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최초 우주발사체인 ‘나로호(KSLV-1)’가 재발사를 이틀 앞둔 23일 오후 고흥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서 기립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우리나라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I)가 25일 재발사를 위해 D-1일인 24일 최종 리허설을 진행할 예정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나로호는 재발사 이틀 전인 23일 오전 8시 12분 전남 고흥군 봉래면 나로우주센터 종합조립동을 출발해 발사대로의 이송을 시작, 발사 D-2 단계에 재돌입했으며 발사 하루 전인 24일 최종 리허설이 다시 실시된다고 23일 밝혔다.

발사체 이송 개시는 발사체와 연료공급선의 문제 또는 기상이변이 없으면 발사 15분 전 자동 카운트다운까지 순차적으로 발사단계가 진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과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발사대로의 이송을 완료한 후 각종 기계·전기적 케이블을 연결한 뒤 이날 오후 3시 30분경 기립을 마무리했다.

교과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현재 지난 19일 발사 중지 원인이었던 자동시퀀스 내 압력측정 관련 소프트웨어의 오류를 수정한 상태로 나로호에 대해 발사대와의 각종 연결장치와 탑재장비 등에 대한 상태를 점검하고 나로호의 방위각을 측정해 기립의 정상 여부도 확인했다.

이에 따라 나로우주터센터는 발사 당일인 25일 오전부터 발사운용을 시작해 발사 4시간여 전에 최종 발사시각을 확정한 뒤 발사 2시간여 전부터 연료 주입을 시작할 예정이다.

앞서 교과부는 21일 오후 1시 30분 '발사상황관리위원회'를 개최해 나로호 발사예정일을 25일로 결정했다. 교과부는 국제통보에 대한 고려사항과 기상조건 등을 검토해 25일로 발사예정일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발사 예정일인 25일은 이미 해외에 통보된 발사예비일(20~26일) 내에 있으므로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지는 않으며, 이날 기상조건은 발사에 지장이 없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공공근로가 사람 잡는다(?)’

정부 및 지자체가 일자리 창출의 일환으로 공공산림가꾸기 사업을 확대 시행하면서 부실한 안전관리로 공공근로자들이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

실제 대전·충남의 임업 분야 산업재해자 수가 1년 새 80%나 급증, 안전교육 강화와 철저한 관리감독 등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23일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대전지역본부에 따르면 올 들어 7개월간 대전·충남의 산업재해자 수는 389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3964명에 비해 1.87% 줄었다.

산업별로는 어업 100%, 광업 31.5%, 금융·보험업 30.3%, 농업 26.9%, 제조업 15.3%, 운수창고·통신업 5.1% 등의 감소율을 나타냈다.

그러나 임업은 지난해 72명(대전 51명·충남 21명)에서 올해 129명(대전 85명·충남 44명)으로 79.3% 늘어 뚜렷한 대조를 이뤘다.

대전·충남 임업 분야 재해자 수는 2006년 127명에서 2007년 113명으로 감소했으나 지난해 144명으로 30% 가까이 늘어난 데 이어 올해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또 지난해 임업 분야 재해율은 2.42%로 전 산업 평균재해율 0.71%의 3.4배에 달했다.

이는 지형이 험한 산지에서 무거운 목재를 다루는 데다 기계톱·낫 등 위험한 작업도구를 사용하고, 50대 이상 고령자가 공공근로 인력의 60%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산업안전보건공단 대전지역본부 관계자는 “임업 분야 공공근로가 크게 늘며 통상 4~5월이면 본격적인 작업이 이뤄지던 것이 올해의 경우 연초부터 사업이 진행돼 안전사고 발생이 증가한 것 같다”며 “사전 안전교육이 규정에 맞게 이뤄져야 하고, 영세사업장일수록 자체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산업안전보건공단 대전지역본부는 지난 21일 충남 공주시 반포면 소재 충청안전체험교육장에서 산림청·산림조합·대전시·충남도·대전지방노동청 등 6개 유관기관 산림사업 실무자 37명이 참석한 가운데 ‘안전보건 네트워크 운영회의’를 결성하고, 임업재해 예방대책을 논의했다. 최 일 기자 orial@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한라공조는 울고, 우성사료는 웃었다(?)’

충청권 상장사 상당수가 경기불황의 영향으로 올 상반기 부진한 실적을 거둔 가운데 일부 업체들은 매출과 순이익 모두 전년보다 증가해 희비가 엇갈렸다.

23일 한국거래소(KRX) 한국상장회사협의회의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법인 2009사업연도 상반기 영업실적’ 자료에 따르면 반기보고서를 제출한 전국 569개 업체의 총 매출액은 418조 8860억 원으로 지난해 수준을 유지(0.03% 증가)했지만 영업이익(19조 8933억 원)과 순이익(16조 5926억 원)은 각각 45.73%, 41.77% 하락했다.

