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까지 타당성 여부를 놓고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는 사업을 강행키 위해 학생들을 이용한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것이다.
도는 4대강 살리기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금강살리기 사업과 관련해 영상물을 제작, 이달 초 도내 749개 초·중·고, 30만 명의 학생에게 홍보토록 도교육청과 일선 학교에 협조를 요청했다.
총 5개 주제로 나눠 30여 분의 영상으로 제작된 홍보물은 4대강 사업 후 지역에 미칠 긍정적 효과를 다루고 있으며 조회시간 등을 활용해 방영토록 지시됐다.
이 영상에는 세종시가 들어설 연기군 남면 일원에 시공 중인 ‘행복지구생태하천조성사업’에 대한 홍보내용도 담겼으며 도는 수학여행, 현장학습을 추진할 때 홍보관과 하천 현장 견학계획을 검토해 달라고 지시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학교를 정치적 도구로 활용하려 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금강운하백지화국민행동 관계자는 “여론조사를 보면 70%가 넘는 국민들이 4대강 사업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한다”며 “이런 상황에 도와 정부가 정부 주장을 일방적으로 주입하는 교육을 하는 건 혼란을 가중시키는 매우 비교육적 처사이며 군사독재 시대에나 가능한 일”이라고 규탄했다.
이 관계자는 또 “첨예한 정치적 쟁점사항을 학교에서 교육하겠다는 것은 학교와 학생을 정치적으로 활용하겠다는 의도”라며 4대강 사업 관련 교육활동을 즉각 철회해 줄 것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강요사항은 아니었다. 영상은 4대강 본부와 국토관리청에서 제작했고 우린 그것을 안내했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진창현 기자 jch8010@cctoday.co.kr