과 부화과정을 거쳐 10여마리가 넘는 어린 황새가 자연부화한 가운데 30일 어미 황새가 새끼를 돌보고 있다. 황새복원센터 제공  
 

한국교원대 황새복원센터에서 산란과 부화과정을 거쳐 올들어 10여 마리가 넘는 어린 황새가 자연부화를 통해 탄생했다.

한국교원대 황새복원센터는 30일 센터 내 사육장에서 산란해 부화과정을 거쳐 현재 성장하고 있는 어린 황새는 총 12마리라고 밝혔다.

또 여러 개의 알이 부화과정에서 있어 앞으로 어린 황새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어린 황새를 산란하고 부화한 어미황새 번식쌍은 4쌍으로 이들 번식쌍 중에는 지난 2007년 청원군 미원면 화원리에서 실험방사된 번식쌍도 포함돼 있다.

청원에서 실험방사된 부활이, 새왕이 번식쌍은 이번에 3개의 알을 산란해 모두 부화에 성공했다.

현재 부활이, 새왕이를 포함한 4쌍의 번식쌍은 각 태어난 어린 황새들을 보살피고 있으며 건강상태가 매우 양호한 것으로 황새복원센터 측은 전했다.

황새복원센터 관계자는 “30일 현재 12마리의 새끼황새가 태어나 어미황새들이 키우고 있다”며 “부화과정에 있는 1개의 알에 구멍이 난 상태로 조만간 새끼황새가 추가로 태어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황새복원센터에서 인공사육 중인 어미황새들에 의한 자연부화는 지난해 4월 황새 청출이가 새끼 4마리를 처음으로 성공시킨 바 있다.

이에 앞서 한국교원대 황새복원센터에서는 지난 2002년 2마리를 부화시킨 것을 시작으로 해마다 인공부화를 통해 개체수를 늘려왔고 현재 총 57마리의 성체 황새를 사육 중에 있다.

한편 황새복원센터는 올해에도 미원면 화원리에서 3년째 황새번식쌍 실험방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실직자들에게 재취업을 유도하기 위해 마련된 실업급여제가 오히려 실직자들의 근로의욕을 상실케 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직 후 실업급여 수급대상자들이 생활고를 겪으면서 노동현장으로 뛰어들고 있지만 이들의 노동에 대한 대가는 실업급여 지급 중단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문제는 정식으로 재취업하지 못하고 생계유지를 위해 건설현장 일용직 노무자 또는 대리운전 등에 뛰어든 실업자들이다.

실업급여만으로 생계를 유지하기 힘들어 조금이나마 가계에 보탬이 되고자 노동현장에 뛰어들었지만 일을 하고 있다는 이유로 실업급여가 중단되고 있는 것이다.

30일 대전지방노동청에 따르면 지역 내 실업급여수급자는 지난달 기준 3만 7704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수급자가 42.1% 늘었다. 또 한 달간 접수된 실업급여 신규 신청건수도 1만 824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7.9% 늘었다.

정부는 이들에게 일일 최대 4만 원의 실업급여를 지급하고 직업훈련교육에 참여할 경우 식대 6만 원, 교통비 5만 원 등 최대 31만 원을 지원한다.

그러나 노동으로 인한 소득이 발생할 경우 이들이 일한 날을 비실직 상태로 간주, 해당 일자에 대한 실업급여는 지급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노동을 포기하고 실업급여라도 받으려는 실직자들이 속출하고 있다.

지역 내 한 IT업체에서 계약직으로 근무하던 중 지난 1월 계약기간이 만료돼 일자리를 잃은 김희윤(32·가명) 씨는 하루 3만 6000원의 실업급여를 받는다. 김 씨의 실업급여는 한 달을 30일로 계산할 경우 108만 원이지만 실직 전 기본급 180만 원에 초과근무수당 등을 포함해 230여만 원을 받던 것에 비하면 절반 수준이다.

김 씨는 가족의 생계유지를 위해 잠시 대리운전을 했지만 최근 그만뒀다. 대리운전으로 인한 소득 때문에 실업급여가 중단됐기 때문이다.

김 씨는 “대리운전을 해도 하루 4만 원을 벌기 힘들다”며 “이 때문에 실업급여가 중단된다면 일하지 않고 실업급여라도 제대로 받는 것이 낫다고 생각해 일을 그만뒀다”고 토로했다.

실업급여수급자 안 모(37) 씨도 “실직 이후 닥치는 대로 일자리를 구하다가 일을 하면 실업급여가 나오지 않는다는 말을 듣고 마음을 바꿨다”며 “수급기간 중에는 실업급여를 제대로 받은 뒤 지급이 중단되면 일용직 노동이라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전종합고용지원센터 관계자는 “실업급여는 실직자들의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지급하는 것”이라며 “원칙적으로 노동으로 인해 소득이 발생할 경우 실직상태로 볼 수 없어 실업급여를 지급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천수봉 기자 dan@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앙상블 중 하나로 손꼽히는 오라이온 콰르텟이 오는 2일 대전을 찾는다. 대전문화예술의전당 초청공연을 위해 한국에 방문한 것이다.

다니엘 필립스(Daniel Phillips·바이올린), 토드 필립스(Todd Phillips·바이올린), 스티븐 테넨봄(Steven Tenebom·비올라), 티모시 에디(Timothy Eddy·첼로) 네 명의 연주자가 오라이온 콰르텟의 구성원으로 대전문화예술의전당 앙상블홀을 음악의 감동 및 즐거움으로 가득 채울 준비를 하고 있다.

그들은 전문가들 및 비평가로부터 찬사를 한 몸에 받고 있는 세계 정상급 연주자들이다.

1년 50회가 넘는 정기연주회 및 요요마 등 유명 작곡가와의 협업작업, 그리고 음반작업 등을 통해 자신들의 음악을 세계에 알려오고 있다.

현재 링컨센터의 실내악 협회와 뉴욕 마네스 음악대학에 소속되어 있는 상주 실내악 단체로 2007-2008 시즌 인디애나대학 제이콥스 음악학교 내 상주단체로 초청될 만큼 그 실력을 자랑하고 있다.

2일 오후 7시 30분 대전문화예술의전당 앙상블홀에서 이들의 선보일 레퍼토리는 베토벤의 현악 4중주와 볼프의 '이탈리안 세레나데 G Major(Italian Serenade in G Major)' 등.

100분 동안 펼쳐질 이들의 공연에 클래식 애호가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문의 042-610-2222.

김항룡 기자 prime@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