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3인 A(18·대전 유성구) 양은 요즘 고민이 많다.

수능이 끝났다는 기쁨도 잠시, 이젠 아무 것도 안 하고 있는 시간이 가시방석처럼 느껴진다.

기말고사도 얼마 전 끝나 하루하루를 집에서 멀뚱히 보내고 있는 A 양은 ‘취업대란’이란 뉴스를 접할 때마다 “내가 이러고 있어도 되나”라는 걱정에 휩싸이곤 한다.

“주변 친구들도 하나 둘씩 자격증이나 토익 관련 학원을 알아보고 있더라”는 그는 “수능이 고생의 끝이라고들 하지만 요즘 학생들에겐 또다른 고생의 시작일 뿐”이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수능을 마친 고3 학생들이 벌써부터 취업걱정에 밤잠을 설치고 있다.

계속된 경제한파에 청년실업률도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하루라도 빨리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수능 후 너도나도 취업전쟁에 뛰어드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스펙(구직에 유리한 자격증, 토익 점수 등을 따는 것)을 쌓으려는 고3 학생들의 열기로 학원가는 때아닌 ‘활황’을 누리고 있다.

대전지역 일선 고교와 학원가 등에 따르면 고3 학생들 중 상당수가 대입도 확정짓지 않은 상황에서 자격증 학원, 토익 학원 등 각종 취업대비 학원으로 몰리고 있다.

특히 토익·토플 전문학원의 경우 최근들어 유학이나 취업에 대비하려는 고3 학생들의 문의가 급증세를 띠면서 경색됐던 학원가에 활력을 불어넣어 줄 것이란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대전 서구에 위치한 한 영어전문학원 관계자는 “최근 몇 년 사이 수능이 끝나면 수강생이 10~20% 정도 증가하는 게 관례화되고 있다”며 “청년실업자가 많아지면서 회사가 요구하는 기대치 또한 높아져 어린 학생들도 위기감을 느끼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워드, 컴퓨터활용, 정보처리, 한자 등 취업에 도움이 될 만한 자격증을 취득하려는 학생들의 움직임은 인터넷 상에서도 활발하게 펼쳐지고 있다.

ID ‘howon080’의 한 누리꾼은 “이제 수능도 끝났으니 사회에 나갈 때 필요한 자격증을 미리미리 따야할 것 같다”며 “한자, 영어, 일본어, 워드 등 취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격증에 대한 정보를 원한다”고 분주한 모습을 보였다.

이처럼 고3 학생들이 수험생의 티를 벗기도 전부터 또다른 경쟁에 돌입해야 하는 현실에 교사나 학부모들은 안타까움을 토로한다.

고교생 자녀를 둔 대전 서구의 김모(52) 씨는 “수능에 대한 압박에서 벗어난 지 겨우 한 주가 지났는데 이젠 취업문을 돌파하기 위해 공부해야 한다니 안타까울 뿐”이라며 “이 사회가 어린 학생들을 위해 무엇을 해줄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진창현 기자 jch8010@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속보>=해외연수를 다녀온다면 집을 나선 후 실종된 30대 여성 2명과 관련 경찰이 범죄연관성을 포착하고 본격 수사에 착수했다. <본보 17일 5면 보도>

또, 경찰은 실종 두 여성의 주변 인물들이 실종자의 카드 등을 사용한 것을 확인하고 관련자 3~4명에 대한 수사를 벌이고 있다.

18일 천안서북경찰서에 따르면 L(37) 씨가 미국으로 어학연수를 다녀온다면 집을 나선 것은 2005년 2월이며 같은해 9월 “미국에서 잘 지내고 있다”는 편지가 와 가족들은 L 씨의 실종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

이후 L 씨와의 연락이 끊긴 후 L씨 명의의 신용카드 청구서는 계속해 집으로 배달됐다. 미국에 있어야 할 딸이 국내에서 사용한 카드청구서를 받은 부모는 지난 2006년 1월 L 씨의 가출신고를 경찰에 접수했다.

가출신고를 접수한 경찰은 3년 간 내사를 벌여 통화내역 등을 조사하면서 L 씨와 안면이 있는 또 다른 30대 여성 M(31) 씨 역시 지난 2006년 10월 중국으로 어학연수를 다녀온다면서 집을 나선 후 사라진 사실을 확인했다.

경찰은 L 씨의 명의로 된 신용카드가 P(40) 씨에 의해 80여 회 사용됐고 M 씨 명의의 금융거래 역시 L(70) 씨에 의해 이뤄진 사실 등을 확인하고 용의자 행적 및 신원 확보 등에 주력하고 있다.

천안=최진섭·유창림 기자

yoo772001@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소주업계 시장점유율 1위 업체인 진로가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1162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 받았다.

충청권 업체인 선양과 충북소주에도 각각 102억 원, 19억 원의 과징금이 매겨졌다.

18일 주류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출고가격 담합 혐의가 있는 전국 11개 소주업체에 총 2263억 원의 과징금 부과를 통보했다.