또 429곳(75.4%)이 순이익 흑자, 140곳(24.6%)이 순이익 적자를 기록한 가운데 매출액 1위는 삼성전자(39조 5859억 원)가 차지했고, SK에너지(17조 340억 원)와 한국전력(15조 7246억 원)이 뒤를 이었다.

충청권 업체의 경우 한라공조(대전)가 상반기 중 6257억 7200만 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대비 24.95% 줄어든 것을 비롯 대원전선(예산·1502억 7300만 원) 29.18%, 동양강철(대전·688억 8600만 원) 33.31%, 미래산업(천안·193억 4600만 원) 44.71%, 현대EP(당진·871억 800만 원) 21.06%, 유성기업(아산·673억 6900만 원) 29.86%, 조광피혁(청주·507억 300만 원) 30.60% 등의 감소율을 보였다.

또 동양강철, 미래산업, 범양건영(천안), 삼화전기(청주)는 순이익이 흑자에서 적자로 전환됐고, 일진디스플레이(음성), 한국내화(당진), 고제(천안)는 지난해에 이어 적자가 지속됐다.

반면 계룡건설(대전·5247억 5600만 원)은 28.41% 매출이 늘었고, 우성사료(〃·1763억 6400만 원) 26.95%, 범양건영(천안·1497억 4500만 원) 24.27%, 동양철관(〃·603억 9100만 원) 46.72%, 한화타임월드(대전·522억 600만 원) 16.67%의 증가율을 나타내 대조를 이뤘다.

순이익에서 15억 3200만 원의 적자를 본 일진디스플레이는 전국에서 가장 높은 305.77%(30억 7000만→124억 5600만 원)의 매출 증가율을 달성했고, 우성사료는 851.59%(6억 2500만→59억4700만 원)의 순이익 증가율로 눈길을 끌었다.

최 일 기자 orial@cctoday.co.kr

♦ 충청권 상장사 올 상반기 실적

업체
소재지
매    출
순  이  익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경남기업
아산
804,522 
-4.05
31,363 
126.76
계룡건설산업
대전
524,756 
28.41
22,409 
0.54
고제
천안
18 
-96.49
-5,492 
적자지속
대원전선
예산
150,273 
-29.18
801 
3.94
동양철관
천안
60,391 
46.72
1,687 
82.43
미래산업
19,346 
-44.71
-2,519 
적자전환
범양건영
149,745 
24.27
-4,601 
적자전환
삼화전기
청주
67,356 
-14.76
-4,600 
적자전환
에스지글로벌
논산
16,406 
18.64
1,709 
흑자전환
영보화학
대전
38,316 
-3.31
2,835 
122.24
우성사료
176,364 
26.95
5,947 
851.59
웅진코웨이
공주
685,317 
6.35
75,900 
32.62
유성기업
아산
67,369 
-29.86
327 
-95.58
일진디스플레이
음성
12,456 
305.77
-1,532 
적자지속
조광피혁
청주
50,703 
-30.60
2,119 
169.34
한국내화
당진
58,576 
95.82
-1,333 
적자지속
한라공조
대전
625,772 
-24.95
50,793 
-20.44
한올제약
48,058 
14.68
94 
-82.98
한화타임월드
52,206 
16.67
8,277 
60.49
현대EP
당진
87,108 
-21.06
6,409 
69.59
JS전선
천안
231,947 
3.76
20,212 
325.84
KPX그린케미칼
서산
62,513 
-10.95
3,106 
102.46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전국이 행정구역 통합 논의로 들끓고 있는 가운데 충남도내 각 시·군들도 이와 관련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예전부터 천안·아산, 대전 편입(금산, 계룡) 등의 논의가 진행돼 왔고 최근에는 공주·부여 통합이 지역의 핫 이슈로 부상하는 등 행정구역 통합 문제가 언제든지 수면 위로 재부상할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충남도내 행정체제 변화에 대해 현재의 강제력 없는 자율통합 기조로 볼 때 내년 지방선거 일정이 촉박함에 따라 당장보다는 오는 2014년 지방선거 전에나 변화가 있을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반면 또 다른 전문가들은 정치권에서 이미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행정안전부도 자율통합시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는 방침을 세운 만큼 다양한 변수가 발생할 수 있다고 예상하기도 했다.

◆천안·아산 통합= 아산은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대신 천안은 느긋한 입장이다.

지난 6월 허태열 의원(한나라당·국회 지방행정체제개편특위 위원장)이 인접 시·군·구를 통합 광역화하는 내용의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안’을 여·야의원 62명의 서명을 받아 대표 발의한 것과 관련해 아산시의회 의원들이 반발했다.

아산시의회 의원들은 지난달 결의문을 통해 "아산·천안 통합론은 아산시의 정체성과 역사성을 부인하고 여론 형성을 통한 통합을 끌어내기 위한 저의가 숨겨진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며 "이와 같은 특성과 지역정서를 무시하고 일방적인 통합론을 제기해서는 안된다는 것에 분명함을 드러낸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 5월 충남 '아산시정연구원'이 지방행정체계 개편과 관련해 아산시민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69.7%가 아산시와 천안시의 행정구역 통합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행정구역 통합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 이들 지역은 어떤 식으로든지 재논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내포돼 있다.

