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주민들의 진학 기피로 개교 10년 만에 폐교 위기에 놓인 대전 보덕초 문제가 대전시교육위원회에서 쟁점화될 전망이다. <본보 7월 15·16일자 6면 보도>

대전시교육위원회는 21일 오전 10시 본회의장에서 제227회 임시회를 열고 대전시교육청이 상정한 조례안 3건에 대한 심의에 나선다.

이날 임시회에서는 ‘멀쩡한 도심학교 폐교’ 논란을 빚고 있는 대전 보덕초 폐교를 골자로 한 ‘대전시립학교 설치조례 일부개정 조례안’이 상정될 예정이어서 교육위원들의 판단이 주목된다.

대덕테크노밸리 인근에 위치한 보덕초는 지난 1998년 37학급 규모로 개교해 한때 1500여 명을 수용하는 대도심형 학교였다.

그러나 인근에 대규모 아파트들이 들어서며 소득수준이 낮은 단독주택 밀집지역 내 위치한 보덕초에 대한 기피현상이 벌어지기 시작했고, 결국 올해 190명 정도까지 재학생 수가 급감해 교육당국이 내년 2월 폐교를 예고해 놓고 있다.

교육계 안팎에선 보덕초 폐교 논란에 대해 주민들의 그릇된 편견과 교육당국의 근시안적 학교증설정책이 빚은 결과물이란 지적도 나오고 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내년엔 6학급 수준으로 줄어 학생 교육여건을 감안할 때 폐교가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일부 학교 존치에 대한 의견도 있지만 자칫 재학생들이 느낄 수 있는 위화감 등을 고려할 때 결코 쉽지 않은 문제”라고 말했다.

시교육위는 이날 조례안 심의를 시작으로 학교방문 등 대전 교육현안을 점검한 후 오는 24일 폐회할 예정이다.

서이석 기자

ab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충북도내 11개 대학(4년제)이 다음달부터 시작되는 2010학년도 수시모집을 통해 1만 1311명을 선발한다. 국내 194개 대학이 총 22만 7000여 명을 뽑는다. 이는 올해 전체 모집인원(38만 4659명)의 59%에 해당하는 것으로, 정시모집 인원보다 훨씬 많은 수치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20일 전국 4년제 대학의 ‘2010학년도 수시모집 요강’의 주요 내용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충북대학교는 1336명을 수시모집으로 선발하고 청주대는 2248명, 서원대 1218명, 교원대 312명, 청주교대가 120명을 수시를 통해 신입생을 뽑는다.

내년부터 산업대에서 일반대로 전환되는 충주대가 1485명을 수시로 모집하고, 건국대(충주캠퍼스) 1389명, 세명대 1480명, 영동대 954명, 극동대 696명, 꽃동네현도사회복지대가 73명을 수시모집으로 선발한다.

충북대와 교원대는 이번 수시모집에서 특별전형만을 실시한다.

전국적으로 올해 수시모집 인원은 194개 대학, 총 22만 7092명으로 지난해에 비해 4개교, 2만 869명이 늘었다.

전형별로는 일반전형 모집이 160개 대학 11만 4556명(50.4%), 특별전형이 185개 대학 11만 2536명(49.6%)이다.

정원 외 특별전형으로는 농어촌학생전형으로 137개 대학이 9231명, 전문계고교출신자 전형이 128개 대학 1만 115명, 특수교육대상자 전형 47개 대학 882명, 기회균형선발 전형으로 96개 대학이 2934명을 뽑는다. 특히 입학사정관제를 활용하는 대학이 지난해 40개 대학에서 올해 87개 대학으로 늘고, 선발인원도 지난해 4555명에서 올해 2만 2787명으로 5배 가까이로 불어났다.

주요 전형 요소는 학교생활기록부와 논술, 면접 등이며 학생부는 고교 3학년 1학기까지의 성적이 반영된다.

원서접수 및 전형기간은 대학별로 다음달 9일부터 12월 8일까지이고 합격자 발표는 12월 13일까지, 등록기간은 12월 14~16일이다.

최인석 기자 cisk@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전지검 천안지청 형사2부(부장검사 이원규)는 19일 체육특기생으로 대학 입학을 추천해주겠다며 학부모들로부터 로비자금을 받아챙긴 천안 모 고교 축구부 A(41) 감독을 배임수재혐의로 구속했다.

검찰에 따르면 A감독은 지난해 2월부터 11월까지 대학 진학 시 체육특기생으로 추천하려면 로비자금이 필요하다는 명목으로 7명의 학부모로부터 1억여 원을 받은 혐의다.

천안=최진섭 기자 heartsun11@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운전면허를 받기 위해 바쁜 일과 중 잠시 짬을 내 시험장에 오다보니 어쩔 수 없이 운전하게 됐습니다.”

음주로 운전면허가 취소된 이 모(34) 씨는 최근 광복절 특별사면 혜택으로 운전면허시험 학과시험에 응시했다.