업체별로는 진로가 1162억 원으로 가장 과징금 규모가 크고, 두산 246억 원, 대선주조(부산) 206억 원, 금복주(대구·경북) 172억 원, 무학(경남) 114억 원, 선양(대전·충남) 102억 원, 롯데 99억 원, 보해양조(전남) 89억 원, 한라산(제주) 42억 원, 충북소주 19억 원, 하이트주조(전북) 12억 원 순이었다.

공정위는 이의신청기간을 거쳐 내달 전원회의를 통해 소주업체에 대한 과징금 부과액수를 확정할 방침으로 과징금 규모는 다소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한편 소주업계는 가격 인상이 국세청의 행정지도에 의한 것으로 담합이 아니라고 주장을 펴고 있다. 최 일 기자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일부 보험사들이 계약 당시 자필서명 여부를 따지지 않고 가입을 종용한 뒤 보험금을 청구할 때는 이를 문제 삼아 지급을 거부해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

보험소비자연맹(이하 보소연)은 이 같은 보험사들의 행태를 지적하며 업계의 자성과 금융당국의 조치를 요구했다.

18일 보소연에 따르면 보험사들이 계약인수 때에는 자필서명에 대한 별다른 문제제기를 않다가 뒤늦게 보험사고가 발생하면 그 때서야 법제도를 빌미로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다는 것.

보험사들은 보험계약에 있어 관련법(상법 제731조) 상 ‘서면동의가 없는 타인의 서명을 무효로 한다’는 규정을 빌미로 필적감정까지 동원해 지급을 회피하고 있다.

실제 지난 2007년 모친 명의로 현대해상 보험에 가입했던 A 씨는 올해 모친이 사망해 보험금 4000만 원을 청구했다가 지급을 거절당했다.

A 씨는 청약당시 본인이 서명했고, 설계사로부터 이에 대한 안내도 받지 못했을 뿐만아니라 보험사측도 계약 인수시에 이를 문제 삼지 않았다.

A 씨의 모친은 지난해 입원할 당시에는 보험사로부터 병원비를 지급 받았지만, 정작 사망 보험금에 대해서는 보험사가 필적감정을 앞세워 A씨를 압박했다.

그러나 아직까지 관행적으로 보험가입이 설계사에게 맡겨지거나 다른 가족 구성원이 임의로 서명하는 경우가 적지 않고, 보험사도 이를 형식적으로 심사하거나 묵인하고 있기 때문에 억울한 피해자만 양산하고 있다.

다른 B 씨의 경우 지난 2001년 당시 남편을 피보험자로 동양생명 종신보험에 가입한 후 올해 남편이 심장마비로 사망했지만 보험사는 가입자가 서명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보험금 지급을 거절했다.

더군다나 B 씨와 남편은 중간에 자필서명이 문제된다는 것을 알고 자필서명을 원했지만 담당 설계사와 지점장이 괜찮다고 만류하기까지 했다.

이 같은 보험업계 행태에 대해 보소연 관계자는 “보험사가 자필 미서명 계약임을 알고도 계약을 성립시켜 놓고는 나중에서야 계약무효를 주장하는 자가당착적 모순에 처한 꼴”이라며 “이는 소비자와의 신의를 완전히 저버리는 비도덕적 행위”라고 비난했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LH(한국토지주택공사) 충북지역본부(본부장 하문용)는 청주성화2지구 근린생활시설용지 등 32필지를 경쟁입찰, 제천강저지구 공동주택용지 2필지를 추첨방법으로 공급한다고 18일 밝혔다.

청주성화2지구는 주변의 청주개신, 성화1, 가경4지구 택지개발이 완료되면서 청주시 서남부권 중심지역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인근의 제2순환도로를 이용해 청주IC, 서청주IC, 청원IC를 20분 이내 접근이 가능하다.

사업지구별로는 △청주성화2지구 근린생활시설용지 7필지(261~358㎡), 주차장 8필지(500~1788㎡) △청주개신지구 업무시설 1필지(622㎡) △제천강저지구 공동주택용지 2필지(2만 4955~5만 1142㎡), 근린생활 14필지(207~706㎡), 주차장 3필지(627~837㎡) 등이다.

분양(예정)가격은 △성화2지구 근생용지가 3.3㎡당 405만 6000~435만 4000원, 주차장 130만 9000~307만 8000원 △청주개신 업무시설이 245만 3000원 △제천강저지구 근생용지가 158만 7000~199만 원, 주차장 80만 3000~110만 7000원, 공공주택용지 C블럭(분양) 145만 4000원, D블럭(임대) 138만 8000원으로 공급한다.

특히 제천강저지구는 3년 무이자할부 조건으로 공급한다.

경쟁 입찰용지 입찰일은 오는 25일과 26일이며, 유찰 시에는 27일 재입찰을 실시할 계획이다.

제천강저지구 공동주택용지는 1순위 25일, 2순위 26일, 3순위 27일 순위별로 신청해야 한다.

이번에 공급하는 입찰 및 추첨 토지는 인터넷 전자입찰(추첨)로 실시하므로 LH 홈페이지(www.lh.or.kr)의 분양·임대청약시스템에서만 신청이 가능하다. 박한진 기자 adhj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