천안시는 이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은 자제하고 있지만 아산시처럼 적극적인 반대표명은 하지 않고 있다.

◆대전 편입(금산, 계룡)= 지방선거 때만 되면 나오는 단골 메뉴이다. 금산주민들 일부는 주민들 의사와 상관없이 정치적 논리에 따라 그동안 충남과 전북을 오가며 금산이 편입돼 지역발전이 정체됐다며 차라리 인근 광역시인 대전시로 편입해 소외감을 극복하자는 주장이며 여전히 산재해 있다.

최근에는 통합논의가 다소 주춤하지만 2007년만 해도 대전시 편입에 대한 연구용역과 단체 결성 등이 진행되면서 대전시와의 통합 논의가 활발했던 점을 근거로 그 불씨는 여전히 살아있는 지역이다.

당시 지역단체가 의뢰한 설문조사에서는 금산군 주민 800명 가운데 57.3%가 대전 편입에 찬성하기도 했다.

계룡의 대전 편입 찬성론자들은 계룡시 면적이 60.75㎢로 대전 중구 수준이어서 대전의 1개 구로 편입하기 좋고 계룡시청 공무원의 30~40%가 대전에서 출퇴근하는 데다 대전과 생활권이 같다는 논리를 주장해 오고 있다.

◆공주·부여 통합= 김무환 부여군수는 지난 6월 기자회견을 열고 "공주와 부여는 '백제왕도'란 역사적 배경이 같고 백제문화제 공동 개최와 공주·부여 백제역사도시 조성, 금강 살리기 등 공통분모가 많다"며 "두 지역의 통합은 지역의 백년대계를 위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이준원 공주시장은 지난달 "생각해 볼 가치가 없는 제의"라며 "공주시와 어떠한 협의도 없이 이뤄진 김 군수 개인의 일방적인 생각이기 때문에 시는 이에 대해 '어떤 대꾸도 하지 않겠다'는 것이 공식 입장"이라며 난색을 표명했다.

그러나 이들 지역은 현재 정부 등에 행정구역 통합논의가 거론되고 있는 지역으로 분류돼 있어 재추진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전문가들 분석= 전문가들은 행정구역 통합논의 방향이 정치권 논의→행정안전부→광역시·도→기초자치단체 순으로 진행되지 않겠냐는 분석이다.

이렇게 되면 시간이 촉박한 내년 선거보다는 오는 2014년을 목표로 진행되지 않겠냐는 시각이다.

또한 행정구역 통합시 전국시도지사협의회를 비롯해 전국광역의회 의장협의회,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전국시군자치구의회협의회 등을 넘어서기가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여 당장은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더라도 그 결과는 여전히 미지수로 남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이명박 대통령이 8·15 경축사에서 지방행정구역 개편을 언급했고 한나라당 안상수 원내대표도 이번 정기국회 안에 행정체제 개편안이 반드시 본회의를 통과해야 한다고 말한 점을 들어 어떤 식으로든지 빠른 시일 내에 결과물이 생산될 수도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임호범 기자

comst99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대청호 회남수역의 녹조현상이 심화되면서 조류경보가 발령됐다. 금강유역환경청은 지난 21일자로 보은군 일대 대청호 회남수역의 조류주의보를 상향조정해 조류경보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대청호는 지난 6일 회남수역에 조류주의보를 발령한 이후 2주에 걸쳐 2차례 연속 수질을 분석한 결과 회남수역의 클로로필-a 농도와 남조조류가 경보수준에 해당돼 예보수준을 한 단계 상향조정했다.

지난 19일 회남수역에서 조사된 클로로필-a 농도는 39.4 ㎎/㎥로 경보수준이었고, 남조류는 2만 1916 cells/㎖로 주의보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같이 녹조가 심화된 것에 대해 금강유역환경청은 지난달 집중강우로 호소 내에 질소, 인 등 영양염류가 다량 유입된 상태에서 지속적인 폭염으로 수온이 상승하고 일조량이 증가해 회남수역에 조류가 급격히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금강유역환경청은 “조류차단막 설치, 조류제거선 운영 등 초동방제를 강화하는 한편, 분말활성탄 투입 등 정수장 정수처리 강화, 조류의 영향이 없는 심층수 등 관계기관이 조류저감대책에 만전을 기하고 있어 수돗물에는 지장이 없다”고 밝혔다.

또 금강유역환경청은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대청호 인근에서 수영, 낚시, 취사 등의 활동과 어패류 어획, 가축방목을 자제해줄 것을 권고했다.

김원민 금강유역환경청장은 “대청호 상류지역에 하수처리시설을 지속적으로 신설 또는 증설하고 상수원 주변 오염원 분포지역에 생태습지를 조성하는 등 대청호 조류문제를 근복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중장기 대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