이 씨는 무면허 운전자임에도 불구하고 빠른 시간 내 면허를 취득하기 위해 본인 승용차를 이용해 면허시험장에 들어섰다.

이 씨는 “일반 대중교통을 이용해 면허시험장을 찾아야 하지만 일과 업무 중 시간을 내 면허시험에 응시하다 보니 직접 운전하게 됐다”고 털어놨다.

광복절 특별사면을 받은 운전면허 취소자들이 직접 승용차를 운전하면서 운전면허시험장을 찾고 있다.

특히 이들 무면허 운전자들은 운전면허시험장 인근에 배치된 경찰 시선을 의식하지 않겠다는 듯 버젓이 운전대를 잡고 시험장에 나타나고 있다.

대전면허시험장의 경우, 통상 1일 250명(학과 시험) 정도가 운전면허 시험에 응시하지만 광복절 특별사면 이후인 지난 17일에는 2배 정도 늘어난 450명이 운전면허시험장을 찾았다. 운전면허시험장에서는 이들 중 상당수가 운전면허가 취소됐음에도 불구하고 본인 스스로 운전을 통해 시험응시 접수를 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경찰은 무면허 운전자를 단속하기 위해 인력을 지원받아 이들에 대한 단속에 나서고 있지만 시험장 인근의 모든 차량에 대해 일일이 확인할 수 없어 무면허 운전자를 색출하기에 무리가 따르고 있다.

운전면허시험장 관계자는 “운전면허 재취득자 상당수가 본인 스스로 운행해 시험에 응시하고 있다”며 “이들은 불법행위인 줄 알면서도 도심 외곽에 있는 면허시험장을 쉽게 찾는 방법으로 이 같은 행위를 일삼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난해 운전면허시험장을 찾은 무면허 운전자를 대상으로 고의로 교통사고를 일으켜 사기행각을 벌인 일당들이 경찰에 붙잡혀 대대적인 홍보를 했지만 좀처럼 무면허 운전자의 운행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또 다른 관계자는 “운전면허 재취득의 경우 대부분 승용차를 몰고 면허시험장에 오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광복절 특별사면으로 운전면허 재취득을 위한 시험 응시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관할 경찰서의 인력 지원 요청으로 단속하고 있지만 무면허 운전 근절에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최장준 기자 thispro@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지난달 신고된 대전지역 아파트 거래건수가 올 들어 최고치를 기록한 반면 충남·북 지역은 전달에 비해 소폭 감소했다.

국토해양부가 공개한 7월 신고분 아파트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전국의 아파트 거래 건수는 총 4만 5470건으로 전달의 4만 7638건에 비해 4.5% 줄었다.

지난달 신고건수는 5월 계약분 7000여건과 6월 계약분 2만 1000여건, 7월 계약분 1만 7000여 건이 포함된 것이다.

지난달 충청권 3개 시·도의 아파트 거래 건수는 대전의 경우 2073건으로 올 들어 최고치로 증가했으며, 6월 2011건에 비해서도 3%(62건) 늘었다.

대전지역 아파트 거래량은 신고일 기준으로 지난 1월 735건에 그쳤으나 2월 1300건, 3월 1639건, 4월 1700건, 5월 1833건, 6월 2011건, 7월 2073건으로 매달 늘고 있다.

충남은 6월 2023건에서 7월 2002건으로, 충북은 6월 1810건에서 7월 1537건으로 각각 줄었다.

아파트 실거래가는 지역별 단지별로 등락을 보임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보였다.

대전시 서구 둔산동 목련아파트 전용면적 118㎡형(12층)은 지난 6월 4억 5000만 원에서 7월 신고분은 4억 7700만 원(11층)으로 2200만 원 올랐다.

유성구 노은동 열매마을 9단지 전용 85㎡형(16층)은 지난 6월 2억 7500만 원에서 7월 신고분은 2억 8500만 원으로 1000만 원 올랐다.

서구 둔산동 국화 라이프 전용 115㎡형(10층)은 지난 6월 2억 6800만~2억 7000만 원에서 7월에는 2억 7100만 원(11층)으로 소폭 올랐다

또 서구 둔산동 녹원아파트 전용 60㎡형(9층)은 6월 1억 4700만 원에서 7월에 1억 5000만 원(11층)으로 올랐다.

이 아파트 전용 85㎡형(9층) 역시 6월 2억 2300만 원에서 7월에 2억 3000만 원(10층)으로 상승했다.

그러나 둔산동 크로바 전용 135㎡(6층)는 지난 6월 6억 1000만 원에서 7월에는 6억 1000만 원(8층)으로 변동이 없었다. 서구 둔산동 국화동성아파트 전용면적 78㎡형(7층)은 지난 6월 1억 4000만 원에서 7월 신고분은 1억 3500만 원으로 500만 원 내렸다.

7월 실거래가 자료는 실거래가 공개 홈페이지(http://rt.mltm.go.kr)나 국토부 홈페이지(http://www.mltm.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길수 기자 bluesky@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